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아의 발달 평가
1.1. 기본생활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식습관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영아가 편식 없이 다양한 음식을 잘 먹는 편이다. 학기 초에는 어린이집의 간식과 급식에 관심이 없었던 영아들도 점차 어린이집 생활에 적응하면서 스스로 음식을 먹으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음식을 직접 만지고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 새로운 음식에도 거부감 없이 잘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영아가 스스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식사를 하려 노력하며, 정해진 식사 시간에 바르게 앉아 먹는 습관을 기르고 있다.
둘째, 영아의 배변 습관과 관련하여 학기 초에는 배변 훈련이 잘되지 않았으나 지속적인 지도와 관심으로 점차 배변 의사를 표현하고 기저귀 착용 없이 스스로 배변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에 따라 교사와 가정이 협력하여 배변 습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영아의 수면 습관과 관련하여 대부분이 규칙적인 낮잠 시간을 가지며 잠들기 시작하는 시간과 깰 때의 시간이 일정한 편이다. 그러나 일부 영아의 경우 낮잠 시간에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잠에서 깨기 어려워하는 등의 어려움을 보였다. 이에 교사는 낮잠 시간에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개별 영아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지도하고 있다.
넷째, 영아의 정리 정돈 습관과 관련하여 대부분이 놀이 후 정리 시간이 되면 스스로 자신의 물건을 정리하고 교실 환경을 정돈하려 노력한다. 또한 등·하원 시 자신의 사물함과 신발장을 찾아 물건을 정리하는 등 기본생활 습관이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 습관은 학기 초에 비해 점차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와 가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2. 신체운동
신체운동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영아기 동안에는 대근육과 소근육이 빠르게 발달하며, 신체활동을 통해 이러한 운동발달이 촉진된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만 1세 영아들은 걸음마를 하며, 다양한 기구를 이용한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영아 OOO는 "학기 초 걸음마를 하지 못해 걱정하였으나 이제는 교사의 도움 없이 걷거나 뛸 수 있다. 야외나 턱이 있는 곳에서도 걸을 수 있지만 겁을 내어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또한 "다양한 놀잇감을 사용하여 즐거움을 알고,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