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1.1. 정의
지주막하출혈이란 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3종류의 뇌막 중 경막과 연막 사이에 위치한 지주막하강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지주막하강은 뇌척수액으로 차 있어 뇌와 두개골 사이의 완충작용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 공간에 혈액이 스며들어 혼합되면 지주막하출혈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두개내압이 상승하면서 두통, 구토,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지주막하출혈은 비교적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뇌동맥류의 파열이 가장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1.2. 발생원인
1.2.1. 뇌동맥류의 파열
뇌동맥류의 파열은 지주막하 출혈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전체 원인의 65%를 차지한다"" 뇌동맥류란 뇌혈관의 일부분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약화되어 확장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뇌동맥류는 주로 매끄러운 구형 또는 낭상 모양의 팽대가 있으며, 주로 혈관의 분지점 부위에 호발한다"" 이러한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순간적으로 대량의 출혈이 일어나 지주막하 공간에 혈액이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뇌동맥류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선천적 혈관벽의 이상, 동맥경화, 고혈압, 심방 점액종, 혈관염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령층에서는 동맥경화와 고혈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갑작스러운 스트레스나 과도한 육체활동 등이 동맥류의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1.2.2.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
지주막하출혈은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눌 수 있다. 자발성 출혈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뇌혈관에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선천적인 뇌동맥류나 기타 뇌혈관 기형이 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터져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으로는 뇌동맥류의 파열, 뇌동정맥 기형의 출혈, 추골 동맥의 박리, 뇌혈관염, 혈액응고 이상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이 80%로서 지주막하 출혈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의심하게 된다. 반면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은 직접적인 두부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1.3. 병태생리
뇌동맥류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지주막하 공간에 출혈이 스며들게 된다. 이후 출혈로 인해 두개내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수막 자극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가장 흔한 뇌동맥류의 형태는 방추상 동맥류와 낭상 동맥류이다. 이러한 동맥류는 동맥벽의 선천적 허약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낭상 동맥류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낭상 동맥류는 혈관벽에 좁아진 부위인 "목"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후교통동맥과 내경동맥 접합부에 위치한 Willis 환의 전반부에서 발생한다. 방추상 동맥류는 대부분 더 큰 동맥인 기저동맥과 경동맥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동맥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지게 되며, 이는 반복된 혈관 조영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커진 동맥류가 어떤 스트레스(예: 흥분, 과로, 용변 등)에 의해 파열되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1.4. 증상과 징후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심한 구역질과 구토 등의 의식이 있는 경우에서부터 실신이나 의식이 소실되는 경우까지 그 증상이 다양하나, 무엇보다도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머리를 망치로 맞아 깨질 것 같은 정도의 극심한 두통이다. 이 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