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가 겪은 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McCubbin의 가족탄력성
2.1. 조정 단계
2.2. 위기 단계
2.3. 적응 단계
3. 가족탄력성 적용 사례
3.1. 자녀와의 갈등 경험
3.1.1. 스마트폰 사용 문제
3.1.2. 의사소통 문제
3.2. 위기 극복 노력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이 위기와 스트레스에 적응을 하고 역경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인 가족탄력성은 고위험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가족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개인 탄력성 이론이 발전되어 가족에 적용된 것이다. 이는 지속적으로 고위험 상황에 놓인 가족이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고 적응해 나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서 가족스트레스 상황에서 가족 어떤 요인들이 유연하게 적응해 나가는지에 관한 것이 결과적으로 가족탄력성 연구의 기반을 이루었다. 가족 탄력성이란 가족체계 내에서 건강하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의 스트레스나 위기상황 속에서 가족의 분열을 막는 가족의 긍정적인 능력이며 또한 가족이 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적응력이 되고 변화에 직면하여 위험에 적응하도록 돕는 가족의 특징, 차원, 속성이라고 정의하였다.
2. McCubbin의 가족탄력성
2.1. 조정 단계
가족의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가족들은 조정 단계를 거치면서 가족들이 매일의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형성해 온 역할, 규칙, 상호작용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 시도한다"" 가족 조정단계는 가족과정과 결과를 모양을 지우는 일련의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특징이 지어진다" 이러한 요소들은 가족 구성원의 스트레스 요인, 심각성, 가족의 문제 해결, 가족의 평가, 대처방법이다" 조정이 성공했을 때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가족 기능의 패턴이 유지되고 환경적 영향에 대한 가족의 통제감이 강한 반면, 실패할 경우 형성된 기능 패턴에서 변화가 요구되는 가족위기상황을 직면하게 된다"
2.2. 위기 단계
가족위기는 균형과 조화를 복구하는 가족사회적 체계에서 지속적으로 파괴적이고 해체적인 능력 상실의 상태로 가족의 기능 패턴에서 보다 본질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개념화 되어 왔다"" 가족 스트레스는 가족능력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는 긴장 상태인 반면 위기는 부조화,...
참고 자료
김익균 , 건강가정론, 파워 북, 2008
이희세, 치매노인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 2015
이영실 외 4, 가족치료, 양서원, 2017
이영숙,박경란, 현대가족관계학, 신정, 2010
이원숙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6
김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15
최규련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2012
조희금 외, 2018, 건강가정론, 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