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uv/vis를 이용한 폐수중의.암모니아성 질소의 정량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총질소 측정법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1.2.1. 질소의 중요성
1.2.2. 총질소의 정의
1.2.3. 질소의 유입 경로 및 문제점
1.2.4. 총질소 측정 방법
1.3. 실험 장비 및 시약
1.3.1. 시약 정보
1.4. 실험 방법
1.4.1. 실험 용액 제조
1.4.2. 분석 실험
1.5. 실험 결과
1.5.1. 표준용액 결과
1.5.2. 미지시료 결과
1.6. 실험 결과 토의
1.7.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총질소 측정법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하이포 염소산 존재 하에, 암모늄 이온이 페놀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청색의 인도페놀을 약 640nm에서 측정하여 알고자 하는 시료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질 오염의 지표인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1.2.1. 질소의 중요성
질소는 생물이 성장하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대기 성분의 약 78%를 차지하는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인 질소분자(N₂)는 모든 동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화합물이다. 질소는 단백질과 핵산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필수 원소로서 모든 생명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소는 대기에서 시작되어 세균을 거쳐 식물에게 들어가 동물과 미생물을 거쳐 다시 대기로 돌아가는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이처럼 질소는 생물체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총질소의 정의
총질소는 수중에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질소화합물의 총량을 말한다. 수중의 질소화합물에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 등의 무기성 질소와 단백질, 아미노산, 요소 등의 유기성 질소가 포함된다. 따라서 총질소는 이러한 유기성 질소와 무기성 질소의 합을 의미한다.""
1.2.3. 질소의 유입 경로 및 문제점
질소의 유입 경로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질소는 주로 공장 배수, 축산폐수, 도시 하수와 같은 오염원을 통해 수중에 유입된다. 공장 배수와 축산폐수에는 주로 암모니아성 질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도시 하수에는 유기성 질소가 주를 이룬다. 유입된 유기성 질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중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암모니아성 질소로 무기화된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아질산화균에 의해 아질산성 질소로 산화되고, 이는 다시 질산화균에 의해 질산성 질소로 산화된다. 이러한 질소 형태의 변화는 수질 오염의 주요 지표가 되며,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는 독성이 강해 수생 생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질산성 질소는 용출되어 지하수 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수중으로 유입된 과도한 질소는 부영양화를 초래하여 심각한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1.2.4. 총질소 측정 방법
총질소 측정 방법은 시료 중의 질소화합물을 알칼리성과황산칼륨을 사용하여 질산이온으로 산화시킨 다음 산성 상태에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질소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알칼리성과황산칼륨 용액은 모든 질소화합물 형태의 질소를 질산이온으로 산화시켜주기 위해 사용되며, 산성 용액은 이 질산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 자료
나노 영가철 환원 반응성의 정량 분석을 위한 수정된 인도페놀법 적용 (2016) / 황유훈, 이원태 / p.03
수질오염개론(2017) / 청목출판사 / p.123~125
http://ncis.nier.go.kr/mttrList.do, ncis 화학물질정보시스템, 화학물질통합검색
수질오염개론(2008) / 신광문화사 / p.198
질소, 인 처리 기술(2002) / 환경관리연구소 / p.295
정문호 외 14명(2006), 최신 환경화학, 동화기술, pp. 197~198
토양사전, 화학적 산소요구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00700&cid=51610&categoryId=51610에서 2019. 11. 20일 검색
물백과사전, 암모니아성 질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4374&cid=60289&categoryId=60289에서 2019. 11. 20일 검색
농업용어사전, 램버트비어법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4374&cid=60289&categoryId=60289에서 2019. 11. 20일 검색
환경공학용어사전, 인도페놀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4374&cid=60289&categoryId=60289에서 2019. 11. 20일 검색
환경공학용어사전, 흡광 광도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4374&cid=60289&categoryId=60289에서 2019. 11. 20일 검색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환경부
환경화학 5판, C.N.Sawer 외 2인, 동화기술
안전물질공단, 화학물질정보 – 수산화나트륨, 과황산칼륨, 질산칼륨
화학대사전, [과산화이중황산칼륨]
화학대사전, [수산화나트륨], 화학백과, [염산]
화학대사전, [질산칼륨]
환경공학용어사전, [총질소]
미생물학백과, [질소순환]
지질학백과, [총질소]
환경부, [수질환경기준 및 규제기준]
https://www.me.go.kr/home/file/readHtml.do?fileId=756&fileSeq=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