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삼투와 물질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확산
1.2.2. 삼투
1.2.3. 삼투압
1.2.4. 긴장성
1.2.5. 원형질분리
1.2.6. 반트 호프 법칙
1.3. 실험 재료 및 방법
1.3.1. 적혈구의 용혈현상
1.3.2. 원형질분리의 관찰
1.4. 실험 결과
1.4.1. 적혈구의 용혈현상
1.4.2. 원형질분리의 관찰
1.5.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동물세포인 적혈구와 식물세포인 양파표피 조각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종류와 투과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적혈구와 양파표피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용액에 담그고 관찰함으로써, 삼투 현상과 관련된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 긴장성, 원형질분리 등의 생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명체 내부와 외부 환경의 물질 교환 및 삼투 조절 기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실험의 핵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실험 원리
1.2.1. 확산
확산은 입자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자가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퍼지려는 경향이다. 분자들은 농도가 높은 쪽(고농도)에서 낮은 쪽(저농도)으로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며, 최종적으로 막 양쪽 용액의 농도는 같아지게 된다. 물질이 확산을 통해 막을 통과할 때에는 세포가 일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수동수송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세포호흡에 필요한 O2는 농도 기울기에 따라 세포로 들어오고 노폐물인 CO2는 세포에서 빠져나간다.
1.2.2. 삼투
삼투현상은 물 분자가 선택적 투과성 막을 가로질러 확산하는 현상을 뜻한다. 물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물 분자의 농도가 높은 쪽)에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쪽(물 분자의 농도가 낮은 쪽)으로 양쪽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막을 통해 확산된다. 이러한 삼투현상은 세포막을 통한 물의 이동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물은 크기가 매우 작은 분자로 일반적으로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삼투란 용매인 물이 고농도에서 저농도 방향으로 세포막을 통과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어 삼투에 의한 물의 흡입과 배출을 상쇄하는 특별한 기작을 갖고 있지 않는 한, 등장의 환경에서 가장 잘 살아 간다. 반면 식물세포는 세포벽이 있어 물의 흡입이 물을 밀어내는 세포벽의 압력과 균형이 맞게 되는 저장 상태의 환경에서 세포들은 잘 살아 간다"".
1.2.3. 삼투압
삼투압은 삼투현상으로 인해 반투과성 막이 받는 압력을 의미한다. 삼투압은 용질이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에만 발생하며, 용질이 세포막을 통해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인 확산에서는 삼투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삼투압은 용액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즉, 용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삼투압도 높아진다. 이는 반트 호프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묽은 용액의 삼투압은 용매나 용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용액의 몰농도와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삼투압 공식은 π = CR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π는 삼투압(atm), C는 몰농도(mol/L), R은 기체상수(0.0821 L·atm/K·mol), T는 절대온도(K)이다.
세포가 삼투압의 영향을 받게 되면 세포 안팎의 용질 농도 차이로 인해 물 분자가 이동하게 된다. 세포를 고장액에 담그면 세포 밖의 용질 농도가 높아 물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 세포가 쭈그러들게 된다. 반대로 세포를 저장액에 담그면 세포 밖의 용질 농도가 낮아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가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반응을 긴장성이라 한다.
이처럼 삼투압은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물세포와 달리 식물세포는 견고한 세포벽이 있어 과도한 팽창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세포벽이 파괴되면 원형질분리가 일어나 식물이 시들어 죽게 된다. 따라서 삼투압의 조절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
참고 자료
Taylor 외3인(김명원 외10인역),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10판, 라이프사이언스, 2021, p.79
Taylor 외3인(김명원 외10인역),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10판, 라이프사이언스, 2021, p.80
Taylor 외3인(김명원 외10인역),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10판, 라이프사이언스, 2021, p.80-81
Taylor 외3인(김명원 외10인역),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10판, 라이프사이언스, 2021, p.81
반트호프의 법칙.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삼투압 [osmotic pressure, 渗透壓]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설탕.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설탕(saccharose)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아세트산카민.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아세트산카민(acetocarmine)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TAYLOR외,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 10판, 라이프사이언스,2021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D%88%AC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D%95%B4%EC%A7%88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D%98%88
Lisa A. Urry 외 4인, 2020, 캠밸 생명과학 포커스 2판, 바이오사이언스출판, pp107, 108
위키피디아,수크로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D%81%AC%EB%A1%9C%EC%8A%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