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병리사 면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의 필요성과 개념
1.1. 상담의 개념
1.2. 심리치료의 개념
1.3. 생활지도의 개념
2.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의 비교
2.1. 상담과 심리치료의 비교
2.2. 상담과 생활지도의 비교
3. 상담이 필요한 사례와 방법
3.1.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
4.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와 방법
4.1. 치매 환자 보호자의 심리치료
5.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와 방법
5.1. 청소년 금연 생활지도
6.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의 상호보완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의 필요성과 개념
1.1. 상담의 개념
상담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촉진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내담자가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자기 이해와 자기 지도력을 터득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그리하여 현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장차에도 일어날 수 있는 삶의 문제에 대한 조망과 해결 능력을 갖게 되어 자기효능감과 자족감을 느끼도록 인도하는 일련의 학습 과정이다. 즉, 상담은 모든 사람의 문제를 다루며 상담의 범위는 제한적이지 않고 사람들이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개인적인 문제를 다룬다. 상담을 통해서 개인적 문제를 촉진적 의사소통으로 다뤄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 상담의 목적은 내담자가 본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힘을 키우는 것이다. 상담은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학문이며 동시에 실천이다.
1.2. 심리치료의 개념
심리치료는 심리적 문제와 장애를 완화하기 위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내담자에게 심리적 문제와 해결 방법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공인받은 치료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적인 심리적 도움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심리치료는 심리상담과 유사한데 정신건강 증진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하고 있다. 임상심리사, 정신과 의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상담심리사 등이 심리치료와 심리상담 활동을 하고 있다. 심리치료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문은 정신의학이다. 심리치료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인간에 대한 기본적 애정과 고통에 대한 깊은 관심, 자기통제 능력, 내담자와 친밀해지고 신뢰로운 인간관계 형성 능력, 언어적 표현능력, 대인관계의 예민성과 보통 상 수준 이상의 지능,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지식, 마지막으로 도덕성과 윤리의식이 갖추어져야 한다.
1.3. 생활지도의 개념
생활지도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지도 교육과 더불어 행해지고 있는 활동이다. 생활지도는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돕기 위해서 각 발달단계에 따른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제공되는 교육활동을 말한다.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돕기 위해서 우선으로 개개인의 특성과 잠재력 그리고 자신이 살아가는 주변 세계에 대해 바른 이해가 필요하므로 생활지도는 개개인이 지닌 인지적·정서적·신체적 특성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돕는다. 생활지도의 범위는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 가정적·신체적·정서적·교육적 문제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생활지도는 그 특성상 아동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아...
참고 자료
인디드 채용공고 사이트, https://kr.indeed.com/?from=gnav-jobsearch—indeedmobile
김주연 기자(청년의사), “간무협 곽지연 회장 “간호조무사 역량 강화로 변화 이끌겠다”“, 2022-04-11,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1743
상담의 원리와 기술, 노안영·송현종 공저, 학지사, 2018, pp.15-82.
심리상담의 과정과 기법, Harold L, Hackney L, Sherily Cormer 지음, 임성문, 이주성 옮김, 시그마프레스, 2004, pp.2-31, pp.258-269
사례개념화의 실제, 이명우, 학지사, 2018, 61-67pp.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권석만, 학지사, 2013, pp.21-44, pp.255-264
발달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상담 연구 현황분석 및 상담 효과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다희, 2017
치매환자 보호자들의 고통, 삶, 그리고 신체활동의 의미 탐색 포토보이스 연구, 경일대학교 김경오, 한국체육학회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