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건축물과 재료의 특성
1.1. 유리의 일반적 특징
유리는 표면 경도가 높으나 강도가 낮아 충격에 약하다. 또한 불연재이며, 열전도율이 낮다. 광학적 성질로는 빛에 대한 굴절, 반사, 흡수, 투과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유리의 일반적 특징으로 인해 건축물에 활용할 때 다양한 장단점이 나타난다. 세부적으로는 표면이 매우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워 안전성 문제가 있으며, 단열성능이 좋지만 냉난방 비효율성으로 에너지 손실이 큰 편이다. 이처럼 유리는 건축물에 활용될 때 다양한 특성을 발휘하며, 이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1.2. 유리의 종류
건축공사에 쓰이는 유리는 대개 소다석회유리이고, 판유리와 성형유리로 구분된다. 반사유리는 유리표면에 반사막으로 특수 코팅하여 열과 빛의 반사에 따른 거울효과를 내는 유리이다. 로이유리는 유리표면에 엷은 금속막을 입힌 판유리로, 실내의 난방기구에서 발생한 열선을 대부분 창문에서 내부로 반사시켜 난방효율을 극대화시켜 준다. 강화유리는 맑은 유리, 색유리 등을 열처리 한 후 급랭시켜 강도와 내열성을 높인 안전유리의 일종이다. 곡면유리는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구부려 만든 것으로, 건축물의 여러 굽은 곳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처럼 유리의 종류는 그 용도와 제조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1.3. 커튼월 시공 방식
1.3.1. 장점
커튼월 공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리, 금속재(창호), 판넬 등의 자재를 사용하여 외벽이 마감되기 때문에 더 세련된 외관을 만들 수 있다"". 둘째, 외부공장에서 제작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옮겨서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셋째, 외벽의 무게가 가벼워져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특히 고층건물 설계 시 많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전체 하중이 감소됨으로써 비용 절감도 가능하며 지반 공사 시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1.3.2. 단점
커튼월 건물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냉난방 비효율성이다. 벽체가 유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냉난방비 손실이 커져 관리비 상승의 원인이 된다. 더울 때는 유리가 열을 흡수하는 양이 많아 뜨겁고, 겨울철에는 손실되는 열이 많아 춥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판넬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다 보니 프레임의 크기가 제한되어 일반적인 창호와 같은 구조의 환기와 통풍이 불가능하다. 저층건물에는 창문을 설치할 수 있겠으나 고층건물에서는 안전성과 비효율성 때문에 창문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롯데월드타워의 경우 자체 공조 시스템과 빌딩관리시스템으로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