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육실습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용어정의
2. 문헌고찰
2.1. 간호학 교육에서의 시뮬레이션
2.2. 불안의 개념
2.3. 간호 수행 능력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자료수집방법
3.5. 자료분석방법
3.6. 연구윤리
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동
5. 연구 추진 일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정신간호학 실습 시 간호학생들은 조현병, 치매, 강박장애, PTSD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다양한 정신질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어 실습 시 많은 불안과 간호수행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국내에서 김소야자가 정신간호학 실습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정신간호학 실습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00 대학교 3학년으로 진급하게 될 간호 학생이 간호 수행 능력의 문제해결 과정 향상 및 임상 간호 실습 시 느끼는 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측정함으로써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 교육을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임상 실습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 교육이 간호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다.
2) 간호 학생의 일반적 특성, 임상 실습 교육환경, 임상 실습 시 느끼는 불안 정도를 파악한다.
3) 간호 학생이 임상 실습 시에 느끼는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1.3. 용어정의
1) 간호 수행 능력이란 "동적인 간호 상황에서 적절하게 간호지식과 술기 수행 능력을 적용하는 역량을 말한다."[3]
2) 불안이란 "현실적으로나 상상으로, 생리적, 심리적, 행동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위협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정서 상태이며, 염려, 긴장, 걱정하는 상태에서 임박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며 외적인 위험에 의해서보다 내적인 조절능력의 상실로 인하여 마음속으로부터 일어나는 모호하고 막연한 감정이다."[12]
2. 문헌고찰
2.1. 간호학 교육에서의 시뮬레이션
간호학 교육에서 시뮬레이션은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점차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가진 환자에 대한 시나리오를 적용하는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환경의 여건과 교과목에서 설정된 교육 목표에 따라 고충실도 마네킹, 표준화 환자, 역할극, 가상현실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관찰중심의 임상 실습을 보완하며 직접 수행 중심의 시뮬레이션 교육은 정신 간호학을 포함한 다양한 교과목에서 학생들의 상황판단, 의사결정, 대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신간호 시뮬레이션에서 표준화 환자는 일반인이 질병이 있는 환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아 학생들의 실습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표준화 환자의 역할은 주어진 질환에 대한 주관적 증상호소와 검진자(학생)의 질문에 대한 적절한 반응, 검진자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의학 교육에서 처음 도입되어 현재는 간호학 학부 실습 교육과 대학원 전문간호사 교육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연구에서 그 효과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보고하고 있다.
2.2. 불안의 개념
불안이란 현실적으로나 상상으로, 생리적, 심리적, 행동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위협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정서 상태이며, 염려, 긴장, 걱정하는 상태에서 임박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며 외적인 위험에 의해서보다 내적인 조절능력의 상실로 인하여 마음속으로부터 일어나는 모호하고 막연한 감정이다.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을 살펴보면 인간이 자아와 본능 초자아 사이에 그리고 개인과 외부기계 사이에 균형을 이루고 살고 있는데 이 균형에 위협이 오면 자아에 대한 위험신호로 불안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또한 새로운 상황이나 역할에 직면했을 때 불안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Spielberger는 불안을 상태불안과 기질불안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기질불안이란 객관적으로 비위협적인 광범위한 상황들을 위험한 것으로 지각하게 만드는 습득된 행동경향으로 불안성향의 개인차를 의미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어떻게 느끼는지를 반영한다. 상태불안이란 보다 일시적인 정서적 흥분상태로 강도가 자주 변하고 시각적인 변동이 수반되는 것으로 상황 속에서 위험이 증가될 때는 언제나 발생하는 불안을 말한다.
2.3. 간호 수행 능력
간호 수행 능력이란 역동적인 간호 상황에서 적절하게 간호지식과 술기 수행 능력을 적용하는 역량을 의미한다[3]. 간호학생들은 임상 실습을 통해 간호 현장에서의 실무를 익히고 실제 환자 간호를 수행하면서 간호 수행 능력을 기르게 된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학생들의 간호 수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14].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의 활동을 통해 간호학생들은 직접 간호 술기를 연습하고 실제 임상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 지식과 술기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르고 수행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신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학생의 임상 실습에 대한 ...
