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콜성간경화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범위
2. 알코올성 간경변증 개요
2.1. 간의 구조 및 기능
2.2. 간경변의 정의 및 병태생리
2.3. 간경변의 원인
2.4. 간경변의 증상
2.5. 간경변의 합병증 및 예후
3. 사례 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3.3. 간호중재 및 평가
4. 간경변증의 치료와 간호
4.1. 내과적 관리
4.2. 외과적 관리
4.3. 합병증 관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경변증은 부드러웠던 간이 섬유화된 후 돌덩이와 같은 딱딱한 간으로 변화되어 원래의 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병이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간경변증의 초기에는 환자가 느끼거나 외부에서 확인되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혈액검사에서도 특별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간경화증으로 인한 손상의 정도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서야 황달, 복수, 간성뇌증, 정맥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
알코올은 간에 직접적인 독성효과가 있는 물질로, 우리나라의 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들 중 하나이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들의 음주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은 간으로, 알코올은 간세포에 직접 적인 독성효과가 있다.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 간경화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2명으로 일본, 미국, 캐나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음주율은 더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통계가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음주에 의한 간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알콜성 간질환을 케이스로 선택하였다.
1.2. 연구 범위
이 연구의 범위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간경변증은 간 실질세포의 광범위한 변형과 섬유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진행성 간질환이다. 이 연구에서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의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합병증 및 예후에 대해 문헌고찰을 실시한다. 또한 실제 대상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경변증 환자의 간호중재와 평가에 대해 다룰 것이다. 마지막으로 간경변증의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법과 합병증 관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2. 알코올성 간경변증 개요
2.1. 간의 구조 및 기능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장기 중 하나로, 체중의 약 2.5% 정도를 차지하며 무게는 약 1,300~1,800g 정도이다. 간은 복강 내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며 횡격막 바로 아래에 있다."
간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은 담즙을 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간세포에서 하루 500~1,000ml 의 담즙이 생산되며, 이 담즙은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지방의 유화를 돕고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돕는 등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간은 음식물 대사 기능을 한다. 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들은 간에서 적절히 처리되어 체내 조직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된다. 또한 간은 우리 몸에 필요한 일부 영양소를 보관하는 기능도 한다."
셋째, 간은 응고인자 생산 기능을 한다. 혈액 응고에 필요한 1, 2, 5, 6, 7, 9, 10번 응고인자를 생산한다."
넷째, 간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 기능을 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대사한다."
다섯째, 간은 혈액 순환 기능을 한다. 간에는 전체 혈액의 1/4이 보유되어 있는데, 쇼크 상황 발생 시 이 혈액을 공급하여 순환을 돕는다."
여섯째, 간은 식균 작용을 한다. 간에 있는 쿠퍼 세포가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해독 작용을 한다. 알코올, 약물, 그리고 체내에서 생성되는 여러 독소를 대사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이런 유해 물질이 축적되어 황달이나 약물 부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종합하면, 간은 매우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장기라고 할 수 있다."
2.2. 간경변의 정의 및 병태생리
간경변은 간 실질세포의 광범위한 변형과 섬유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진행성 간질환이다. 간세포 손상(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간에 흉터가 쌓이는 간섬유화증이 진행되며 간섬유화증이 간 전반에 걸쳐 진행되면 간경변증이 된다. 간경변증은 회복 불가능한 반흔이 생기는 것으로 여러 가지 간질환의 후기에 발생한다.
간경변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뒤틀려 나타나는 변화를 보인다. 즉, 간경변증은 원인에 상관없이 간섬유화(hepatic fibrosis)와 우둘투둘한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이 형성된다. 그 결과 간실질(parenchyma)의 감소, 간 기능의 저하, 혈류의 변화가 나타난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이 굳어지게 되고 결절로 변한 조직 때문에 담즙과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어 동양혈관(굴모양혈관, sinusoid) 압이 상승하고 이어 문맥압도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문맥성 고혈압과 그에 따른 합병증들이 발생하게 된다.간경변증의 발생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세포가 간염 바이러스나 독성 물질에 노출되면 간세포 손상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섬...
참고 자료
임경춘 외 (2020), 건강사정, 학지사메디컬
이은희 외 (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박순옥 외 (2019), 성인간호학Ⅰ, 퍼시픽북스
한국간호대학남자교수회 (2020), 포널스 임상메뉴얼, 포널스출판사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간호사를 위한 병리학, 수문사, 홍은영 외 저, 2020년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제3판 차영남 외 저 2020년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제 6판 조경숙 외 저, 2017년
성인간호학2, 수문사, 김금순 외 저, 2016년
성인간호학2, 수문사, 제3판 윤은자 외 저, 2020년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