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사회를 구성하는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필수적 수단이다. 의사소통의 문제에서 언어가 갖는 비중이 클 것이다. 미국 말·언어·청각협회는 의사소통장애를 "개념 또는 구어, 비구어 및 그래픽 상징체계를 수용하고 전달하고 처리하는 능력의 결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8)에서는 의사소통장애를 수용 및 표현능력, 조음능력, 말 유창성, 기능적 음성장애 등의 문제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언어장애와 치료에 대해 간략히 서술해보고자 한다.
2.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및 분류
2.1.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의사소통장애의 개념은 개념 또는 구어, 비구어 및 그래픽 상징체계를 수용하고 전달하고 처리하는 능력의 결함을 의미한다. 미국언어청각협회(ASHA)는 의사소통장애를 "개념 또는 언어적, 비언어적 그리고 그래픽 상징체계를 받아들이고, 보내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장애"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8)에서는 의사소통장애를 첫째, 언어의 수용 및 표현능력이 인지 능력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 둘째, 조음 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셋째, 말 유창성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넷째, 기능적 음성장애가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장애란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 결함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2. 의사소통장애의 분류
의사소통장애의 분류는 크게 언어장애와 말장애로 나뉜다"" 언어장애는 개념 또는 언어적, 비언어적 그리고 그래픽 상징체계를 받아들이고, 보내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장애를 말하며, 주로 수용언어장애와 표현언어장애로 구분된다"" 수용언어장애는 언어를 이해하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이고, 표현언어장애는 언어를 생성하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말장애는 정상적인 음성 및 조음 산출에 장애가 있는 경우로, 조음장애, 유창성장애(말더듬), 음성장애 등으로 나뉜다"" 조음장애는 발음의 오류나 왜곡이 있는 경우이고, 유창성장애는 말더듬과 같이 말의 흐름이 부자연스러운 경우이며, 음성장애는 음도, 강도, 음질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또한 의사소통장애는 원인에 따라 기질적 요인과 기능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기질적 요인은 신체의 특정 기관이나 부분이 손상되거나 기능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고, 기능적 요인은 신체적 결함 없이 환경이나 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3. 언어장애의 원인
3.1. 기질적 요인
기질적 요인이란 언어 산출과 이해에 관련된 신체의 특정 기관이 손상되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언어장애의 기질적 요인에는 청각장애, 신경학적 손상, 구조적 장애 등이 포함된다.
청각장애는 언어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기질적 요인이다. 청각은 음성언어를 습득하는데 필수적이므로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적인 언어발달이 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