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두통증으로 인한 섭취감소와 관련된 영양부족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간호사정
1.3.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과정
2.1.1. 염증 반응과 관련된 급성 통증
2.1.2. 인후통과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두염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질환이며 전염력이 있는 감염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기침처럼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 감기로 오인하여 가볍게 넘길 수 있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폐렴과 부비동염, 후두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관리와 적절한 시기의 치료법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인두염의 정확한 증상과 간호방법을 알고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증상완화와 빠른 안위를 제공하고 전문적 지식을 쌓고자 한다.
1.2. 간호사정
간호사정은 대상자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생년월일이 2016년 6월 3일로 현재 만 6세인 남아 환자는 APT(Acute Pharyngitis 급성인두염) 진단을 받았다. 내원 3일 전부터 마른 기침, 인후통, 복통 및 섭취량 저하가 발생하였고, 2일 전부터 오심이 하루만 지속되었다. 또한 인후통으로 인해 수면 양상에 장애를 겪고 있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가족관계에 특이사항은 없으며 동거가족은 부모와 14세 형제이다. 보호자는 환아의 식사와 주양육자가 어머니이다.
건강사정 결과, 영양 섭취와 관련하여 평소 편식이 심하여 좋아하는 음식(고기, 감자탕, 삼계탕 등) 위주로 섭취하고 채소 섭취량이 부족한 편이었다. 입원 당시 섭취량 저하 및 탈수 소견이 있었다. 배설 양상은 정상이었으나 입원 후 2일째부터 설사가 발생하였다. 수면 시간은 총 9-10시간으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입원 후 인후통과 기침으로 인해 밤 중 2-3회 깨는 수면 장애가 있었다.
과거력 조사 결과, 2018년도에 폐렴을 진단받았으나 크게 염려할 만한 질환력은 없었다. 예방접종은 대부분 완료된 상태였다.
활력징후 측정 결과, 입원 당일 체온 38.7℃, 맥박 102회/분, 호흡수 17회/분으로 나타났다. 체중은 22kg, 키는 118cm로 측정되었다.
진단적 검사 결과, 혈액 검사에서 WBC 14.0 x 10^3/μL, CRP 5.59 mg/dL로 증가되어 있어 세균감염을 시사하였다. 전해질 검사 결과 정상 범위를...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2015.08.10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2014.02.20.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2014.01.20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08.25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2014.02.10
킴스 의약 전문 센터, www.kimsonline.co.kr
기본간호학I (2022) 저자: 양선희 외 발행처: 현문사 p.503~527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2019) 저자: 성미혜 외 발생처 : 수문사
건강사정과 간호 (2022) 저자: 송영신 외 발행처: 수문사
아동간호학Ⅱ (2020) 저자: 김효신 발행처: 수문사 p. 380~383, p. 535~536 p.911~923
임상약리학 (2018) 저자: 최명애 외 발행처: 현문사
성인간호학(상권) (2022) 저자: 유양숙 외 발행처: 현문사 p. 486, 487, 533,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