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근경색 비효율적 호흡양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
1.2. 급성관상동맥증후군과 심근경색증의 분류
2. 심근경색의 원인
2.1.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2.2. 기타 원인
3.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3.1. 내피세포 손상과 죽상경화증 진행
3.2. 관동맥 혈전 형성
4. 심근경색의 증상 및 징후
4.1. 흉통
4.2. 호흡곤란
4.3. 기타 증상
5. 심근경색의 진단
5.1. 심전도검사
5.2. 심근효소검사
5.3. 기타 검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
심근경색이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근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병원 입원의 원인 질환이면서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다. 심근경색증의 초기 사망률은 약 30%에 달하며, 사망환자의 50% 이상은 병원에 내원하기도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심근경색으로 인해 심장의 수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심한 심부전이나 심실세동 같은 부정맥 때문이다. 심근경색은 심근 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능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1.2. 급성관상동맥증후군과 심근경색증의 분류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ST elevation MI, STEMI), 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non-ST elevation MI), 불안정형 협심증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 이는 이 증후군에 속하는 세 가지 질환의 병태생리가 모두 취약한 죽상경화반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이다.
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은 혈전에 의한 완전 관동맥폐색이 지속되는 경우이며, 즉 관상동맥이 100% 막혀서 응급으로 혈관 재개통이 필요한 심근경색증이다. 반면, 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이나 불안정형협심증은 관동맥의 부분폐색 또는 자연 재관류가 일어나는 일시적인 폐색의 결과로 나타난다.
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과 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을 더 자세히 분류하면, 심전도에서 Q파의 존재유무에 따라 Q파심근경색증과 비Q파심근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비ST분절상승심근경색증은 25%의 경우에서 Q 파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나 75%의 경우에서는 비Q파심근경색증으로 남으며, 반대로 ST분절상승심근경색증에서는 75%가 Q파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는 반면 25%에서는 비Q파심근경색증으로 이행된다.
불안정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심근경색의 중간 정도로, 운동성 협심증이 발전되어 휴식 시에도 협심증이 발생하며 20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증상의 빈도, 기간, 강도가 점차 악화된다. 혈관조영술로 협착 부위를 관찰할 수 있고 심장동맥의 완전 폐색은 없고 곁순환을 확인할 수 있다. 심근 손상을 알려주는 혈액 지표는 정상이며, 심전도 변화가 일시적으로 있으나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2. 심근경색의 원인
2.1.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은 급성 심근경색증의 주요 원인이다.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이다. 그러나 다양한 위험 요인들로 인해 관상동맥의 내피세포가 손상되면서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게 된다.
죽상경화증은 혈관벽 내부에 지방, 콜레스테롤, 칼슘 등이 축적되어 형성되는 죽상반(plaque)이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혈관을 좁아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좁아진 혈관은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 공급을 방해하여 결국 심근경색을 유발하게 된다.
죽상반 형성의 주요 원인은 내피세포의 손상이다.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의 위험 요인들은 내피세포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손상을 주어 내피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혈소판 및 백혈구의 접착이 촉진되어 죽상반이 서서히 형성되는 것이다.
죽상반이 점차 커지면서 혈관이 좁아지면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 ...
참고 자료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1, 수문사 2011년 판 강현숙 외 저자
성인간호학 상, 하권 , 현문사, 제 5판 전시자 외 저자
성인간호학 수문사,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저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제 2판, 김금자 외 저자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I. 수문사
김옥숙 외(2015). 핵심 ECG. 정담미디어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이노우에도모코 외(2014).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1. 한언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高階經和(2006). (쉽게 이해하는)심전도. 대한의학서적
MEG GULANICK(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바이엘 아스피린 ® 정 100mg 제품설명서, 바이엘 코리아
플라빅스Ⓡ 정 75mg (클로피도그렐황산염) 제품설명서, 사노피 아벤티스 코리아
성미혜 외(2017), 제 2판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서울:JMK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Ⅱ 파주:수문사
황옥남 외(2018), 제 7판 성인간호학(상) 서울:현문사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main.asp )
질병관리본부 국가정보포털 KCDC (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