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상 신생아 간호
1.1. 기도개방 유지
신생아의 기도개방 유지는 생존의 주요 요인으로, 출생과 함께 태반을 통한 순환에서 폐순환으로 전환하는 적응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출생 직후 수초에서 30초 내에 숨 쉬지 않으면 소생시켜야 하므로, 즉시 발바닥을 가볍게 두드리거나 등을 쓸어주어 울거나 숨 쉬게 하고 그 시간을 정확히 기록한다.
머리나 얼굴의 청색증은 괜찮지만 전신의 창백함과 청색증은 심한 산소부족을 의미하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숨 쉬기가 확인되면 신생아의 머리를 낮추어 눕히고 흡인기나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구강의 분비물이나 양수 등을 지속적으로 흡인하여 기도를 유지시켜 준다. 분비물의 점성이 높을 경우 아기가 숨 쉬지 못하게 되므로 흡인기 사용이 필요하나, 점막 손상의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신생아의 빨기와 삼키는 능력을 평가하여 식도 개방 및 기능을 확인한다. 분유 수유 시 소량씩 자주 먹이며, 수유 후에는 트림을 시켜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옆으로 눕히거나 엎드린 자세를 취하여 역류를 예방한다.
이처럼 신생아의 출생 직후부터 적극적인 기도개방 유지 간호를 통해 생존을 위한 호흡순환 적응을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2. 안정된 체온유지
신생아는 출생 즉시 심부체온과 피부체온이 하강하는데, 이는 출생 직후 신생아가 겪는 가장 큰 위험 중 하나이다. 신생아가 심한 냉 자극을 받으면 저산소증, 저혈당증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저체중아인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신생아의 체온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의 체온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출산 시 신생아를 재빨리 닦아주고 산모의 복부에 신생아를 올려놓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는 체표면에 있는 양수나 습기가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막기 위해서이다. 또한 신생아의 이동 시 대류에 의한 체온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담요로 감싸주는 것도 중요하다.
그 외에도 신생아의 머리에 면으로 된 모자를 씌워주거나, radiant warmer를 사용하거나, 미리 따뜻하게 덥힌 메트리스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생아의 체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생아가 출생 직후 겪을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1.3. 감염과 상해로부터 보호
1.3.1. 신분확인
신생아의 신분 확인은 출생 직후부터 중요한 간호중재이다. 신생아가 분만실에서 신생아실로 옮겨질 때, 신생아의 팔과 다리에 부모의 이름, 출생 정보, 성별 등을 기록한 확인용 이름표를 부착한다. 또한 신생아의 양쪽 발바닥에 물감을 찍어 발도장을 남겨 신생아 기록지에 보관한다. 이러한 확인과정은 신생아의 잘못된 식별을 방지하고 정확한 신분 확인을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분만실에서 신생아실로 옮겨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신생아 관리를 위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
1.3.2. 안약 투여를 통한 눈 간호
산모가 질염에 감염되었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질 분만을 하게 되면, 신생아가 산도를 통해 나오는 동안 눈이 임질이나 클라미디어 감염이 되어 결막염에 걸릴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1% 질산은 용액이나 erythromycin 0.5% 안약이나 연고, 또는 tetracycline 1% 안연고를 출생 후 적어도 1시간 전후로 사용한다. 이러한 안약 투여는 신생아의 눈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다.
1.3.3. 비타민 K 투여
비타민 K 투여는 신생아 출혈의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출생 즉시 신생아에게 수용성 비타민 K 제제를 0.5~1.0mg 1회 근육 주사하여 출혈을 예방한다"" 비타민 K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혈액응고인자의 합성에 필수적인 지용성 비타민으로, 신생아의 경우 이러한 혈액응고인자 합성이 부족하여 출혈성 경향이 높다"" 따라서 신생아에게 비타민 K를 투여함으로써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분만 과정에서 두개골 손상이나 내장 출혈의 위험이 있는 신생아에게 더욱 중요하다"" 비타민 K 투여는 신생아의 생존과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간호중재라 할 수 있다""
1.3.4.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은 신생아의 감염과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HBsAg 음성인 모체의 미숙아에게는 생후 30일 이내에 백신을 접종하며, HBsAg 양성인 모체의 신생아에게는 체중과 상관없이 생후 12시간 이내에 HBV백신과 HBIG을 접종한다. 이는 모체의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신생아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1.3.5. 유전질환 선별검사
유전질환 선별검사는 신생아기에 실시되는 중요한 검사로, 신생아의 생존과 건강을 위해 조기 발견 및 중재가 필요한 질환들을 선별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선별검사 대상 질환에는 페닐케톤뇨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