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와 부동산 개발 방안 마련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방법과 수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마트시티 개념과 구성
1.1. 스마트시티 등장 배경
1.2.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정의
1.3. 스마트시티 구성 요소
2. 스마트시티 현황과 정책 동향
2.1. 스마트시티 국내 현황
2.2. 스마트시티 국내외 정책 동향
3. 스마트시티의 비전과 미래
3.1. 도시문제와 스마트시티의 구현
3.2. 스마트시티 비전과 미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마트시티 개념과 구성
1.1. 스마트시티 등장 배경
스마트시티 등장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도시 계획적 측면에서 스마트시티는 유럽이나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도시 계획 분야에서 발전했다. 특히 뉴어버니즘(New Urbanism)에서 출발한 "Smart Growth" 운동에서 기인했다. 이는 여러 주택과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걷기 좋은 마을을 만들어 친환경적인 습관을 장려하는 도시 디자인 운동이다. 마을 공동체 의식 구축과 자연 생태적 개발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글로벌 위기 대응 측면에서 스마트시티가 등장했다. 인구 증가로 발생한 도시문제,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전 지구적 통합과 각국의 교류,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 혁신과 이를 바탕으로 한 경제 성장에 관한 혁신적 문제 해결을 스마트시티가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셋째, 4차 산업혁명 대응 측면에서 스마트시티가 등장했다. 스마트시티에서 "스마트"는 기술과 도시라는 공간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즉,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이라는 가상과 도시라는 물리 공간이 초연결된 창조적 공간으로 도시가 변화한다는 관점에서 스마트시티가 등장했다.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에 접근해 더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정의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정의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 기술(ICT)을 활용해 도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를 말한다. 즉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도시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도시로 정의할 수 있다.
2016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측면에서 현재와 미래 세대의 요구를 보장하면서 시민들의 삶의 질, 도시 운영 및 서비스 효율성,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정보통신 기술과 기타 수단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도시"라고 정의하였다.
국토교통부는 스마트시티를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설 · 정보통신 기술 등을 융 · 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또한 스마트시티를 "도시에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하여 여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경쟁력 및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도시 모델"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의미한다. 스마트시티는 단순한 기술의 적용이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시민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지향하는 새로운 도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1.3. 스마트시티 구성 요소
스마트시티 구성 요소는 크게 인프라,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인프라는 도시와 정보기술, 공간정보에 관한 인프라이다. 도시에는 사람들이 살며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 이동 수단 관련 교통과 폐기물 관리 등이 필요하다.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적용해 도시의 하드웨어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정보 통신(ICT) 인프라는 센서와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프라를 말한다. 도시 전체를 유무선 통신 인프라로 연결하여 효율성을 추구한다. 공간정보 인프라는 지리정보 시스템, 위치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공간정보 인프라를 말한다. 현실과 사이버 공간을 융합한다.
둘째, 데이터는 사물인터넷과 데이터 공유를 의미한다.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시 인프라와 사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이는 실시간 수집하고 활용하는 데이터로, 스마트시티 구축에 가장 많은 투자가 필요한 항목이다. 생산된 데이터는 개방과 공유로 활용을 촉진한다. 데이터 민주화, 밀도, 자율성이 중요하다.
셋째, 서비스는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해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도시 서비스에 활용하는 것이다.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높은 품질의 알고리즘과 신뢰성 확보가 핵심이다. 정책적 지원과 제도 마련,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시티는 기술 혁신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특...
참고 자료
원광디지털 대학교, ‘부동산개발실무사례’
김용웅, 2007, <도시재생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과제>, 국토논단
김갑성(2021).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전략”,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1 No.1
김동희(2018). “스마트시티 구현의 성공 요인 연구 : 델파이 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류현근 외 8(2022). “스마트시티 지역 맞춤형 리빙랩 기반 혁신생태계 구축 전략 수립 및 실증 기획”, 국토교통부.
명승환 외 2(2017). 지속가능한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사례분석_Smartopia Gimpo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4).
박소현(2022). “스마트시티 그리고 동네걷기, 동네계획”,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2 No.1
비제이 자가나단(Vijay Jagannathan, 2023). “스마트시티 운영의 요소들”,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3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3 No.1
송근혜외 2(2020). “미래 스마트시티 비전과 과제: 도시문제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6
신희은(2021).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스마트시티 현황과 주민 인식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심효진(2023). “스마트시티 사업유형별 지역 간 경제적 파급효과”, 한밭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윤인기(2020). “화성시민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스마트시티의 마스터플랜 계획요소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이갑재(2023). “대한민국이 스마트시티 실증 연구와 확산 전망”,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탑 아젠다(SmartCityTop Agenda) Vol.3 No.1
이다솔(2019). “스마트시티 효율성에 대한 정책 평가 연구 : 자료포락분석과 토빗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내 석사 논문.
이상호(2017). “스마트시티 서비스 평가 체계 개발 : Th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Smart-City Service”,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이상호(2024). “시도별 스마트시티 정책 결정에 관한 연구: 자료포락분석 접근방법”,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이우진(2018). “미국의 스마트시티에 관한 연구개발 동향과 시사점”, 한국토지법학회, 土地法學 Vol.34 No.2
이정훈 외 1(2023). “디지털 전환 이후 미래 2023 스마트시티 동향”,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3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3 No.1
유병윤(2019). “인천 송도 스마트시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유시티에서 스마트시티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킴 노만 안데르센(2021). “디지털 선도 국가인 덴마크와 한국에서 스마트시티와 안전, 지속가능성 그리고 회복력에 대한 대응”,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1 No.1.
피터 발론(Pieter Ballon, 2022). “스마트시티와 도시전환_공공 공간으로서의 스마트시티”,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2 스마트시티 탑 아젠다(Smart City Top Agenda) Vol.2 No.1
한규보(2021). “스마트시티 성과관리를 위한 핵심성과지표 프레임워크 연구 : 재난·안전 분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강미나 외,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9.
배유진, 이지원, 「도시재생사업의 협동조합 참여 확대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8.
서왕진,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의 주민자원 활용 촉진방안」, 『서울연구원』, 2019.
이수욱 외, 「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1)」, 『국토연구원』, 2018.
이후빈, 박미선, 「저소득층 거주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9.
장남종, 성수연, 「마을재생 위한 서울시 빈집의 실태와 관리방안」, 서울연구원, 2018.
김성민, 「김철민 의원, LH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 ‘총체적 부실’」, 『시사매거진』, 2019.10.06. (2019.12.16.)
봉승권, 「국토硏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위해 노후 민간임대 개량해야”」, 『건설경제』, 2019.12.02. (2019.12.16.)
송철호, 「패션으로 ‘도시재생 가치’ 실현...창신동 ‘647 오프로드 패션쇼’」, 『그린 포스트 코리아』, 2019.10.29. (2019.12.16.)
이상휘, 「사라질 뻔했던 창신숭인, 전국 최초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거듭나」, 『BBS』, 2019.11.12. (2019.12.16.)
이수정, 「말 따로 정책 따로...박원순표 공공임대주택 역주행」, 뉴스웨이, 2019.10.16.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