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경수업의 운영성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
2.1.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2.2. 혁신학교의 특징
2.3. 혁신학교에 대한 긍정적 평가
3. 혁신학교 정책의 문제점
3.1. 수업 및 학교운영 차원에서의 차별화 부족
3.2. 혁신학교 성과 지표의 부족
3.3. 교원 등 인적 구성 측면에서의 문제
4. 혁신학교 정책의 개선방안
4.1. 비대면 수업과 학교운영에서의 참여 기회 보장
4.2. 혁신학교 성과 지표의 개발 및 확산
4.3. 혁신학교 교원 구성의 안정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본 보고서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과 쟁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공교육 개선 정책의 하나로 경기도 교육청에서 처음 실행된 혁신학교 정책이 12년째 시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교혁신은 '기존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학교운영 체제 및 교육 여건을 고쳐서 새롭게 하고 학교 구성원들의 상호학습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인식과 태도를 바꾸어 새로운 교육행위를 추구함으로써 전보다 향상된 학생들의 교육적 성취 수준을 보여주고 높여주는 변화'를 의미한다. 코로나 19가 창궐하고 온라인 교육이 도입됨에 따라 학교 현장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전 학년 등교가 아닌 일부 학년 등교, 등교 수업에서도 학생들 간 거리 두기 강화 및 일과 운영 시간 단축과 같은 변경이 있다. 온라인 수업에서도 화상 수업, 콘텐츠 수업 등 수업 방식이 다양하고 디지털 매체와 기기를 이용한 수업 운영이 증가하고 있다. 화상 수업에서 디지털 기기 매체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창의적으로 참여하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에 따른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과 쟁점들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혁신학교 정책이 처음 시작되었고,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던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할 것이다.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는 이전의 학교혁신 정책은 학교와 교사를 혁신의 대상으로 상정한 채 중앙정부가 입안하고 시도교육청을 동원하여 하향식으로 추진된 것이었다면, 2009년 이후 경기도 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교사들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교육청이 지원하고 성공사례를 제도화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2.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
2.1.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은 2009년 이후 교사들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교육청이 지원하고 성공사례를 제도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이다. 2021년 3월 1일 기준 경기도 총 2445교 중 931개교가 혁신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 교육청의 2021년 혁신학교 정책 방향은 첫째, 공교육 정상화를 넘어 새로운 도전으로 미래 교육을 선도하는 혁신학교 운영, 둘째, 혁신학교의 학교별 특성화, 추진 주체의 지역화 유형의 다양화 추구, 셋째, 혁신교육 역량 강화 및 성과 확산으로 혁신학교의 성장 심화 도약이다"이다.
2.2. 혁신학교의 특징
혁신학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교육 체제 내에서 입시와 성적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의 창의력과 전인적 성장을 교육목표로 삼아 교육과정, 수업 방식, 학교조직과 의사소통구조, 학교 문화 등 종합적 영역에서의 혁신을 시도한다. 즉, 기존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학교운영 체제 및 교육 여건을 고쳐서 새롭게 하고 학교 구성원들의 상호학습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인식과 태도를 바꾸어 새로운 교육행위를 추구함으로써 전보다 향상된 학생들의 교육적 성취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1).
둘째, 교장이나 관리자만이 독보적인 권한을 가지고 학교혁신을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여, 교사들의 높은 자율성을 토대로 서로 소통해가며, 교사들 스스로가 단위학교의 상황과 특성, 필요에 맞는 혁신을 자발적으로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간다"1).
셋째, 학교 구성원들은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여 학교운영과 학교 교육에 참여하고, 교사를 주축으로 교장, 학부모, 학생 등 단위학교의 학교 교육에 참여하여, 혁신의 참여 주체이자 혁신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1). 이를 통해 민주적 학교 운영체제를 구축하고자 한다.
넷째, 단위학교 교사들의 자발적...
참고 자료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 교육문화연구 제 25권 제 2호(2019), pp,122-135
'시험 없는 학교에 보낼 수 없다'는 혁신학교 반대 학부모님께-교사가 본 경원중학교 혁신학교 전환 번복 사태... 교육에 대한 성찰 필요‘, 서부원, 오마이뉴스, 2020.12.1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01591
'학교혁신 지원체제 분석연구', 김흥주, 박재윤, 이석희, 이정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7, 2005.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온라인, 오프라인, 그리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혼합한 것(IT용어 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혁신 고등학교 운영과정의 특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유경훈, 교육행정학연구, 32(4), 229-261. 2014.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성기선, 교육비평(33), p.125, 2014.05.
‘2021 혁신(공감)학교 운영 기본 계획’, 경기도 교육청,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