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아시아 선사문화의 전개
1.1.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업
동아시아 지역의 자연환경은 매우 다양하며, 이에 따라 생업 활동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우선 동아시아의 지리적 범주를 살펴보면, 동서로는 일본 열도에서 티베트 고원까지, 남북으로는 베트남에서 몽골 고원까지 포함된다. 이 지역에는 여러 국가와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한민족, 한족, 몽골족, 흉노족, 일본 민족, 티베트족, 베트남 민족 등이 포함된다. 이들 민족은 한자, 불교, 유교, 율령 등의 문화 요소를 공유하며 동아시아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지형을 살펴보면, 서쪽으로는 해발고도 5,000미터를 넘는 티베트 고원이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해발고도 1,000미터 이하의 구릉과 평원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지형적 차이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습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온대기후, 건조기후, 냉대기후, 열대기후 등 다양한 기후가 공존하며, 대륙 내부는 기온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이러한 자연환경의 차이는 동아시아 지역의 생업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우선 연 강수량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 남부, 일본 규슈 남부, 베트남 등 연 강수량이 800mm 이상인 지역에서는 논농사(벼농사)가 주된 생업 활동이었다. 반면 한반도 북부, 중국 화북 지역, 일본 홋카이도 등 연 강수량이 400~800mm인 지역에서는 밭농사와 목축이 주된 생업 활동이었다. 또한 만주 일부와 몽골 고원 남부 등 연 강수량이 400mm 이하인 지역에서는 유목이 주된 생업 활동이었다.
농경 사회와 유목 사회의 생활 양식 차이도 두드러졌다. 농경 사회의 경우 정착 생활을 하며 농번기와 농한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공동 노동 조직이 발달했고, 지모신앙 등의 종교적 관습이 형성되었다. 반면 유목 사회에서는 가축의 먹이와 물을 찾아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며, 부족 단위의 생활과 부족장의 권력이 강한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동아시아 지역은 지형, 기후, 강수량 등 자연환경의 다양성으로 인해 농경과 유목이라는 서로 다른 생업 활동이 공존했다. 이는 역사적으로 농경 사회와 유목 사회 간의 교류와 충돌을 낳는 배경이 되었다.
1.2.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는 큰 강과 해안가를 중심으로 기원하여 계통이 다른 다양한 문화가 발전했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토기를 중심으로 이들 문화를 구분할 수 있다.
빙하기가 끝나며 기온이 온난 습윤하게 변화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신석기 혁명이 시작되었다. 대형 초식 동물이 사라지고 사슴과 멧돼지 같은 작고 빠른 동물들이 출현하면서 간석기 제작이 필요해졌다. 또한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는데, 조, 보리, 수수 등의 작물을 재배하고 돼지, 개 등의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함께 신석기 시대인들은 토기 제작, 뼈바늘로 옷감과 그물 제작, 움집 거주 등의 생활 모습을 보였다. 집단의 규모가 커져 씨족과 부족이 형성되었고, 씨족 구성원 간의 분업도 발생했다. 또한 애니미즘, 샤머니즘, 조상숭배, 토테미즘 등 다양한 신앙이 나타났다.
중국 지역의 신석기 문화로는 황허강 유역의 양시오 문화와 다원커우 문화, 창장강 유역의 허무두 문화, 그리고 랴오허강 유역의 홍산문화 등이 있다. 이들은 각기 독자적인 문화적 특징을 보였는데, 예를 들어 양시오 문화는 채도 제작, 다원커우 문화는 홍도와 흑도 제작, 허무두 문화는 농기구 제작과 벼농사 실시, 홍산문화는 용 모양의 옥기 제작과 여신 숭배 등이 그것이다.
한반도 지역에서는 이른 민무늬토기,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토기 등이 제작되었고, 조, 피, 수수 등의 작물이 재배되었다. 일본 열도에서는 조문 문화가 발달했는데, 농경보다는 사냥·어로·채집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베트남 지역의 경우 뗀석기와 초보적 간석기가 사용되다가 이후 농경이 시작되고 정교한 토기가 제작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이처럼 동아시아 각지에서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자원에 따라 서로 다른 신석기 문화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농경 기술의 발달, 토기 제작, 사회 조직의 발전 등의 모습을 보였다. 이는 신석기 혁명이 동아시아 지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 국가의 성립과 발전
2.1. 청동기 문화 ~ 하·상주와 춘추 전국 시대
청동기 문화 ~ 하·상주와 춘추 전국 시대는 동아시아 국가 성립과 발전의 주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청동기 문화가 발달하면서 지배층의 권력이 상승하고,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중국에서는 하, 상, 주 왕조가 성립하고 춘추 전국 시대를 거치면서 역사적 변화가 있었다.
청동기 문화의 발달은 농업 생산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