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약오류 개요
1.1. 투약오류의 정의
투약오류는 약물 처방, 투여, 사용 또는 보관 시 의사, 보건의료인, 약사 및 환자가 저지른 실수이다. 투약 오류로 인해 질병에 걸리거나 질병이 악화될 수 있다.
1.2. 투약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투약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가 혼동하여 약물을 잘못 사용한 경우이다. 환자가 복용할 약물을 혼동하거나 투여방법을 잘못 이해하여 부적절한 투약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 의사가 잘못된 약물을 선택하거나 잘못된 용량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한 경우이다. 의사가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약물 부작용 등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잘못된 약물을 처방하거나 적절한 용량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셋째, 약사가 처방전이나 약물 용기를 잘못 읽고 잘못된 약물 또는 용량을 제공한 경우이다. 약사가 의사의 처방전을 정확히 읽지 않거나 약물 용기의 라벨을 잘못 확인하여 잘못된 약을 조제하는 경우가 있다.
넷째, 간병인이 약물 용기의 라벨을 잘못 읽고 잘못된 약물 또는 용량을 제공한 경우이다. 간병인이 약물 투여 시 환자의 식별, 약물 종류, 용량 등을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실수로 잘못된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가 있다.
다섯째, 간병인이 다른 환자에게 약물을 제공한 경우이다. 간병인이 여러 환자의 약물을 관리하다가 착오로 다른 환자의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가 있다.
여섯째, 약사 또는 환자가 약물을 잘못 보관하여 약물의 효능이 약해진 경우이다. 약물을 부적절한 온도나 습도 등에서 보관하여 약물의 효과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일곱째, 환자가 유통기한이 지난 약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환자가 약물의 유통기한을 확인하지 않고 오래된 약물을 복용하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 투약오류 관련 법적 의무
2.1. 약물 처방, 조제, 투여의 책임
약물의 처방은 의사에게, 약의 조제는 약사에게, 처방된 약을 투여하고 투여 후 대상자 상태를 관찰하며 반응을 평가하는 것은 간호사에게 의무와 책임이 있다"이다.
의사가 처방한 약물은 약사가 조제하여 간호사에게 전달되며, 간호사는 처방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정확하게 투여하고 투여 후 대상자의 반응을 관찰 및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약물 처방, 조제, 투여의 각 단계에서 해당 의료진이 전문적인 책임을 지게 된다.
특히 간호사는 대상자의 투약 관련 과거력, 알레르기 등에 대해 미리 사정해야 하며, 과민 반응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주사 약제 투여 시 외과적 멸균법의 적용을 준수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다.
이처럼 약물 처방, 조제, 투여의 각 단계에서 의사, 약사, 간호사 모두가 전문적인 책임을 지게 되며, 특히 간호사에게는 대상자 안전을 위한 법적 의무와 책임이 부여되고 있다"이다.
2.2. 간호사의 법적 의무
간호사의 법적 의무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투약 관련 과거력, 알레르기 등에 대해 미리 사정해야 한다. 과민 반응 유발 가능성이 있는 과거력, 알레르기 등에 대해 미리 사정해야 한다. 주사 약제의 투여 시 외과적 멸균법의 적용은 간호사의 법적 의무가 된다.
간호사고는 간호행위가 개시되어 종료되기전까지의 과정이나 종료 후 당해 간호행위로 인해 발생한, 예상 외의 원치 않는 불상사가 발생한 경우의 총칭이다. 간호사가 간호표준을 준수하고, 최선의 간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간호과오는 간호사가 간호행위를 행함에 있어 평균수준의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업무상의 주의 의무를 게을리 하여 환자에게 손해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전문가 역할에 실패해 업무표준을 위반하는 경우 간호과실로 인정된다. 간호과오를 예방하기 위해 간호사는 학습한 간호지식에 근거하여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특히 수술이나 처치를 받기 전,후의 환자간호에 있어 주의의무와 확인의무를 다해야 한다. 또한 간호보수 교육을 통해 최근 간호과오와 관련된 판례의 경향을 파악하여 실무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활동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