소개글
"살기 좋은 도시 소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봉산이 감싸주는 우리동네 관저동
1.1. 관저동에 관한 소개와 내가 관저동에 살게 된 이유
1.2. 산과 공원이 어우러진 관저동
1.3. 교육기관만 15개, 아이 키우기 좋은 동네
1.4. 서남부권, 인구수 최대의 위성도시
1.5. 편의시설이 많은, 저녁이 있는 도시
2. 아동친화도시
2.1. 개념, 배경, 구성요소
2.2. 사례
2.2.1. 서울 종로구
2.2.2. 충청 논산시
2.2.3. 전북 완주군
3. 마을챙김 프로젝트
3.1. 프로그램(사업)명 및 소개
3.2. 프로그램의 필요성
3.2.1. 기획 배경
3.2.2.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3.3.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3.1. 프로그램의 목적
3.3.2. 산출 목표 및 성과 목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봉산이 감싸주는 우리동네 관저동
1.1. 관저동에 관한 소개와 내가 관저동에 살게 된 이유
나는 대전의 위성도시인 관저동에 살고 있다. 대전의 중심지에서 조금 벗어나 있지만, 그래도 주변 지역이 아파트 숲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단지들이 들어서 있기에 저녁이 되면 떠들썩한 사람들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다양한 모습을 가진 도시라고 할 수 있다. 나는 현재 관저 2동에 살고 있다. 관저 1동과 2동의 차이는 교차로 2개로 나뉘어진, 큰 길로 나뉘어졌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나 또한 여기로 보금자리를 잡을 때 그렇게 인지했다. 관저동이라 전부 불릴 만도 하지만, 옛날 어르신 분들은 관저동을 다른 동으로 인식하시기도 한다. 90년대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에 지금의 관저동은 논과 밭만 있는 벌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옛날 어른들께 지금 개발된 관저동에 산다고 하면 왜 그리 멀리 사냐고 이야기를 가끔 듣기도 한다. 지금의 관저동은 완전 다른데 말이다. 특히 관저 2동은 위성도시기이게 더욱 늦게 그리고 한번에 개발한 느낌을 쉽게 받을 수 있다. 대다수 아파트의 건령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관저 1,2동을 통틀어 설명하자면 대표적인 관저 1동 건물로는 건양대 병원이 있다. 관저 2동은 대다수 신도시 아파트 느낌으로 아파트 숲이 밀집되어 있고 상업 시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내가 관저 1동을 선택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큰 상업 시설들이 없기 때문이다. 집 앞에 있는 외식타운, 쇼핑시설 등이 간절했는데 1동은 비교적 적었다. 관저 2동에서 1동으로 건너갈 수는 있지만, 그래도 지금 걸어서 가는 우리 2동이 나는 훨씬 마음에 든다.
1.2. 산과 공원이 어우러진 관저동
관저동을 설명하자면 구봉산을 빼놓을 수 없다. 아홉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구봉산은 각각의 봉우리마다 다른 느낌을 주기도 한다. 특히나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부분도 있어 사계절에 따라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구봉산에서 바라보는 뒤편 갑천의 물 흐름을 따라 보면 노루벌이라 불리 우는 곳의 신비한 느낌도 받을 수 있다. 아이들의 교과서에서나, 영화 속에서 볼 법한 그런 풍경이 나타난다. 크게 높지 않은 산이라 그런지 주말 아침에는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기도 한다. 남편과 여러 번 간 후로 오르지 않다가 아이들이 자라고 난 뒤 딱 한번 가보았던 것 같다. 하필 그날은 안개가 껴서 철제 계단들을 오르내릴 때 조심해서 올라가게 되었다. 어떤 전망대인지 이름은 기억나지 않지만, 그곳에서 본 노루벌 쪽은 진짜 진 풍경, 장관이었다. 이 맛에 산을 오르는구나 느꼈을 정도였다. 산을 가까이에서 느끼고, 볼 수 있는 곳, 이곳이 바로 내가 사는 관저동이구나, 생각한다.
사실 관저동을 본다면 구봉산 보다는 소태봉이라 불리 우는 낮은 산이 앞쪽 대전시와 이어져 있다. 생각보다 봉우리가 높아 목원대와 그 뒤편의 갑천 물길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느리울 네거리 근처에 사시는 분들에게만 한정적으로 펼쳐진 장관이리라. 하지만 우리집을 기준으로 본다면 바로 뒤가 구봉산이기에, 구봉산에 오르면 더욱 더 넓은 관저동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기에 나는 구봉산에 대한 특별한 애착을 갖고 있다. 창 밖으로 봄과 여름이 지나는 것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고, 아파트 숲 뒤편이라 그런지 비교적 미세먼지도 덜 하는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관저동을 자랑할 거리는 너무나도 많다. 다른 위성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큰 규모는 아니지만, 동네 곳곳에 조그만 한 쉼터들이 있다. 쉽게 말하자면 어른들이 쉴 수 있는 곳, 아이들이 놀만한 곳들이 곳곳에 존재...
참고 자료
김순례(2018)『아동친화도시 조성정책이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대문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최아수(2019)『아동친화도시의 종합 평가지표 수립과 공간 분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산시 국내 첫 염생식물 군락지 올해 일부 구간 시범 조성, 정윤덕 기자, 연합뉴스, 24.02.28 작성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531740?sid=102
서산시,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복지사각지대 해소 ‘총력’, 박현선 기자, 스카이데일리, 24.03.13 작성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24583
서산시, 노인 고독사 우유배달로 예방한다, 김명환 기자, 충청뉴스라인, 24.02.22 입력https://www.ccnews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920
농협서산시지부, 환경정화활동으로 깨끗한 농촌만들기 앞 장, 송낙인 기자, 충남일보, 24.03,28 입력https://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835
서산시의회 "사회적 고립 가구 관심 필요, 고독사 예방해야", 신영근 기자, 오마이뉴스, 24.01.12 입력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92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