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은 그 구성원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한 개인이 건강하지 못하다면 나머지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간호사는 가족 전체의 건강을 사정하고 간호해 주어야 한다. 가족 간호의 목적은 가족 구성원 모두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데 있다. 가족의 건강은 개인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개인의 건강을 위해서는 가족의 건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가족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가족 전체의 건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2. 가족 간호 개요
2.1. 가족 간호의 목적
가족 간호의 목적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 데 있다. 가족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한 개인의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이 중요하지만, 개인의 건강 역시 가족 전체의 건강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간호사는 가족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간호를 제공하여 가족 전체의 건강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이 증진되고, 궁극적으로 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의 건강으로 이어질 수 있다.""
2.2. 가족과 개인의 건강 관계
가족과 개인의 건강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가족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건강 상태는 가족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라도 건강하지 못한 경우, 나머지 구성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개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면 가족 전체의 가정생활과 가족 기능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가족의 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개인의 건강과 가족의 건강은 상호의존적이다""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 환경, 생활습관 등이 있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가족 내에서 형성되고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가족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건강관리 수준은 가족 구성원들의 건강 행위와 건강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족 내에서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이 형성되면 가족 구성원 모두가 그러한 식습관을 따르게 되어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가족이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개인의 건강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가족 구성원 중 누군가가 질병을 앓게 되면 가족 전체의 일상생활과 가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간호의 목적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가족 전체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가족 건강 관리를 통해 개인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인의 건강 관리를 통해 가족 건강을 증진시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3. 가족 사정
3.1. 가족 구조 및 체제 유지
가족 구조 및 체제 유지는 가족을 이루는 구성원 수와 가족 간의 유대관계, 가족의 재정적 안정성 등을 포함한다.
먼저 가족 구조 측면에서는 가족의 형태가 핵가족인지 대가족인지, 부모와 자녀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다른 가족구성원들도 함께 살고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오씨 가족의 경우 부모와 두 딸로 구성된 핵가족 구조이다. 두 딸 중 큰딸은 2년 전부터 기숙사 생활을 하며 독립해 살고 있어 가족 구성원의 변화가 있었다.
가족 체제 유지 측면에서는 가족의 재정적 안정성이 중요하다. 오씨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