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건강간호학, 여성생식기 종양, 간호중재안, 자궁내막암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성건강 간호학
1.1. 자궁내막암 간호중재
1.1.1. 생리적 간호
1.1.1.1. 생활 습관 중재
1.1.1.2. 수지요법을 통한 통증 조절
1.1.1.3. 항암요법과 관련된 오심 및 구토(CINV) 중재
1.1.2. 정서심리적 간호
1.1.2.1. 음악 치료 중재
1.1.2.2. 디스트레스 프로그램 개발
1.1.2.3. 수술 전 구조화된 정보 제공
1.1.2.4. 극복력 향상 프로그램
1.1.3. 사회문화적 간호
1.1.3.1. 병원 차원의 자조그룹 형성
1.1.3.2. 교육 프로그램 및 중재의 개발
1.1.4. 가족적 간호
1.1.4.1. 가사 부담 감소 중재
1.1.4.2. 가족지지 교육
1.2.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1.2.1. 연구 필요성
1.2.2. 연구 목적
1.2.3. 연구 방법 및 결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성건강 간호학
1.1. 자궁내막암 간호중재
1.1.1. 생리적 간호
1.1.1.1. 생활 습관 중재
생활 습관 중재는 신체활동, 금주, 금연 등의 생활양식 등을 교정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로, 부인암 환자의 피로 감소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궁암을 포함한 부인암 환자들의 경우 치료 과정에서 겪게 되는 피로감, 영양불량, 면역력 저하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 금연, 균형잡힌 식단 유지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결과, 피로도와 우울감 감소, 영양상태 개선, 면역력 향상 등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생활습관 개선은 부인암 환자의 재발 위험을 낮추고 예후를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궁내막암을 포함한 부인암 환자의 생리적 간호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1.1.2. 수지요법을 통한 통증 조절
수지요법을 통한 통증 조절이다.
자궁절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흔히 행해지는 주요수술로 그 중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 중에서도 심각한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며 수술 후 1-2일째까지 통증 및 복부팽만감은 지속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대처방법 중 수지요법을 통한 경혈 지압은 진통효과를 가져와 수술 후 진통제 요구량을 줄일 수 있다.
수지요법은 내장기능을 조절하는 14기맥을 자극함으로서 수지침을 혈에 놓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이고 부작용이 없이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수지요법은 심리적 이완반응을 향상시켜 수술 후 지속되는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지요법을 통한 통증 조절은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들의 통증과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1.1.3. 항암요법과 관련된 오심 및 구토(CINV) 중재
항암요법과 관련된 오심 및 구토(CINV) 중재"는 부인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중재이다. 부인암 환자의 경우 1/3이 평균 이상의 오심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예방적 항구토제 사용률이 낮은데, 이는 환자들의 정보 부족이 주된 이유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항암요법 시작 후 2~5일 사이 가장 심각한 CINV가 나타나므로 퇴원 후에도 환자 스스로 예방적 항구토제를 복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인마다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므로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예방적 항구토제를 처방하고, CINV에 대한 올바른 대처방안도 교육해야 한다. 특히 한국 문화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참고 견디는 인내 유형의 부적절한 대처방안 대신 효과적인 CINV 관리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1.1.2. 정서심리적 간호
1.1.2.1. 음악 치료 중재
음악 치료 중재는 자궁내막암 환자의 심리적 이완반응을 향상시키고 상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암 환자의 경우 질병과 치료 과정에서 겪는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자궁내막암 환자의 경우 자궁 및 여성생식기관 절제 수술로 인한 여성성의 상실감과 불안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음악 치료를 활용할 수 있다.
음악 치료는 암 환자의 긍정적 정서와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암 환자에게 선호하는 음악을 제공하고 음악 감상 및 연주를 통해 심리적 이완을 유도할 수 있다. 암 환자는 음악 감상을 ...
참고 자료
전수란, 박효정(2016).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양성종양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1), 39-47.
윤선정, 김혜영(2019).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5(4), 409-422.
안현진, 노주희, 유선영, 김현민, 노민지 and 유호정. (2015).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6), 812-822.
박은혜, 김현정. (2015).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 환자의 영양 상태와 피로. 기본간호학회지, 22(4), 387-397.
김성진, 신현정. (2023). 젊은 부인암 여성의 질병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3(1), 115-128.
안희남, 김정혜. (2023). 여성 생식기암 환자의 암대처, 가족지지 및 외상 후 성장. Asian Oncology Nursing, 23(1), 38-45.
손유정(Son Yu-Jung),and 남금희(Nam Keum-Hee). "여성생식기계 암 환자의 지지적 간호요구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인간호학회지 34.3 (2022): 269-279.
양정임, 유광수. (2017). 선호음악요법이 자궁절제술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3(1), 30-39.
김희선, 노주희. (2020). 항암화학요법 중인 부인암 환자의 통합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처양상 및 우울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노기옥 외 6인 (2011).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여성간호학회지, v.17 no.3, pp.215 - 224
박정숙, 오윤정 (2012) 디스트레스 간호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면역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vol.24, no.3, pp. 219-231 (13 pages)
이해림, 최수미. (2017). 부인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과 구토, 비약물적 대처방법과 영양상태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6), 731-743.
조윤희, 전나미. (2015). 수술 전 구조화된 정보제공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여성의 수술대기 중 불안과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 KJWHN(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4), 321-331.
윤경희, 김숙영. (2015). 수지요법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과 복부팽만감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18(1), 20-28.
김유진, 김분한. (2015). 복강경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상실감, 성역할 정체감,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 16(1), 1-25.
전수란 ( Sooran Jeon ),and 박효정 ( Hyojung Park ).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양성종양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2.1 (2016): 39-47.
국가암정보센터 [자궁내막암]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901&menu_seq=4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