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혼례문화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혼례문화의 문제점
2.1. 결혼식 식대 충당의 어려움
2.2. 성대한 결혼식으로 인한 많은 비용 및 축의금 부족
2.3. 신랑의 집 장만에 따른 비용적 부담
3. 혼례문화의 개선방안
3.1. 결혼식 식대의 경제적 구성
3.2. 경제형 웨딩 업체 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
3.3. 신랑과 신부의 공동 주택 마련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예로부터 인륜지대사로 표현되는 결혼은 모든 사람들의 삶 속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1969년 가정의례법을 제정하였고 이와 함께 건전한 혼례문화의 조성을 위해 과다한 혼수와 허례허식 등에 대한 단속까지 실시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으나 급격한 경제성장을 주축으로 사치스러운 혼례문화는 지속되고 있다. 2019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시행되면서 결혼식이 가족단위로 축소되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긴 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전 2018년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혼례문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과다한 혼수와 예물, 예단으로 나타났고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한 결혼식과 본인의 뜻과는 다른 가족의 입장만을 고려한 결혼, 과도한 축의금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결혼적령기에 위치한 20대와 30대 남녀는 94%가 넘는 응답자가 우리나라 혼례문화에 여전히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최근 몇 년 간 스몰웨딩으로 불리는 작은 결혼식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기혼자 중 스몰웨딩을 실천한 사람은 5%에 불과해 우리나라 혼례문화가 여전히 허례허식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우리나라 청년층 대부분이 혼례문화를 바꿔야 한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실천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로 청년층은 하객 100인 이하의 실속있는 스몰웨딩을 더 선호하지만 남들만큼은 결혼식을 성대하게 치러야 한다는 체면문화와 축의금, 가족의 기대 등의 여러 이유로 현실적으로 외부의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혼례문화의 문제점은 청년층이 결혼을 기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예식비용과 주택 마련과 같은 부분에서 부모의 개입을 배제하기 여러운 구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려운 형편의 소외계층은 인륜지대사인 혼례마...
참고 자료
축의금도 인플레?…“대면 결혼식은 10만원이 기본”
-2022.05.31., 한겨레-
우리 결혼식 미룰까?” 고물가에 울상 짓는 예비부부
-2022.06.30., 이데일리-
김태수(2008), 한국사회 결혼문화의 변천사(變遷史)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복음과상담, 10.
주영애 외(2015), 대한가정학회, 자녀와 부모의 소비문화와 결혼식인식이 작은 결혼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53-3.
한인경제, 미혼남녀 10명 중 9명 "결혼문화 문제 있다" (201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