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혈병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백혈병 간호진단의 필요성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백혈병의 정의와 특징
2.1.2.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정의와 증상
2.2. 사례
2.3. 간호진단
2.3.1. 신경계 기능 장애와 관련된 급성 통증
2.3.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2.3.3. 불충분한 영양섭취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백혈병 간호진단의 필요성
백혈병은 혈액과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미분화된 백혈구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의 악성 질환이다. 이는 모든 연령 집단에서 발생하며, 특히 성인 백혈병이 어린이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또한 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혈병 환자를 간호하는 일은 간호학 교육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혈액 종양인 백혈병은 인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암 중 약 8%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렇듯 다른 질병들과 마찬가지로, 학생 간호사들은 임상에서 백혈병 환자를 마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백혈병 환자의 특성과 간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간호 진단을 내리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진단은 간호사만이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학생 간호사들이 백혈병 환자의 사례를 통해 간호 진단을 내리는 과정은 매우 의미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올바른 간호 진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백혈병의 정의와 특징
백혈병은 혈액과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미분화된 백혈구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의 악성질환이다. 백혈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상적인 백혈구(백혈병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정상적인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 생성을 억제한다. 백혈병 세포는 처음에는 골수에 제한되어 있지만, 점차 말초혈액 및 다른 기관과 조직으로 침범하게 된다.
둘째, 백혈병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치료하지 않으면 결국 치명적 상태로 진전된다. 주로 감염, 출혈과 같은 합병증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셋째, 백혈병은 모든 연령 집단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성인 백혈병(10명당 1명)이 어린이 백혈병(10명당 1명)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한다. 매년 약 30,800명 정도가 이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넷째, 백혈병의 원인은 단일한 요인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원인으로는 이온화 방사선, 화학물질 및 약물 노출, 바이러스 감염, 골수 저형성, 유전적 소인 등이 알려져 있다.
2.1.2.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정의와 증상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은 미숙한 과립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골수에 축적되는 질환이다. AML은 백혈병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도 성인 백혈병 환자의 약 85%를 차지할 만큼 가장 흔한 형태이다. AML은 골수와 말초 혈액에 골수아세포(myeloblast)가 20% 이상 차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참고 자료
김강미자 외 10인 공저,「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개정판」, 현문사, 2006
김금자 외 11인 공저,「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2판」,현문사, 2013
kocw,「백혈구질환(백혈병)환자간호」, 2018,
(http://www.kocw.net/home/cview.do?lid=78155b461ffb3dc5, 2019.05.18. 접속.)
원종순 외 3인, 『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367쪽
이애리, 「혈액종양 환자의 건강신념, 건강지식 및 환자역할 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5p
방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영혜 외 (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Marilyn J. Hockenberry 외, (2015),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전국 간호대학교수 편 (2011), for nurse REVIEW BOOK, 의학서원
장남옥,임숙현,홍설,박경숙,박신자,김경숙B,홍인숙,류현진,김영주,이정연,and 전희정. "백혈병 환아의 간호사례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3.- (1998): 23-40.
김혜숙,김현주,이재순,김현희,강소영,이미정,변준혜,양태영,오수미,정유헌,최영옥,and 이은정. "백혈병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4.- (1999): 203-222.
[네이버 지식백과] 백혈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24&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