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수설계와 교수목표분석
1.1. 교수설계의 개념
교수설계란 "수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계획함으로써 수업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 교수설계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 넓은 의미에서 교수설계란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 어떤 학습활동, 학습전략, 학습 자료를 제공해야 하는지, 목표 달성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뜻한다. 둘째, 좁은 의미에서 교수설계란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특정한 교과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때 가장 좋은 수업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설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둘째, 교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필요하다. 셋째, 교수의 전개과정을 최적의 환경으로 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넷째, 교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1.2. 교수목표분석의 개념
교수목표분석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학습을 마쳤을 때 학습자들이 숙달되기를 기대하는 새로운 정보와 기능, 즉 목표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수프로그램에 포함하여 가르치려는 정보와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과정이다.
목표분석은 그 목표를 성취하게 되었을 때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단계별로 표현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성취행동의 개요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하위기능분석의 바탕이 된다. 하위기능분석은 그 목표를 완전하게 숙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하위 기능(Subordinate Skill)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하위기능은 상위 기능들의 학습을 위한 긍정적 전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어떤 상위 기능을 학습하기 위해 반드시 성취해야 하는 기능이다.""
1.3. 교수목표분석의 필요성
교수목표분석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를 분명하게 기술한 후 목표분석을 해야 한다. 교수목표를 정확하게 진술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분석이 가능하다. 둘째, 목표분석의 첫 단계는 그 목표가 어떤 학습영역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것이다. 목표는 태도, 지적기능, 언어적 정보, 운동기능 중 하나가 된다. 셋째, 목표분석에서는 최종적으로 학습자가 그 목표를 성취했을 때, 보여 줄 수 있는 성취행동의 개요를 규명하며 성취행동의 윤곽은 하위기능분석의 바탕이 된다.
목표분석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어떠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며, 교수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능 및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목표분석을 통해 학습을 적합한 시간 내에 가르칠 수 있는 단위로 나누고, 학습 후 학습자가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취행동을 알 수 있게 되며, 가르칠 순서를 파악하게 된다. 즉, 목표분석은 학습자들이 교수목표를 성취했을 때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있게 될 것인가를 밝혀내는 과정이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제나 내용을 정하고 각 주제별로 어떤 학습내용이 들어갈 것을 결정해서 교수프로그램을 만드는 내용전문가(SME)는 단순히 학생이 읽어야 할 10개의 희극목록으로 세익스피어에 대한 코스 내용을 결정하는 것과 달리, 교수설계자는 학습자들이 교수목표를 성취하게 되었다면 정확하게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세익스피어 희극 중 3개에서 등장인물의 역할 변화의 요소를 비교하고 대비할 수 있다는 식으로 단순히 읽은 것 이상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게 될 것인지를 목표로 정확하게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동기부여가 가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