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and A 수술 아동 케이스 스터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0.30
7,3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T and A 수술 아동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두염 Case Study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문헌고찰
1.2. 본론
1.2.1. 신체검진
1.2.2. 아동의 사정자료
1.2.3. 진단적 검사
1.2.4. 아동간호계획서
1.3. 가와사키병 Case Study
1.3.1. 서론
1.3.1.1. 연구의 필요성
1.3.1.2. 연구방법
1.3.1.3. 문헌고찰
1.3.2. 간호사정
1.3.2.1. 개인력
1.3.2.2. 건강력
1.3.3. 간호진단
1.3.4. 결론 및 제언
1.4. NICU 미숙아 Case Study
1.4.1. 서론
1.4.2. 본론
1.4.2.1. 대상자 간호력
1.4.2.2. 질병에 대한 기술
1.4.2.3. 대상자 간호과정
1.4.3.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두염 Case Study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인두염은 감염으로 인해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가장 많은 외래 진료 환자 수 10위(472만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0~9세가 27.1%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10대, 40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에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관찰한 인두염 증상들을 비교해보고, 적절한 치료법을 연구하여 인두염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간호사로서 대상자에게 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활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1.2. 문헌고찰

인두염은 감염에 의해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 장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엡스타인-바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A군 B-hemolytic streptosocci(용혈성 연쇄상 구균) 감염으로 인한 세균성 인두염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될 경우 후천성 심장병, 성홍열, 중이염, 화농성 감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인두는 공기와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감염성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아동의 경우 인두강 내의 림프조직이 비대해 있어 편도염과 상기도감염이 흔하다. 또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코를 통과하면서 가습되지 않고 기관으로 들어가 호흡기를 자극하기 때문에 아동의 인두염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인두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 등이 있으며, 상기도 감염과 동반된 비강 충혈로 인해 구강호흡을 하게 되고 구강점막이 건조해진다. A군 B-hemolytic streptosocci 감염에 의한 편도염과 인두염의 경우 두통, 복통,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일반적으로 삼출액을 동반한 편도와 인두의 염증은 시진으로도 관찰된다.

진단은 주로 아동의 증상과 인후 상태에 대한 시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인후배양검사와 연쇄상구균 감별진단법이 사용된다. 치료는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대증적 관리가 필요하며, 온열 생리식염수 양치, 진통소염제 투여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반면 세균 감염의 경우 페니실린 또는 아목사실린과 같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반복적인 감염이나 편도비대로 인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아데노이드절제술이나 편도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인두염의 원인과 발병기전,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인두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경우 인두강 내 림프조직 발달과 호흡기 특성으로 인해 인두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증상 및 진단, 치료 방법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1.2. 본론
1.2.1. 신체검진

신체검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피부 색깔, 상태 (탄력성, 건, 습) - 피부가 연분홍빛이 돌고 촉촉하게 땀이 있음. 발진이나 피부병변, 손상, 부종 없음.

두부 형상, 두혈종, 모발, 천문 - 두부는 동그랗고, 특별한 결절은 없으며, 모발은 윤기와 함께 매끄럽고 강한 상태임.

안면 표정, 근육운동 - 짜증스런 표정이며, 안면구조 대칭적이며, 기형 없음. 불수의적 움직임 관찰되지 않음.

귀 외이의 형상, 위치, 대칭, 분비물, 청력 - 외이의 양쪽 크기가 같고, 대칭적으로 위치함. 청력에 이상 없고, 분비물 없다.

눈 외이의 형상, 위치, 대칭, 분비물, 청력 - 양쪽 눈의 안검렬이 대칭적이며, 움직임과 동공반사 정상. 공막은 하얀색이고, 동공의 크기가 동일하며, 분비물 없음.

코 외형, 비강, 분비물 - 외형상 이상 없고, 좌우 비강이 대칭을 이룸. 비강은 투명한 색의 콧물로 인해 분비물로 꽉 차 있음.

입과 목안 치아 수, 잇몸상태, 입술(색, 외형), 혀, 구개, 편도선, 구강점막 - 치아는 빠진이 없고, 잇몸상태 이상 없음. 입술과 구강점막이 건조하고 입술색이 하얗게 보임. 구개, 편도선이 빨갛게 부어있음. 다량의 투명한 객담이 발견됨.

경부 외형, 결 - 경부의 외형은 정상적인 형태를 가짐. 갑상선 촉진 시 유연하고, 크기가 정상임.

척추 운동성, 외형 - 외형은 S자 곡선을 보임. 정상적인 운동성을 보임.

흉부 외형, 유방, 호흡양상, retraction, 흉위 - 호흡은 20회/min으로 이상 없음.

복부 외형, 복부상태(촉진), 연동운동(시진, 청진) - 복부의 외형과 상태는 호흡할 때 정상적으로 올라오고 약간 볼록 튀어나온 정도임. 청진 시 꼴록꼴록거리는 과다활동성 장음이 들림.

사지 관절, 선천성 기형(손, 발가락 수, 형상), 손톱(색) - 손가락, 발가락 수 정상적이며, 손톱은 분홍색을 띰.


1.2.2. 아동의 사정자료

아동의 사정자료는 다음과 같다.

신체검진 결과, 피부 색깔은 연분홍빛이 돌고 촉촉하게 땀이 있는 상태이며, 발진이나 피부병변, 손상, 부종은 없었다. 두부는 동그랗고, 특별한 결절은 없으며, 모발은 윤기와 함께 매끄럽고 강한 상태였다. 안면은 짜증스러운 표정이었지만, 안면구조는 대칭적...


참고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년 외래 진료 환자수 10위, 급성인두염”, blog.naver.com/ok_hira/221429200113. (2019. 04. 18.)
김희순 외 공역.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수문사, 2017.
김희순 외 공역.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수문사, 2017.
김금순 외,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2017년 3월 3일.
약학정보원, www.health.kr. (2019.04.17.)
임경춘 외, 『건강사정 7판』, 정담미디어, 2016년 2월 15일.
임동윤 역(2006),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제3판, 신일상사
양선희 외(2017), 기본간호학2, 현문사
방경숙 외(2014),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채석래, 권혜숙(2008).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도서출판 의학서원,P2-5, 20-54, 204-205
이은옥 외6명(2007), 간호진단과 중재 , 서울대학교출판부, 148p
송경애 외(2014).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2014)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박충선 외(2017). 아동건강간호학Ⅰ. 퍼시픽북스
박충선 외(2017).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
KIMS 의학정보 센터 http://www.kimsonline.co.kr/
BIT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SNUH 서울대학교병원어린이병원 http://www.snuh.org/child/
KMLE의약용어 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www.google.co.kr
http://www.snuh.org/
http://www.health.kr/
http://www.amc.seoul.kr/asan/main.do
https://emedia.rmit.edu.au/drugcalcs/?q=common_abbreviations
http://terms.naver.com/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p305-313, p325-331
고성희 외. 간호과정의 이해. 현문사
고성희 외.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