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 산업혁명이 대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1.1. 학교교육
1.2. 평생교육
1.3.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본인의 삶과 평생교육의 연관성
2.1. 개인 맞춤형 학습
2.2. 협력학습
2.3. 혼합학습
2.4. 크로스오버러닝
3. 본인의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의 관점
3.1. 창의력의 배양
3.2. 비판적 사고능력의 배양
3.3. 적응력과 유연성의 배양
4. 코로나19 이후 4차산업혁명의 방향성과 컴퓨팅 사고와 관련한 우리의 준비
4.1. 코로나19의 영향
4.1.1. 코로나19가 4차산업혁명에 미친 영향
4.1.2. 코로나19가 컴퓨팅 사고에 미친 영향
4.2. 코로나19 이후의 방향성과 우리의 준비
5. 4차 산업혁명 하에서의 개인의 '커리어 관리'
5.1.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직업의 변화
5.1.1. 프로그래머
5.1.2. 데이터 전문가
5.2.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
5.2.1. 자동화
5.2.2. 실적 우대 주의
5.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커리어 관리
5.3.1. 대체 불가능성
5.3.2. First Penguin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1.1. 학교교육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적극적이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교사중심의 교육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교는 학교 내에서만의 생활로 융통성이 낮고 사람들(학생)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하지도 못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은 정해진 규칙에 갇혀있는 느낌이 들고 지식습득이 위주이기 때문에 실용성도 많이 떨어지며 학습자와 교육자의 관계는 수직적이다.
1.2.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정해진 틀이 없이 시간과 장소 개인이 자유롭게 교육받을 수 있고, 학교교육과 달리 지식습득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을 교육한다. 평생교육은 개방적이어서 학교교육보다 범위가 광범위하며, 미래의 목표를 지니고 합리적 달성을 추구하는 수단적 성격이 있다. 즉, 평생교육은 누구나 어떤 나이에서나 계속해서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직업기술, 개인적 발전, 취미,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지속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한다. 평생교육은 학교교육과 상호 보완적이며,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학교교육은 주로 청소년까지의 기초 교육에 중점을 두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평생교육은 누구나 어떤 나이에서나 계속해서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두 가지 교육 형태는 상호 보완적이며, 모두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대상에서 학교교육은 일반적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지만, 평생교육은 어떤 나이나 상황에 있는 모든 개인을 대상으로 한다. 둘째 목적에서 학교교육은 주로 기본 학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학문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사회적 기술과 교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목표인 반면, 평생교육은 학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직업기술, 개인적 발전, 취미,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한다. 셋째 체계에서 학교는 국가 혹은 지역의 교육기관에서 체계적으로 진행되며, 학년별로 일정한 교육과정을 따르지만, 평생교육은 전통적인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센터, 온라인 강좌, 직장에서의 교육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은 교육의 목적, 내용, 기간, 전달체계, 통제 등에서 다양한 차이가 있지만, 두 가지 교육 형태는 상호 보완적이며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위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본인의 삶과 평생교육의 연관성
2.1. 개인 맞춤형 학습
개인 맞춤형 학습은 개별 학습자중심의 학습으로, 온라인 학습과정에서의 각종 데이터를 분석해 수치화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이다. 이는 개별 학습자가 각기 다른 목표 지점을 향해 나아가는 개념이므로 개인별로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목표 설정 및 이의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상의 처치를 제공받는 개념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교실 수업 패러다임을 넘어 학습자 중심 학습의 실현이 가능하다. 이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활용, 그리고 온라인학습환경의 발전 등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른 개별적인 학습경로를 설계·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되었다."
2.2. 협력학습
협력학습은 교실 밖 실세계 문제의 공동으로 해결하는 학습이다"" 정보기술 활용을 통해 학문 중심학습의 결과를 실생활에 적용할 기회를 확대해 나간다"" 이 학습에서 학습자에게 실생활 연계를 위해 주어지는 과제는 개인의 학습 활동을 넘어 소집단활동 및 교실 안팎의 적극적 교류를 통해 해결가능한 경우가 많다"" 정보기술 활용을 통해 교실·학교·국가를 넘어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전문가 간의 협력학습을 수행한다""
2.3. 혼합학습
혼합학습은 교실학습과 온라인학습의 병행학습으로 물리적으로 한 공간에 모여 대면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활동들에 수업시간을 할애하고, 그 밖의 활동·내용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온라인 학습을 하게 된다."" 이 학습의 대표적인 것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다. 플립러닝은 교실에서는 토론, 실습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온라인에서는 강의 동영상이 제공되는 등 기존 교실 수업의 순서가 뒤집어진 형태의 학습방식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온라인에서 미리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실 수업에서 심도 있는 토론이...
참고 자료
강유정, 신연희 외 2명 저, 평생교육론, 창지사, 2023
박수홍, 장재혁 외 8명 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시스템디자인, 협동조합꿈샘,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HR 패러다임의 전환, KB금융그룹, 2018
이선영 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017
김대식 저,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 2017
한둥숭 저,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2016
강찬석, 강혜정 외 3명 저, 평생교육론, 학지사, 2023
질병관리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검색일 2020. 7. 19)
김민수. 대학생, 온라인 강의 ‘불편해’...강의는 없고 과제만 늘었다?, 리크루트타임스, 2020. 3. 24일자.
김경수. 호모사피엔스, 디지털 격변의 변곡점에 서다. 동아일보, 2020. 5. 9일자.
이지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 4차 산업혁명은 어디로? ①클라우드 서비스, KOTRA 해외시장뉴스, 2020. 5. 25일자.
이지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 4차 산업혁명은 어디로? ③차세대 로봇, KOTRA 해외시장뉴스, 2020. 5. 25일자.
최정원, 이태욱, 이영준(2016).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 정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집 제20권 제1호
김정호. 코로나와 AI가 맞붙을 미래戰… 인류 생존을 건 한판 승부. 조선일보, 2020. 3. 18일자.
김선재. [한경에세이] 바이러스도 움츠리게 한 컴퓨팅 사고력. 한국경제신문, 2020. 2. 25일자.
장병규(2019). 4차산업혁명 대정부 권고안.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안상희, 이민화 (2016).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344-2363
정명애 (2016).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STSS지속가능과학회 학술대회, 15-20
최연구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33), 32-35
허재준 (2017).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변화와 대응. 노동리뷰, 62-71
최석현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전략은?. 이슈&진단(273), 1-24
김창식, 김남규, 곽기영. (2019). 머신러닝 및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 15(2),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