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발달단계와 발달과업
1.1. 서론
최근의 가족에 대한 정의는 burgess와 Locke의 정의로 가족을 "혼인, 혈연, 또는 입양에 의해 결합된 집단으로 하나의 가구를 형성하고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과 딸, 형제와 자매라는 각각의 사회적 역할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하고 공통의 문화를 창조, 유지하는 집단"이라고 한다. 가족은 구성 면에서 혼인, 혈연 또는 양자관계를 통해서 결합한 집단이며, 기능적으로 사회 전체의 맥락과 연결되는 여러 과업을 수행하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 하는 정서적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족생활주기란 결혼을 통하여 가족이 결정된 순간부터 자녀의 성장이나 독립, 은퇴, 배우자 사망 등에 이르기까지 가정생활의 변화과정, 즉 가족이 구조와 관계 상의 발달 및 변화를 말한다. 가족생활주기는 가족 구성원의 연령과 세대를 고려한 발달단계이다. 개인의 발달단계마다 발달과업이 있듯이, 가족도 생활주기에 따라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 이처럼 가족은 생애주기에 따라 이행해야 할 과업이 있으며, 건강과 관련 지어 이행해야 할 과업 또한 중요하다.
1.2. 가족발달이론
1.2.1. 가족생활주기와 발달과업
가족생활주기란 결혼을 통하여 가족이 결정된 순간부터 자녀의 성장이나 독립, 은퇴, 배우자 사망 등에 이르기까지 가정생활의 변화과정, 즉 가족이 구조와 관계 상의 발달 및 변화를 말한다. 가족생활주기는 가족 구성원의 연령과 세대를 고려한 발달단계이다. 개인의 발달단계마다 발달과업이 있듯이, 가족도 생활주기에 따라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
Duvall은 가족생활주기의 관점에서 첫 자녀의 위치를 중심으로 가족 생활 주기를 다음과 같이 8단계로 구분하였다. 결혼, 출산, 자녀의 성장, 사망 등으로 가족구성원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축으로 단계를 구별하였다.
각 단계별 발달과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혼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결혼에 적응, 밀접한 부부관계의 수립, 가족계획, 성적 양립성, 독립성과 의존성의 조화, 친척에 대한 이해와 관계 수립, 자녀 출생에 대비, 생활수준 향상이다. 둘째, 양육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부모의 역할과 기능, 각 가족구성원의 갈등이 되는 역할의 조정, 산아제한, 임신, 자녀양육 문제에 대한 배우자 간의 동의이다. 셋째, 학령전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자녀들의 사회화 교육 및 영양관리, 안정된 결혼(부부)관계의 유지, 자녀들의 경쟁 및 불균형 된 자녀과의 관계 대처이다. 넷째, 학령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자녀들의 사회화, 가정의 전통과 관습의 전승, 학업성취의 증진, 만족스러운 부부관계의 유지, 가족 내 규칙과 규범의 확립이다. 다섯째, 청소년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안정된 결혼관계 유지, 10대의 자유와 책임의 균형을 맞춤, 자녀들의 성문제 대처, 직업(수입)의 안정화, 자녀들의 독립성 증가에 따른 자유와 책임의 조화, 세대 간의 충돌 대처, 자녀의 출가에 대처이다. 여섯째, 진수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부부)관계의 재조정, 늙어가는 부모들의 지지, 자녀들의 출가에 따른 부모의 역할 적응, 새로운 흥미의 개발과 참여이다. 일곱째, 중년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경제적 풍요, 출가한 자녀가족과의 유대관계 유지, 부부관계의 재확립이다. 마지막으로 여덟째, 노년기 가족의 발달과업은 만족스러운 생활 유지,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 사회적 지위 및 경제적 감소의 대처, 배우자 상실, 권위의 이양, 의존과 독립의 전환이다.
이처럼 가족은 생애주기에 따라 이행해야 할 다양한 발달과업들이 있으며, 각 단계를 원만하게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업들을 성공적으로 성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3. 우리 가족의 발달단계 사정
우리 가족은 엄마, 아빠, 첫째 아들, 둘째 딸(본인) 4인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자녀는 독립을 하였고, 막내 자녀인 나 또한 독립을 준비하고 있다. 첫 자녀가 결혼을 한 것은 아니지만, 독립하여 지내고 있고, 막내 자녀 또한 독립을 막 하려는 단계이기 때문에 완전한 진수기 가족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현재 진수기 가족에 들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진수기 가족은 첫 자녀가 출가한 후 마지막 자녀가 출가할 때까지의 시기로, 자녀가 집을 떠나 세상이라는 바다로 나아가며 부모만 남게 된다. 결혼한 자녀를 돌보면서 그들의 노부모를 부양하는 이중역할을 수행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아동이 성장하여 독립된 성인으로서의 생활을 위해 준비하는 가정이 최고에 달하게 됨으로써 자녀가 부모의 가정을 떠나고 빈 보금자리가 되는 시기이다. 가족 구성원 간 상호의존성과 협력이 강조되는 시기로, 가족 구성원 각자의 역할과 기능이 명확해지고,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