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자궁경관무력증의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사례 연구에서는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치료, 간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신 중반기나 말기 초에 자궁수축 및 진통이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어 태아가 누르는 무게로 인해 양막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조그만 자극에도 양막이 파열되며 양수가 나오며 미숙아가 출생되거나, 저체중 태아가 나오게 되어 결국 임신손실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자연유산, 습관성 유산 등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자궁경관무력증이다. 이로인해 자궁경관무력증의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 문헌고찰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중 자궁경부의 구조나 기능에 결함이 있어 자궁경부가 갑자기 열리면서 임신 소실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임신 동안 자궁경부는 단단하고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임신 말기나 분만 시 부드럽게 되어 태아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의 경우 자궁경부의 이러한 기능이 저하되어 임신 중반기부터 자궁경부가 자연스럽게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태아, 태반, 양수 등이 조기에 배출되어 임신 소실이 발생하게 된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선천적인 자궁경부의 구조적 이상이나 과거 분만이나 유산 시술로 인한 경부 손상,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등의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쌍태 임신이나 다태 임신과 같이 자궁의 과도한 팽창도 자궁경관무력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대개 임신 20-25주 사이에 잘 발생하지만 그 전후로도 생길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맑은 질 분비물의 증가, 이슬과 같은 질 출혈, 간헐적인 자궁 수축 및 배뭉침, 양막 탈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정상 임신 중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이어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신력 및 과거력 청취와 함께 자궁경부 검사와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하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진단은 쉽지 않은데, 특히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지연될 수 있다. 임신 전 진단 방법으로는 자궁경부 시진 및 촉진, 자궁 조영술, 트랙션 테스트, 헤가 테스트 등이 있고, 임신 중 진단 방법으로는 질식 초음파 검사가 가장 중요하다. 질식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경부 길이 감소, 자궁내구 개대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는 크게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침상 안정, 자궁 이완제 투여, 페서리 삽입 등이 포함되며, 수술적 치료로는 자궁경부 원형 봉합술이 주로 시행된다. 자궁경부 원형 봉합술은 임신 전 또는 임신 중기에 실시할 수 있으며, 자궁경부를 묶어 임신 유지를 돕는다. 그러나 이 수술 역시 출혈, 자궁수축, 조기양막파수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의 간호에서는 감염 예방, 투약 교육, 낙상 및 변비 예방 등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의 불안감을 파악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약물 치료의 필요성과 부작용을 교육해야 한다. 또한 활동 제한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2. 본론
2.1. 자궁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자궁은 골반 한가운데에 있는 장기로서 보통 질과 직각을 이루며 앞의 방광과 뒤의 직장 사이에 위치한다. 자궁은 길이 약 8~9cm, 폭 6cm, 두께 4cm 정도로 커다란 달걀 모양이며, 무게는 50mg 정도 된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된 후 자궁 내에 착상을 하면 자궁은 40주(수정 후로는 38주) 동안 수정란을 태아로 성장하게 하는 아기집의 역할을 한다. 만삭 시 자궁은 그 무게만 1kg으로 임신 전에 비해 20배로 늘어나며, 용적도 평상시에는 자신의 주먹 정도의 크기이지만 임신하게 되면 임신 전 부피의 500배까지 늘어난다.""
자궁은 자궁협부라는 부분을 경계로 하여 그 위쪽 2/3를 자궁체부, 아래쪽 1/3을 자궁경부라고 한다. 자궁경부의 한가운데에는 자궁경관의 입구가 되는 자궁경구가 있으며, 이곳이 자궁경부암 검사를 하는 곳이다.""
자궁체부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두꺼운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는 자궁강이라 불리우는 공간이 있고 자궁내막이라는 부드러운 점막층으로 덮여있다. 자궁내막의 두께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고 월경주기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월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