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글학교 교재사용 찬성 반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이해
1.1. 조기영어교육의 정의
1.2. 조기영어교육 확산 배경
1.3. 조기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1.4. 조기영어교육의 장단점
1.4.1. 장점
1.4.2. 단점
1.5.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찬반 입장
1.5.1. 찬성 입장
1.5.2. 반대 입장
1.6. 조기영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2. 영유아기 영어교육의 실태
2.1. 우리나라의 영유아 영어교육 현황
2.2. 영유아 영어교육 금지 논란
2.3. 영유아 영어교육의 문제점
3. 영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3.1. 뇌 발달과 영어 학습의 관계
3.2. 영유아 영어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3.3. 영유아 영어교육의 방법론
4. 문법영역에서의 토론식 수업
4.1. 문법교육의 현재와 문제점
4.2. 문법영역 토론의 실제
4.2.1. 연구 방법
4.2.2. 토론 적용의 실제
4.3. 문법영역 토론 수업의 효과
4.3.1. 학습 효과
4.3.2. 교과 흥미도
5. 영어교육에 대한 제언
5.1. 영어교육의 문제점 개선 방안
5.2. 영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나의 의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이해
1.1. 조기영어교육의 정의
대체로 만 4∼5세 아동을 대상으로 유아의 지적 잠재력을 조기에 개발하거나 훈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조기영어교육의 정의이다. 독일의 F.W.A.프뢰벨과 J.코메니우스가 창시자이다. 음악이나 외국어 교육 등은 조기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떤 분야나 조기교육이 좋은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성악의 본격적 훈련은 변성기 이후가 적당하다. 조기교육을 실시하는 방식에서도 유아의 발달단계상 놀이형식을 띤 교육이 적합하다. 조기교육이라 하면 앞지른 교육, 즉 높은 단계의 것을 그대로 끌어내리는 것으로 여기고 있으나, 참된 조기교육은 미래에 학교생활 및 사회생활은 물론 자기개발의 극대화를 위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1.2. 조기영어교육 확산 배경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세계화시대에 영어구사능력은 개인의 경쟁력 나아가 국가 경쟁력에 커다란 힘이 된다. 교육행정가와 일부 교육학자들은 영어교육 실시 연령이 낮을수록 영어구사능력 획득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믿고 있다. 이것이 일부 성급한 학부모의 요구와 유치원 및 영어교재 출판사의 이해관계와 맞물려 우리말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유치부 어린이에게까지 영어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 97년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시행된 이후 서서히 불어닥친 바람이 요즘은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1.3. 조기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외국어인 제 2언어 학습은 언제 이루어지는가""는 중요한 논점 중 하나이다". 제 2언어 연구와 교수에서 제 2언어를 학습할 때 어린이와 어른의 습득 정도의 차이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말하기 능력에 있어서 어린이가 어른보다 더 우수한 언어 학습자라고 여겨진다"". 그렇다면 외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연령의 차이가 발생하는가""에 대해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아직 모국어를 습득 중인 취학전 어린이들이 어떻게 제 2언어를 학습하는지에 대한 심리언어학적 고찰이 요구된다""(Brown, 1980).
어린이들은 언어에 관한 한 모국어이든 외국어이든 간에 그 언어에 노출만 되면 쉽고 빨리 모국어처럼 배워낸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어린이들의 신비한 언어습득 능력을 Chomsky(1965), Slobin(1996), McNeil(1996) 등의 언어학자들은 LAD(language acquisition device, 언어습득장치)라 부른다"".
LAD가 어느 나이에서 가장 왕성하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답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5세에서 6세 사이에 LAD가 가장 왕성하게 작용한다고 가정된다""(이옥로, 1982). 또한 LAD가 어느 나이에 없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사춘기(13~14세)로 통일된 견해가 있다"".
이처럼 LAD에 대해서는 경험주의자들이 인간의 언어습득 능력이 어린이에게만 있는 선천적 능력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후천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LAD의 존재와 선천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Lenneberg(1967)은 인간의 대뇌와 언어습득의 관계에 관한 임상적 보고서에서 인간의 언어습득 과정에 한계 연령기(critical period)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안한다"". Lenneberg에 의하면 실어증과 언어기능의 측면화 현상을 들어 모국어습득의 한계 연령시기를 2세부터 10세까지로 본다"". 그는 사춘기가 언어 장애자 교정의 마지막 한계이며, 사춘기(14세)를 지나면 언어습득이 아주 느려진다고 주장한다"".
