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원주의료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강원도원주의료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원주시 간호사정
2.1. 자료수집 방법
2.2. 지리적 특성
2.3. 인구구조 분석
2.4. 건강 수준 평가
2.5. 환경 특성
2.6.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2.7. 오락 및 휴식 시설
2.8. 지역사회 자원 현황

3. 간호진단
3.1. 간호진단 제시
3.2. 지역사회 간호문제 우선순위 선정

4. 간호계획
4.1. 일반적 목표 설정
4.2. 간호방법 및 수단 선택
4.3. 수행계획 수립
4.4. 평가계획 수립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지역사회 간호사정의 필요성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간호사정은 지역사회의 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이다. 특히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간호사정을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취약계층을 파악하고 이들의 건강요구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역사회 건강형평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사정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건강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핵심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원주시 간호사정
2.1.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존자료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원주시의 지리적, 환경적, 인구학적, 건강학적, 자원적 특성 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주시 보건소 및 통계청 사이트에서 원주시 인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흡연율, 비만율, 당뇨·고혈압 등 주요 건강지표에 관한 통계 자료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통해 원주시민의 건강수준과 건강행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지역지도자 면담 방법을 활용하여 방문보건간호팀 간호사와의 면담을 통해 원주시의 의료보건 실태와 보건소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이행률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지역시찰 방법을 통해 실제로 원주시 지역사회를 둘러보며 지역주민 특성과 환경에 대해 관찰하고 파악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하여 원주시의 전반적인 현황과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2.2. 지리적 특성

원주시는 한반도의 중심부이자, 강원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강원도의 최대도시이며, 춘천시 강릉시와 함께 강원도 3대 도시에 해당한다. 강원도 영서지방 서남부, 경기도 동부 일부 지역의 거점도시 역할을 한다. 원주시는 남한강과 섬강을 경계로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과 운계천을 경계로 충청북도 충주시 등 2개의 다른 도와 접하고 있는 위치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원주시는 분지 입구가 뚫려있어 중국발 스모그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산악지대가 아닌 너른 평야를 끼고 있는 분지로 치악산이 병풍처럼 가로질러 막고 있는 자연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리적 특성상 원주시는 편리한 교통망과 함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발전된 기업도시 및 혁신도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3. 인구구조 분석

원주시의 인구구조는 다음과 같다.

원주시의 총 인구수는 352,726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별로는 남자 175,077명, 여자 177,649명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30~49세가 가장 많은 102,911명(58.34%)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50~64세 87,586명(49.66%), 65세 이상 52,139명(29.53%), 20~29세 45,201명(25.64%), 10~19세 36,202명(20.53%), 0~9세 28,687명(16.2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퇴형 인구구조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낮고 청장년층 비중이 크며 유소년층 비율이 낮은 특징을 보인다. 또한 고령화 지수(65세 이상/0-14세 인구)가 179로 전국 평균 129보다 높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동력 부족, 연금재정 악화, 민간 저축 감소, 노인 요양비 증가 등의 문제가 예상된다.


2.4. 건강 수준 평가

원주시의 건강 수준은 다음과 같다.

원주시의 흡연률은 2019년 기준 25.3%로 전년 22.9% 대비 증가하였는데, 이는 성별로 큰 차이를 ...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1),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224~254PP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원주시 보건소 https://www.wonju.go.kr/health/index.do
원주시 교통정보센터 http://its.wonju.go.kr/
원주시청 https://covid19.wonju.go.kr/intro_new.html
안옥희, 김희걸 외, 『지역사회간호학Ⅰ』, (2020) 현문사.
공성숙 외, 『정신건강간호학Ⅰ』, (2019) 군자출판사
『원주시 지역사회 건강통계 2019년』, 강원 연세 원주의대.
『제7기 지역 보건 의료계획 2019년 시행결과 및 2020년 시행계획(안)』, 강원도 원주시 보건사업과.
『제7기 강원도 지역 보건 의료계획안 2019~2022』, 강원도 시청.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스트레스 클리닉”
http://guro.kumc.or.kr/department/treatDeptDesc01.do?DP_CODE=GR078
원주시청 홈페이지 “지리적 특성” https://www.wonju.go.kr/www/contents.do?key=230&
통계청 홈페이지, https://stat.wonju.go.kr/page/view.php/1sub2_2a
-https://stat.wonju.go.kr/board/board.php?b_id=res_stat&cmd=view&num=11&page=0&cate=&eq1=&eq2=&eq3=&eq4=&eq5=&st=&sk=
신유선·김정순·강영미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Ⅱ』, 2019, 수문사
원주시청,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https://www.wonju.go.kr/synap/skin/doc_mobile.xhtml?fn=20200429 092204694LTZ4lV.hwp&rs=/synap/result/DATA/bbs/464/
원주시통계사이트, http://stat.wonju.go.kr/main.php
원주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안내, https://www.wonju.go.kr/health/index.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