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순환전압전류법의 원리와 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기화학 실험을 통한 가역적 전기화학 반응 및 pH에 따른 산화 환원 특성 분석
1.1. 실험 목적
1.1.1. 순환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 활성 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확인
1.1.2. pH에 따른 p-benzoquinone의 환원 경로 분석
1.2. 실험 이론
1.2.1. 순환 전압전류법
1.2.2. 시간 전류법 및 시간 전하법
1.2.3. 양성자 결합 전자 전달 반응
1.3. 실험 결과 및 고찰
1.3.1. 주사 속도에 따른 RuHex의 순환 전압전류 특성 및 농도 분석
1.3.2. pH 변화에 따른 p-benzoquinone의 환원 경로 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기화학 실험을 통한 가역적 전기화학 반응 및 pH에 따른 산화 환원 특성 분석
1.1. 실험 목적
1.1.1. 순환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 활성 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확인
순환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 활성 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확인은 전기화학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분석 기법이다. 순환 전압전류법은 전극의 전위를 일정한 속도로 변화시키면서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전위 곡선을 얻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전기화학 활성종의 전극 흡착 여부, 산화·환원 반응의 가역성, 화학종의 확산 계수 등 다양한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우선, 순환 전압전류법의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 전극의 전위를 시간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전위 곡선인 순환 전압전류 곡선을 얻게 된다. 작업 전극의 전위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산화 전류가 흐르고,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환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관찰되는 산화 피크 전압(Epa)과 환원 피크 전압(Epc)으로부터 반응의 가역성을 판단할 수 있다. 가역적 반응의 경우 Epa-Epc = 57.0/n mV의 관계를 만족하며, 산화 피크 전류(Ipa)와 환원 피크 전류(Ipc)의 크기도 같게 된다.
또한 순환 전압전류 곡선으로부터 전기화학 활성종의 확산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Randles-Sevcik 식에 따르면 피크 전류는 전기화학 활성종의 농도와 주사 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피크 전류와 주사 속도의 제곱근 간의 선형 관계를 통해 확산 계수를 구할 수 있다.
이처럼 순환 전압전류법을 이용하면 전기화학 활성종의 다양한 정성 및 정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물질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순환 전압전류법은 전기화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1.1.2. pH에 따른 p-benzoquinone의 환원 경로 분석
pH에 따른 p-benzoquinone의 환원 경로 분석은 전기화학적 반응의 정성적인 분석을 위해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pH를 2.64, 3.74, 4.65, 5.64로 변화시키며 p-benzoquinone의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pH가 증가할수록 p-benzoquinone의 mid-peak potential이 낮은 전위로 이동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pH가 증가할수록 용액 내 양성자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protonation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환원 반응이 더 많은 전자 에너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mid-peak potential의 pH에 대한 기울기가 -59.2mV로 나타나, PCET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 수와 양성자 수가 각각 2개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p-benzoquinone의 가능한 환원 경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p-benzoquinone이 2개의 전자와 2개의 양성자를 받아 불안정한 QH 라디칼 중간체를 거쳐 최종적으로 QH2 형태의 환원체가 생성되는 2e-2H+ 반응이 진행된다. 이러한 PCET 반응 경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pH 조건인 중성에 가까운 환경에서 주로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약 용액의 pH가 QH2의 pKa보다 충분히 높아지거나, p-benzoquinone의 농도가 양성자 농도에 비해 충분히 높아지는 경우에는 반응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p-benzoquinone이 먼저 2개의 전자를 받아 Q2- 형태를 거치며, 이후 용액 pH에 따라 다양한 protonation 단계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더 다양한 pH 조건에서의 실험을 통해 p-benzoquinone의 환원 반응 메커니즘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실험 이론
1.2.1. 순환 전압전류법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
참고 자료
순환 전압전류법, 화학백과, 분석화학 P. 458~ 45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27381&cid=62802&categoryId=62802
알루미나, 화학 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9612&cid=60227&categoryId=60227
작업 전극, 기준전극, 상대 전극, 포화 칼로멜 전극, 화학용어사전, 분석화학 p. 43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10979&cid=50313&categoryId=5031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09083&cid=42420&categoryId=42420
페리시안화칼륨, doopedia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1228
이아름 외 3명, 화공기초실험교안 中 '실험 ',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2020, pp.
Douglas A. Skoog, 스쿠그의 분석화학 강의 제 9판, 분석화학연구회, 2021, CENGAGE
전형적인 CV 곡선의 예, 가역반응계 설명 http://www.qrins.com/tt/site/ttboard.cgi?act=read&db=echemnews&idx=158
순환 전압전류법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27381&cid=62802&categoryId=62802
보조전극 [네이버 지식백과/화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5805&cid=50313&categoryId=50313
일정전위기[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347&cid=62802&categoryId=62802
화학대사전,페리시안화칼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17442&cid=60227&categoryId=60227
질산칼륨, 칼륨시인화제2철, 화학물질정보, http://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http://www.wizmac.com/2015/lecture/board01_view.htm?No=257&Sub_No=8
위키백과, 페리시안화 칼륨, https://ko.wikipedia.org/wiki/%ED%8E%98%EB%A6%AC%EC%8B%9C%EC%95%88%ED%99%94_%EC%B9%BC%EB%A5%A8
Harris, D. C.; Lucy, C.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9th ed.; Macmillan Higher Education, 2015, pp.453-455.
Elgrishi, N.; Rountree, K. J.; McCarthy, B. D.; Rountree, E. S.; Eisenhart, T. T.; Dempsey, J. L. A Practical Beginner’s Guide to Cyclic Voltamme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17, 95 (2), 197–206.
Wei, C.; Sun, S.; Mandler, D.; Wang, X.; Qiao, S. Z.; Xu, Z. J. Approaches for Measuring the Surface Areas of Metal Oxide Electrocatalysts for Determining Their Intrinsic Electrocatalytic Activity. Chemical Society Reviews 2019, 48 (9), 2518–2534.
Tomiyasu, H.; Shikata, H.; Takao, K.; Asanuma, N.; Taruta, S.; Park, Y.-Y. An Aqueous Electrolyte of the Widest Potential Window and Its Superior Capability for Capacitors. Scientific Reports 2017, 7 (1), 45048.
Islam, Md. Merajul.; Kant, R. Generalization of the Anson Equation for Fractal and Nonfractal Rough Electrodes. Electrochimica Acta 2011, 56 (12), 4467–4474.
Quan, M.; Sanchez, D.; Wasylkiw, M. F.; Smith, D. K. Voltammetry of Quinones in Unbuffered Aqueous Solution: Reassessing the Roles of Proton Transfer and Hydrogen Bonding in the Aqueous Electrochemistry of Quinon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7, 129 (42), 12847–12856.
Son, E. J.; Kim, J. H.; Kim, K.; Park, C. B. Quinone and Its Derivatives for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Material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16, 4 (29), 11179–11202.
Bailey, S. I.; Ritchie, I. M. A Cyclic Voltammetric Study of the Aqueous Electrochemistry of Some Quinones. Electrochimica acta 1985, 30 (1), 3–12.
Robinson, D. L.; Venton, B. J.; Heien, M. L. A. V.; Wightman, R. M. Detecting Subsecond Dopamine Release with Fast-Scan Cyclic Voltammetry in Vivo. Clinical Chemistry 2003, 49 (10), 1763–1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