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을 수록 학습 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어 교수-학습 지도안
1.1. 대단원 개요
1.2. 대단원 학습 목표
1.3. 지도상 유의점
1.4. 단원 학습 계획
1.5. 본시 수업 지도안
1.5.1. 학습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1.5.2. 판서 계획 및 PPT 자료
1.6. 학습 및 평가 자료
1.7. 수업 시연 소양
2. 상황과 대상에 맞는 표현
2.1. 높임 표현의 특성
2.1.1. 주체 높임법
2.1.2. 객체 높임법
2.1.3. 상대 높임법
2.2. 문법 요소의 상황별 사용
2.2.1. 시간 표현
2.2.2. 피동·사동 표현
3.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3.1. 협상의 중요성
3.2. 협상의 절차와 방법
3.3. 바람직한 협상 태도
3.4. 협상 사례 및 실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어 교수-학습 지도안
1.1. 대단원 개요
'1.1. 대단원 개요'는 국어 교수-학습 지도안의 도입부 내용으로, 단원의 전반적인 구조와 특징을 설명한다. 이 부분은 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국어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올바른 국어 사용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핵심적인 목적이기 때문이다.
국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따라서 국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다양한 문법 요소를 탐구하고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표현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국어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특징을 비교하여 국어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문법 요소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또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형성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고, 문법 요소의 특성을 탐구하여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국어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1.2. 대단원 학습 목표
대단원 학습 목표는 학생들이 이 대단원의 학습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표를 의미한다. 이 대단원의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상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협상은 서로의 입장과 요구사항을 조율하는 중요한 의사소통 과정이다. 이 대단원에서는 협상의 본질과 과정, 협상 전략 등을 이해하여 실제 문제 상황에서 협상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둘째,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타당한 근거를 이용하여 협상하는 글을 쓸 수 있다. 협상 과정에서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의견 개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이 협상의 내용과 과정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종합하면, 이 대단원의 학습 목표는 학생들이 협상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인 협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지도상 유의점
지도상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학습자의 이해도와 동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업 형태와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단계별 수업 진행 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선개념을 확인하고 동기를 유발하며, 전개 단계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통해 핵심 개념을 탐구하도록 해야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교과서와 더불어 PPT, 동영상, 실물 자료 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넷째,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과 이해도를 파악하여 개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다섯째, 수업 시간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수업 내용과 활동을 적절히 배분하여 학습자의 집중력을 유지하고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활용, 개별적인 피드백 제공, 효율적인 시간 관리 등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1.4. 단원 학습 계획
단원 학습 계획은 다음과 같다. 대단원 3. 우리말의 디딤돌 소단원 (1) 국어의 음운은 국어의 음운체계를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8차시에 걸쳐 수업이 진행된다.
먼저 1/8차시에는 단원의 길잡이를 제공하여 단원의 개관과 학습방법을 안내한다. 2/8차시에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를 확인하며 국어가 변화하는 언어임을 이해하게 한다. 3/8차시에는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깨닫고, 앞으로의 국어 변화를 예측해 보는 토의 활동이 진행된다.
4/8차시에는 높임 표현의 특성을 탐구하고, 상황과 대상에 맞는 표현을 익히는 수업이 이루어진다. 5/8차시에는 국어의 시간 표현과 피동·사동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6/8차시에는 한글의 우수성을 알아보고, 모국어 지키기 방안을 생각해본다.
본 단원의 마지막 7/8차시와 8/8차시는 음운 변동 현상인 자음 동화와 구개음화에 대해 탐구하는 수업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은 음운 변동의 규칙을 찾아보고, 일상생활 속 예를 찾아보는 활동을 통해 국어의 음운체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참고 자료
최원식 외, 고등학교 국어, 창비, 2017.
강원중학교 중3 국어 직접교수 교수학습과정안, 2009.
고등학교 국어 자습서, 창비, 2018.
고등학교 국어 평가 문제집, 창비, 2018.
고등학교 국어 내신 문제집, 창비, 2018.
윤서희, 고등학생의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의 인지전략 사용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최지현 외,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역락, 2010.
이재승,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적용의 문제와 개선 방안 - 직접 교수 모형과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pp.7-29, 2018.
임자영, 문제 중심 학습에 기초한 문학 영역 교수-학습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최미숙 외, 국어교육의 이해, 시대평론, 2014.
류성기, 국어지식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한국초등국어교육, pp89-104, 2000.
대한민국 정부, 아메리카노님이 나오셨다고요??, Youtube, https://youtu.be/O2Al53QOKJA, 2013.
한글문화연대, 고객만족꺼뻑증후군 영상, Youtube, https://youtu.be/vPdBAKrn_gU,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