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매년 약 230조 원을 사회복지 부분에 할당하고 있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은 다채로운 사회복지정책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은 과거의 선별적 복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보편적 복지 패러다임으로 그 기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를 참고하여 본 과제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 정책을 하나 분석해 보기로 하겠다.
2.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정책 분석
2.1. 부모급여
2.1.1. 부모급여의 개요
부모급여란 일종의 시혜성 무상급여로서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월 최대 70만원의 급여를 제공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자녀양육에 대한 가정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모든 가정에게 이러한 부모급여를 제공하고 있다. 부모급여 수급자들은 이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급여액 자체가 생각보다 높고 전액 현금으로 지급되기에 활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2.1.2. 부모급여 분석
2.1.2.1. 할당
부모급여의 할당은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모든 가정을 수급자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당성 문제에서 자유롭다고 볼 수 있다.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이라면 누구나 인터넷(복지로)으로 부모급여를 신청하거나 직접 주소지 관할 읍면동 사무소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모급여 수급자 선정이 매우 공평하고 합리적이다. 이처럼 부모급여는 수급자 선정에 있어서 정당성과 공평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1.2.2. 급여
부모급여의 급여 형태는 전액 현금으로 지급된다는 점에서 매우 합리적이다. 현금급여는 수급권자에게 자기선택권을 주어 자신이 원하는 대로 급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많은 수급권자들이 현금급여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부모급여가 100% 현금급여로 제공되는 것은 수급권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부모급여는 급여 측면에서 매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2.1.2.3. 전달
부모급여의 전달은 중앙정부가 직접 수급권자 가정(수급권자의 통장)에게 지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다. 중앙정부가 직접 수급권자에게 부모급여를 전달하므로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급여 전달이 중단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부모급여는 전달체계 측면에서 수급자에게 안정적으로 급여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2.1.2.4. 재정
부모급여의 재정은 전액 국고에서 지원되는 공공재정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과 자녀양육에 대한 가정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매년 부모급여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모든 가정에 월 최대 70만원의 급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부모급여의 재정이 국고에서 전액 지원되는 것은 정부가 저출산 문제 해결과 자녀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이 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급자가 부모급여를 수령하는 데 있어 자신의 경제적 능력이나 여건에 따른 추가적인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부모급여는 공공재정 방식으로 운영되어 수급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2.2.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중요한 사회복지 정책 중 하나이다. 이 정책은 가장 기초적인 생활비를 보장하여 국민의 생활 안정을 돕는다는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청년,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층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