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군주론과 두려움 없는 조직
1.1. 군주론의 주요 내용
군주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주변 국가를 획득하고 다스리기 위해서는 직접 나라에 파견을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일한 언어, 문화, 관습을 가진 나라는 다스리기 쉽지만, 다른 언어와 문화, 관습을 가진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문제가 야기 된다. 직접 파견을 가면 물품, 군대, 행정이 왕이 있는 곳으로 모이기 때문에 나라가 발전하고 풍요로워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주변국이 수탈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왕이 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나라 곳곳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군대를 파견해야 한다.""
둘째,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군대와 훈련 방법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가를 지불하고 사온 군대를 용병, 도움을 주기 위해 외국에서 파견한 군대를 원군, 그리고 자기 나라 군대를 자국군이라고 부른다. 용병과 원근은 절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직 자국군과 함께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인색하고 백성이 두려워해야 하며, 약속을 잘 지키지 않아야 한다고 보았다. 백성들에게 사랑받는 군주보다는 두려운 군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랑하면 위급할 때 곁에 남는 사람이 없지만, 두렵기 때문에 애초에 떠날 생각을 하지 못한다고 설명한다.""
넷째,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사자와 여우를 모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자의 용기로 약속했다가 지키지 못하게 되면 여우처럼 상황을 헤쳐나가야 하고, 여우처럼 교활하게 약속을 지켰다가 먹히지 않으면 사자처럼 정면 돌파 해야한다고 말한다. 군주는 약속에 구속되어서는 안되며, 악행도 서슴지 말아야 한다.""
1.2. 두려움 없는 조직의 핵심 주장
두려움 없는 조직의 핵심 주장은 모든 구성원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안전한 조직"을 이루기 위해서는 "심리적 안정감"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움 없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환경, 즉 두려움 없는 조직은 조직운영에 있어 이상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저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조직 구성원이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분위기라고 설명하며, 이는 어떠한 환경 속에서 불편감, 억압으로 인해 벗어나고 싶은 감정과는 정반대의 개념이다"" 조직 문화를 구축하는 그 시작과 끝이 리더십인 것처럼, 이 책에서는 심리적 안정감을 배양하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의 세 가지 핵심역량과 구체적인 리더들의 행동 준거를 사례들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
1.3. 군주론과 두려움 없는 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군주론과 두려움 없는 조직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유롭게 피력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군주론에서는 아랫사람의 직언에 화를 내서는 안 되며, 두려움 없는 조직에서는 구성원 모두가 심리적 안정감을 느낀다면 동료들의 눈치 없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이나 질문, 우려 사항을 말할 수 있다고 명시하였다""
차이점으로는 군주론에서는 백성이 군주를 두려워해야 결국 떠나는 구성원이 없으며 나라가 유지된다고 명시했지만, 두려움 없는 조직에서는 두려움이 결코 효과적인 동력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문제 제기에 소극적이게 만든다고 명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