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국어교원 수업지도안(초급) 작성
1.1. 수업 개요
수업 개요는 해당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과 흐름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문서 [1]에 따르면 이 수업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인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를 학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습 대상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이며, 총 수업 시간은 50분이다. 수업의 주요 내용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을 익히는 것이다. 수업에 사용되는 교구로는 화이트보드, 형용사/동사/명사카드, 문장카드, ppt, 활동지 등이 있다. 전반적으로 이 수업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추측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학습 목표 및 내용
이 수업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습 목표는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를 사용하여 여러 상황으로 이루어서 현재 그런 일이 일어나거나 그러한 상태에 있다고 불확실한 판단에 대한 추측을 나타낼 수 있다"이다. 즉, 학습자들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자신의 추측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이다.
수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입 단계에서는 지난 수업 내용을 복습하고, 이번 수업에서 새롭게 다룰 표현들을 소개한다. 제시 단계에서는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의 형태와 사용법을 설명한다. 받침 유무에 따른 차이, "있다/없다"로 끝나는 형용사의 사용법, 부정 표현의 사용법 등을 다룬다.
연습 단계에서는 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직접 문장을 만들어 보고, 그림 카드와 문장 카드를 연결해 보는 활동을 한다. 마지막으로 활동 단계에서는 짝 활동으로 상황을 만들고 문장을 만드는 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새로 배운 표현을 능동적으로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한다.
1.3. 교수-학습 활동
1.3.1. 도입 단계
도입 단계는 수업의 시작을 알리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주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수업 목표를 명확히 전달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료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도입 부분을 이끌어나가야 한다.
이 수업에서 교사는 지난 시간에 배운 문법인 "V-(으)ㄹ N"을 복습하며 수업을 시작한다. 교사는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관련 문법을 점검하고, 오늘 배울 내용인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를 소개한다. 특히 이 표현이 불확실한 판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점을 강조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또한 창밖의 풍경을 관찰하며 이 표현을 예시로 보여줌으로써 실생활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3.2. 제시 단계
제시 단계에서는 교사가 수업 주제와 관련된 문법을 설명하고 예문을 통해 구조와 형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문법형태와 용법을 명확히 제시하여 학생들이 문법 항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교사는 오늘 배울 문법 표현인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를 판서하여 제시한다. 이 표현은 형용사, 동사, 명사와 결합하여 불확실한 판단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문법이다. 받침이 없는 경우와 받침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여 학생들이 정확한 문법 형태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교사는 예문을 들어가며 문법의 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인은 요즘 바쁜 것 같아요.", "피곤한 것 같은데 좀 쉬세요."와 같은 문장을 제시하여 형용사와 'A-은/ㄴ 것 같다'가 결합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또한 "지금 밖에 비가 오는 것 같아요.", "아래층에서 불고기를 먹는 것 같아요."와 같은 동사 문장도 함께 제시한다.
이처럼 교사는 다양한 예문을 통해 학생들이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 표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있다', '없다'로 끝나는 형용사와 결합하는 경우도 별도로 설명하여 문법 사용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이 표현의 부정 형태도 제시한다. 받침 유무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부정 표현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학생들이 상황에 맞는 정확한 문법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시 단계에서는 교사가 명확한 문법 설명과 다양한 예시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문법 사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1.3.3. 연습 단계
연습 단계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직접 연습하고 적용해볼 수 있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학습 내용을 확실히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교사가 PPT를 보여주며 학생들에게 문법 표현을 연습하도록 한다. 교사가 예문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돌아가며 받침의 유무에 따라 정확한 표현을 만들어 답변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A-(으)ㄴ 것 같다, V-는 것 같다, N인 것 같다" 표현을 반복적으로 익히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교사가 일상적인 상황들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짝과 함께 대화를 만들어 본다. 예를 들어 "운동화 사이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