참고 자료
김지연 『간호연구』(2021) 은학사
최순희 외5명,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정기홍(2002) 『원격교육과 사이버대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영애(2017) 『실시간 원격화상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수업의 상호작용 유형과 학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질병관리본부 정책정보 - 감염병 위기 대응
http://www.cdc.go.kr/contents.es?mid=a20301020100
박성영(2020)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을 통한 효율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지영(2020), 『온택트 시대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 : 혼합방법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8호, p937-95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http://ncov.mohw.go.kr/
『코로나19 예방 통제 핸드북』, 저우왕 외, 전호상 역, 나무옆의자, 2020.03.18.
코로나 19경보‘심각’일상생활 무엇이 달라지나, 박영석, 2020.2.23.
http://www.ihalla.com/read.php3?aid=158244780867557112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COVID-19) CDC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index.html
서혜선(2020), 『비례오즈 로짓모형에 의한 비대면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August 2020), 22(4), 1371-1382.
송수연, 김한경(2020),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4 1099-1126.
김동원, 김향정, 한태구(2021),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인식 변화 연구 - C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와 수업 연구 Vol.6 No.1 73-101.
코로나가 불러온 '디지털', '비대면' 시대, IT동아, 권명관, 2020.05.08.
https://it.donga.com/30473/
코로나19 ‘비대면’ 세상의 역설…디지털이 따뜻해지다, 한겨레 뉴스, 김재섭, 2020.12.28.
https://www.hani.co.kr/arti/science/technology/976124.html#csidxcb6f879e72d8b13ab23be0255a8c119
코로나19 학력저하 확인...14일부터 수도권 등교 1/3→2/3 확대, YTN, 신현준 2021.06.02. https://www.ytn.co.kr/_ln/0103_202106021409510176
박휴용(2020). 『COVID -19로 촉발된 ‘ 비대면 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전망』 교육비평 Vol.- No.46 30-64
이에리쟈(Lee Eliza)(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1011-1030.
김윤민(2020), 『COVID-19 상황에서 전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회복탄력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문화와 융합 Vol.42 No.12 295-318.
현명선, Myung Sun Hyun, 서미아, Mi Ah Seo. 간호학생의 정신 간호학 실습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Internet]. 2000;9(1):44. Available from: http://kiss.kstudy.com/search/detail_page.asp?key=1802846
김소야자. 정신과간호 실습에 대한 간호 학생들의 태도 조사연구. 간호학회지 [Internet]. 1973;3(3):15-26. Available from: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19731192172459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Shepherd CK, McCunnis M, Brown L, Hair M. Investigating the use of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Nurs Stand. 2010 May 5-11;24(35):42-8. doi: 10.7748/ns2010.05.24.35.42.c7751. PMID: 20509382.
Clark LA, Watson D. Tripartite model of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metric evidence and taxonomic implications. J Abnorm Psychol [Internet]. 1991;100(3):316.
Hegland, P. A., Aarlie, H., Strømme, H., &Jamtvedt, G. (2017). Simulation-based trainingfor nurs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Nurse education today, 54, 6-20.
R. P. Cant, & S. J. Cooper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J. Norman (2012). Systematic review of theliterature o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ABNF Journal, 23(2)
Bosek MS, Li S, Hicks FD. Working with standardized patients: a primer. Int J Nurs Educ Scholarsh. 2007;4:Article 16. doi: 10.2202/1548-923X.1437. Epub 2007 Aug 22. PMID: 17764442.
Hassett JM, Zinnerstrom K, Nawotniak RH, Schimpfhauser F, Dayton MT. Utilization of standardized patients to evaluate clinical and interpersonal skills of surgical residents. Surgery. 2006 Oct;140(4):633-8; discussion 638-9. doi: 10.1016/j.surg.2006.07.014. Epub 2006 Sep 6. PMID: 17011911.
Rosenzweig M, Hravnak M, Magdic K, Beach M, Clifton M, Arnold R. Patient communication simulation laboratory for students in an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program. Am J Crit Care. 2008 Jul;17(4):364-72. PMID: 18593836.
Kim HJ. A comparison of anxiety scores between before and operation of patient operated in hospital. 1994
Lee Myeong Sun, Hahn Suk Won.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226-234.
Rauen CA.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 Care Nurse [Internet]. 2004;24(3):46-51.
D.W.Hahn, C.H.Lee,K.K.Chon,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I (K-STAI)”,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No.1,pp.1-14,1996.
안은경.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업무성과 구조모형 구축.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전 [Internet]. 2000
ko, Eun jeong / Eun jung kim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before Clinical Experience on Knowledge, Clinical Practice Anxie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9;25(3):289-299
doi :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