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이번 신생아실 실습을 하면서 대학병원이 아닌 만큼 질환을 가진 신생아는 거의 없었고 대부분이 정상신생아였다. 정상신생아들 중 두혈종과 잠복고환을 가진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여 정상신생아에 대해서 알아보고 두혈종과 잠복고환에 대해서 알아두고 연구하고자 이번 케이스로 잡게 되었다.
2. 정상신생아 문헌고찰
2.1. 초기 사정
신생아의 초기 사정은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즉각적인 적응 능력을 사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가 Apgar 점수 평가이다. Apgar 점수 평가는 출생 1분과 5분에 실시하며, 이후 소생술의 필요성 여부를 결정하는 데 기초가 된다. Apgar 점수는 심박동수, 호흡노력, 근육긴장도, 반사작용, 피부색의 5가지 항목을 0점, 1점, 2점으로 평가하여 총 10점 만점으로 이루어진다. Apgar 점수가 0~3점인 경우 적응에 심한 곤란이 있는 것이고, 4~6점인 경우 중등도의 곤란이 있는 것이며, 7~10점인 경우 자궁 외 생활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Apgar 점수는 신생아의 신경학적, 신체적 상태와 연관되어 있으며, 과거 사건의 해석과 미래 사건의 예측, 소생술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기초가 된다."
2.2.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은 신생아 사정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 등을 정확히 측정하고 정상범위를 파악하는 것은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데 필수적이다.
체온은 정상범위가 36.5~37.5℃이며, 액와체온 또는 고막체온으로 측정한다. 직장체온 측정은 직장 천공의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맥박은 1분 동안 심첨부에서 청진하여 정상범위 120~160회/분으로 측정한다. 수면 시에는 100회/분까지 내려갈 수 있고, 울 때는 180회/분까지 올라갈 수 있다.
호흡은 1분 동안 복부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30~60회/분의 정상범위로 측정한다. 불규칙적이거나 20초 이상의 무호흡은 비정상적인 소견이다.
혈압은 진동측정법을 이용하여 상지와 하지에서 측정한다. 생후 1일에는 평균 64/45mmHg, 생후 3일에는 69.5/44.5mmHg 정도로 증가한다.
이처럼 신생아의 활력징후 측정은 체액 균형, 순환기능, 호흡기능 등을 확인하여 신생아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2.3. 신체계측
정상신생아의 신체계측은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의 체중, 신장, 두위, 흉위 등을 측정하여 정상 발달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체중은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이다. 정상 신생아의 체중은 2,700~4,000g 범위이며, 평균 3,400g이다. 체중은 기저귀를 벗은 상태에서 매일 같은 시간에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생후 첫 4~5일 동안 5~10% 정도의 체중 감소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며, 이후 매일 약 30g씩 증가한다.
신장은 출생 직후 측정하는데, 정상 신생아의 신장은 48~53cm 범위이다. 신생아는 자궁 내에서 구부러진 자세로 있다가 출생하므로, 다리를 완전히 펴서 측정해야 한다.
두위는 만삭아의 경우 33~35cm 범위이다. 출생 직후에는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난 주형 때문에 약간 작을 수 있지만, 1~2일 내에 정상 크기로 돌아온다.
흉위는 두위보다 2~3cm 작은 범위인 30.5~33cm 정도이다. 흉위는 젖꼭지를 지나 척추와 직각이 되도록 측정한다.
이처럼 신생아의 신체계측은 정상 발달 여부를 확인하고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의료진은 정기적으로 신생아의 신체계측을 시행하여 성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적절한 진료와 관리를 제공해야 한다.
3. 신생아 사정
3.1. 활력징후
활력징후 측정은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신생아의 정상 체온 범위는 36.5~37.4°C이며, 액와 체온 측정이 가장 일반적이다. 직장 체온 측정은 천공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체온은 병적인 상태를 시사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신생아의 정상 심박수 범위는 120~160회/분이며, 수면 시 100회/분까지 낮아질 수 있다. 울 때는 180회/분까지 증가할 수 있다. 서맥은 심한 질식, 부정맥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빈맥은 감염, 수분·전해질 불균형 등의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심첨부에서 1분간 심박수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호흡수는 30~60회/분이 정상 범위이며, 복부 움직임을 관찰하여 1분간 측정한다. 불규칙적이거나 20초 이상의 무호흡은 비정상으로 간주된다. 빠른 호흡은 폐렴, 호흡곤란 증후군 등을 시사할 수 있다.
신생아의 혈압은 출생 직후 80/50mmHg 정도이며, 생후 1~3일에는 65/40mmHg로 떨어진다.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상지와 하지의 혈압이 같아야 한다.
이와 같이 정기적인 활력징후 측정은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