Scovel(1966)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더욱 발전시켜 측면화 현상과 제2언어습득 사이의 관계를 제안했다"". 즉 사춘기 이전의 대뇌의 유연성(plasticity)이 어린이로 하여금 제1언어뿐만 아니라 제2언어도 습득할 수 있게 해주며, 제2언어의 유창한 구사능력 습득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조기 외국어교육의 찬성론자는 이 중대한 시기를 놓치면 언어습득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비능률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Lenneberg의 가설에 대한 반론도 제기된다"". Huxley & Ingram(1971)은 한계 연령기라는 개념이 관련되는 것은 발음의 영역일 뿐이며, 제2언어의 습득에 있어서의 한계 연령기는 각 학습자의 내면적인 심리언어적 과정상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Krashen(1973)은 언어습득의 최적 나이와 언어능력의 측면화 현상을 별개의 것으로 보고, 측면화 현상이 사춘기인 14세보다 훨씬 이전인 5세 전후에 이미 완성된다고 주장한다"". Seliger(1978)도 실어증에서의 회복이 측면화 현상의 진전 여부에 있다기보다는 대뇌의 유연성의 유무에 좌우된다고 보며, 언어습득의 최적 연령시기도 일생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고 시사한다"".
de Villiers & de Villiers(1978)는 실어증 환자의 언어회복이 나이의 증가에 따라 어려워진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두뇌의 좌반구 측면화가 한계 연령기의 종료를 결정한다는 제안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 이들은 한계 연령기의 경계를 부정하기 어려운 계층은 음운계층일 뿐이며, 언어의 더 높은 계층인 통사 및 의미에 대한 한계 연령기의 논의는 아직 확정적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Piaget의 인지발달 과정에서도 영어습득의 한계 연령기와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Piaget는 생후 2세까지를 감각운동기, 7세까지를 전조작기, 16세까지를 조작기로 구분하고, 11세 전후에 구체적 조작기에서 형식적 조작기로 전환한다고 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Ausubel(1964)과 Rosansky(1975)는 외국어습득의 한계 연령기를 11세 전후로 설정하고자 한다"".
Rosansky(1975)는 초기의 언어습득에 있어 어린이의 자기중심성과 융통성 결여로 인해 제2언어 학습이 촉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Piaget의 균형(equilibration) 개념에 주목하여, 불균형 상태(disequilibrium)가 언어습득의 중요한 동기가 되며 언어는 균형상태(equilibrium)에 달하기 위해 인지와 상호작용한다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Brown(1980)은 정의적 요인(affective factors)에 관해 설명한다"". 억제(inhibition) 심리와 자아존중(self-esteem)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성인 학습자의 경우 실수에 대한 부담감이 크기 때문에 언어자아(language ego)의 요소인 억제심리의 벽을 높게 하려 한다"". 이에 반해 어린이는 주위 대상에 대한 의식이 낮고 언어적 이기심이 강해 외국어 학습을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1.4. 조기영어교육의 장단점
1.4.1. 장점
조기영어교육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어릴 때부터 외국어를 배움으로써 이중 언어의 능력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태어나서 모국어를 배울 때와 마찬가지로 문법을 먼저 배우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의사소통을 듣고 배우는 것과 같이 영유아기에 외국어에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이중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유아기의 뇌 발달, 외국어에 대한 아이의 흥미 등을 고려할 때 모국어와 외국어를 동시에 배우게 하면 이중 또는 다중 언어의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고등학교 및 대학교 때의 과잉 영어입시경쟁을 위하여 배우는 외국어는 대부분 문법위주이지만, 어릴 때부터 영어를 많이 듣고 말한 아이들은 나이가 들어서도 모국어처럼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다른 나라의 문화, 역사, 문학 등 여러 가지 면을 보고 배움으로써 시야가 넓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부터 초등학교 ...
참고 자료
신성철, 황봉주, 권요량 ‘조기 영어교육의 실천방법 연구 및 교재개발’, 「언어」제3호, 충남대학교 부설언어훈련원.
이옥로 ‘LAD와 조기 영어교육’, 「영어교육」제23호, 한국영어교육학회.
이옥로 ‘조기 영어교육의 이론과 시제―취학전 아동들의 읽기를 중심으로’, 「영어교육」제26호, 한국영어교육학회.
이종혁 국민학교 영어교육에서 듣기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 대학원.
스마트 브레인- 데이비드 월시 저/천근아, 이은하 역해 | 비아북
한국 유아의 조기교육- 이명조 | 집문당
신용진 세계화 대비를 위한 외국어 교육. 전라북도 교육청 연구월보, 1, 2.
안수웅 EFL환경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영어교육, 43, 83-112
안영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논문.
우남희 국제화·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에 대한 토론.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논문 발표집, 83-93
김혜련. (1998). 초등영어 교재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 Foreign Language Education 4 (1), 5-22.
김미향, 2018, 중앙일보, 유아교육 혁신안은 왜 ‘영어수업 금지 논란’이 됐나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1999). 한글 SPSS. SPSS 아케데미.
박약우, 박기화, 최진황, 이소영. (2001). 초․중등영어교육의 연계방안연구. 초등영어 교육 7(1), 5-42.
이유주, 2015, 베이비뉴스, 유아 영어교육의 오해와 진실 4가지
조성실, 2018, 프레시안, 유치원 영어 교육 금지', 못미더운 이유
최진황 (1985). 영어수업모형과 교실영어. 서울: 민족 문화 문고 간행회.
Allwright, D. & Bailey, M. (1991). Focus o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