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실험
1.1. 실험 목적 및 원리
1.1.1.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와 극성의 개념 이해
크로마토그래피는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성분을 분리하고 확인하는 분석 기술이다. 이때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는 시료 성분들이 정지상(고정상)과 이동상(이동물질) 사이에서 보여주는 분배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정지상과 이동상 사이에서 각 성분들이 보여주는 상호작용 강도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분자 내에 전하의 비대칭적 분포로 인해 한쪽이 양전하, 다른쪽이 음전하를 띠게 되는 분자를 극성 분자라고 한다. 이러한 극성 분자는 정지상과 이동상의 극성에 따라 그 거동이 달라진다. 극성이 큰 분자일수록 정지상과의 상호작용이 강해져 이동상을 따라 천천히 움직이게 되며, 반대로 극성이 작은 분자는 정지상과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약해 이동상을 따라 빨리 움직이게 된다. 이를 통해 혼합물의 구성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극성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며, 시료 성분들의 극성과 정지상 및 이동상의 극성 차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1.1.2. 정지상과 이동상 개념
정지상과 이동상 개념은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정지상은 크로마토그래피, 역류 분배법 등에서 시료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을 의미한다. 반면 이동상은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성분 분리를 할 때 고정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나가는 기체 또는 액체의 상을 말한다.
시료는 이동상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상은 관 속에 또는 고체 위에 고정되어 있는 용해되지 않는 정지상을 통과하게 된다. 두 상은 시료 성분들이 이동상과 정지상 사이에서 분배 정도가 달라지도록 선택된다. 시료 성분 중 정지상에 강하게 붙잡히는 성분은 이동상의 흐름에 따라 천천히 이동하고, 정지상에 약하게 붙잡히는 성분은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속도의 차이로 인해 시료 성분들이 분리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지상과 이동상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원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3. 모세관 현상과 전개 용매
모세관 현상은 액체가 가느다란 관 내부에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관 내부와 액체 간의 표면장력에 의해 일어나는데, 관의 재질이 소수성이면 액체는 내려가고 친수성이면 액체가 올라간다.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친수성인 실리카겔 지지체가 사용되므로 시료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지체 표면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전개 용매는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료와 지지체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시료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개 용매의 역할이다. 일반적으로 전개 용매로는 물보다 극성이 작은 유기 용매 혼합액이 사용되는데, 이때 극성이 큰 물질은 극성이 큰 용매에 잘 녹으므로 천천히 이동하고 극성이 작은 물질은 비극성 용매에 잘 녹아 빨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개 용매의 극성 조절을 통해 시료 성분들의 분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1.1.4. Rf 값 계산의 의미
Rf 값 계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Rf 값은 시료의 이동거리를 전개용매의 이동거리로 나눈 것으로, Rf = {시료의 이동거리} / {전개용매의 이동거리}이다. R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