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앙아시아의 독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지정학적 위기
1.1.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지정학적 의의
1.2. 카자흐스탄의 외교 전략: 멀티 벡터리즘과 유라시아주의
1.3. 카자흐스탄과 타국가들 사이의 관계
2.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활동
2.1. 국가 발전 전략
2.2. 대외 정책
2.3. 한국-우즈베키스탄의 관계 현황 및 전망
3. 푸틴 2기와 오바마 정권의 중앙아시아 전략
3.1. 푸틴 집권기 중앙아시아 국가 전략 동향
3.2. 중앙아시아에 대한 21세기 미국의 경제적 견제 전략
3.3. 독립 국가들의 동향 분석
3.4.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에서 중국의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지정학적 위기
1.1.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지정학적 의의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은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맥킨더의 "심장부 이론"에 따르면 중앙아시아는 세계를 지배할 수 있는 "심장부" 지역으로, 이 지역을 통제하면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고 한다. 중앙아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이자, 막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곳이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방대한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주변국들의 관심과 개입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러시아, 미국, 중국 등 강대국들이 카자흐스탄을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두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지리적 위치와 자원의 풍요로 인해 유라시아 대륙을 장악할 수 있는 핵심적 지위를 점하고 있어, 주변국들의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는 무대가 되고 있다.
1.2. 카자흐스탄의 외교 전략: 멀티 벡터리즘과 유라시아주의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후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해 많은 제도를 정비하고 체제를 닦아야 했다. 그 중 핵심은 자치독립공화국으로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무너진 경제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국가 정체성은 국가를 하나로 통합시키고 발전 방향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이념이다.
카자흐스탄은 '유라시아주의'를 국가의 비전으로 내세웠다. 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주의는 아시아와 유럽의 중간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인지하고 두 지역의 매개자이자 유라시아의 심장 역할에 주안점을 둔다. 유라시아의 중심에 위치한 두 대륙의 가교로서 유럽과 아시아를 매개하고 문화, 경제, 종교, 정치적으로 심장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국가적 사명으로 인식한다. 이 개념은 단순한 지리적 연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민족적 다양성을 어떻게 조화롭게 융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국가, 민족들과 소통하고 협력해서 궁극적으로는 국제적 위상을 드높이는 국가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한편 이 유라시아주의는 국내적으로는 소수민족을 수용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민족의 다문화성을 국가 건설 과정 속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카자흐스탄은 내적으로는 국민의 통합을 이루는 것을 중시하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유라시아주의는 카자흐스탄의 공식적인 국가 정체성이자 이념으로 발전되어 왔다.
카자흐스탄은 '멀티 벡터리즘(Multi-Vectorism)'을 선택하였다. 멀티 벡터리즘이란 러시아와의 전통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지나친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서 미국, 유럽연합, 중국, 중동국가들 등 다양한 국가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다변형 외교를 의미한다. 여러 국가들 사이에서 필요 관계에 따른 협력과 견제로 자국의 세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카자흐스탄 외교의 핵심으로 지리적으로 중심에 위치해있고 자원이 풍부하다는 이점을 잘 이용한 전략이다.
멀티 벡터리즘은 러시아로부터의 주권을 지키려는 요인에서 기인하기도 했지만 경제적 측면도 있었다. 카자흐스탄은 국가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경제 개발이 필수적이었다. 독립 이전의 CIS 국가들은 러시아에 원재료를 공급하고 식량을 생산하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러시아 경제와 엘리트들에 의존하고 경제적 기반이 거의 없었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의 자본과 인적 자원이 빠져나가자 독립국들의 경제는 파탄이 날 지경이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국가의 경제력 회복이 가장 큰 국정과제로 등장하였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실리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국가들과의 이익 관계에 따라 외교 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이를 통해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외국 자본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전략은 카자흐스탄이 적절한 외교 정책을 활용하여 자국의 국익을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1.3. 카자흐스탄과 타국가들 사이의 관계
카자흐스탄과 타국가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고 볼 수 있다. 카자흐스탄은 유라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여러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후 '멀티 벡터리즘'이라는 외교 전략을 통해 러시아, 미국, 유럽, 중국, 중동 등 다양한 국가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이는 어느 한 강대국에 치중하지 않고 다각도로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이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와의 역사적, 문화적 유대관계를 토대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의 강력한 주도로 탄생한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핵심 회원국이며, 양국은 에너지, 교통,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왔다.
한편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카자흐스탄은 에너지 자원 개발과 중앙아시아 지역의 안정화를 위해 중요한 파트너로 부상하였다. 카자흐스탄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협조하면서 미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해왔다. 하지만...
참고 자료
Mackinder,H.J, The Geographial Pivot of History, 2004, The Geographical Journal, Vol.23, No.4,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거대한 체스판, 2000, 삼인출판사
이경희, 중앙아시아 지정학의 변화와 정체성, 2007, 중동연구 제26권 1호
양정훈, 중앙아시아의 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2005,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Tsay Tatyana,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와 역내 국가들의 대응정책: 지정학이론을 중심으로, 2011,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영형, 카자흐스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 평가: 지리환경 변수를 중심으로, 2010, 서울대학교 국제학 연구소
이재영외 5인, 포스트소비에트 20년 중앙아시아의 미래: 통합 가능성과 균열 요인 연구, 20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세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제국의 지배, 그리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지정학적 고찰, 2008,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서동진, 카스피해의 지정학적 가치와 자원외교, 2010, 한양대학교 대학원
윤성욱, 유럽연합 대외정책의 제약과 한계-대 중앙아시아 정책을 중심으로, 2015, 아시아 유럽 미래학회
율다세프, 중앙아시아 대외경제정책, e-Eurasia 제9권 (2008.11), 국제학술회
이지은, 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주의와 대외정책, 2014,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 24-3집
이홍섭, 카자흐스탄의 대외정책: ‘전방위 외교정책’의 모색, 2007, 슬라브 연구 제 23권 2호
그림2,3 출처: https://www.quora.com/What-is-Mackinders-heartland-theory
그림4 출처: 이지은, 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주의와 대외정책, 2014,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 24-3집
외교부 보도 자료_제13차 한-우즈베키스탄 정책협의회 개최(2019)
외교부 외교 간행물_2019 우즈베키스탄 개황(2019)
레포트월드_사회과학 리포트_대우자동차의 우즈베키스탄 진출사례(2018)
문재인 대통령 한국 대통령 최초 우즈베키스탄 의회 연설 “신북방정책 비전 제시”(2019)
주용식. 미국의 국가 대전략(The Grand Strategy)과 유라시아(Eurasia): 대중앙아시아(GCA: The Greater Central Asia) 중심. 2012
박정호. 21세기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국가전략 -푸틴 집권기 중앙아시아 정책의 기본 방향과 특성을 중심으로-, 슬라브연구. 2009
윤익중. 러시아-미국 관계발전과 중앙아시아 지역: 푸틴 3기 정권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2016. 243p
Elizabeth Wishnick. Rus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Central Asia: Prospects for great powe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the shadow of the georgian cri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