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mbti 미디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MBTI 성격유형검사의 개요
2.1. MBTI의 개념
2.2. MBTI의 4가지 선호지표
3. MBTI 성격유형의 특성
3.1. 외향성과 내향성
3.2. 감각형과 직관형
3.3. 사고형과 감정형
3.4. 판단형과 인식형
4. MBTI 성격유형검사의 대유행 원인
4.1. 자기탐색 및 개인적 성장 도구로서의 MBTI
4.2.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셜미디어 문화와의 부합
4.3. 진로 지도 및 자아 정체성 확립에 기여
4.4. 대중문화와의 연계
5. MBTI 성격유형검사의 과학성 논란
5.1. 신뢰도와 타당성에 대한 의문
5.2. 성격의 지나친 단순화 비판
5.3. 자기충족적 예언(바넘 효과) 지적
6. MBTI의 활용과 가치
6.1. 대인관계 이해와 갈등 조정
6.2. 자기 성찰 및 성장을 위한 도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고대 서구의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로부터 사람의 성향을 분류하고, 나아가 나라의 운명을 점쳤다. 그리고 동양의 우리 조상들은 사람의 얼굴로부터, 손금으로부터, 그리고 생년월일과 이름의 조합으로부터 그 사람의 인생을 읽었다. 고대의 점성술이나 사주, 관상학 외에도, 인간은 꾸준히 혈액형이나 애니어그램 등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역사적인 예시들은 마치 인간이 '나'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나아가 '나'의 특성을 유형화하여 나에 대해 더 객관적으로 알아가고자 하는 본래적인 욕구를 갖는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리고 최근, 인간의 자기진술욕에 기반한 '인간 분류 체계'의 역사에 'MBTI 성격유형검사'라는 거대한 흐름이 새로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 유형 검사, 인간 분류 체계는 많은 사람의 흥미와 관심을 받은 한편, 줄곧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에 부딪혀왔다. 실제로 '혈액형 성격론'은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성격 형질의 결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그 신뢰성을 완전히 잃었다. MBTI 검사 역시, 현재 심리학계에서 완전히 배제된 1940년대 카를 융의 이론에 기초해 개발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유사 과학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상식적으로도 79억 명의 세계 인구를 단 몇 가지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이론은 이분법적이고 비논리적인, 그저 농담거리에 불과한 낭설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2019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MBTI 성격유형검사는 그전까지의 다른 검사들과 다르게 세계인의 폭발적인 관심을 얻었고, 그 자체로 사람들의 정체성 일부가 되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기에 이르렀다. 즉 MBTI의 4가지 척도와 같은 비과학적 논리체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인이 이에 매료된 이유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2. MBTI 성격유형검사의 개요
2.1. MBTI의 개념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스위스 정신과 의사 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심리 평가 도구이다. MBTI의 목적은 개인의 성격 선호도를 식별 및 설명하고 그들의 행동, 의사 결정 및 대인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MBTI는 사람을 16개의 서로 다른 성격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은 4개의 문자 조합으로 표시된다. 이 문자는 네 가지 이분법 또는 선호도를 나타내는데, 구체적으로 외향(E) - 내향(I), 감지(S) - 직관(N), 사고(T) - 감정(F), 판단(J) - 인식(P)이 그것이다. 이러한 선호도의 조합으로 ISTJ, ENFP 또는 INTJ와 같은 16가지 성격 유형이 생성된다. 각 유형은 특정 특성, 강점 및 성장 가능성이 있는 영역과 연관되어 있다.
2.2. MBTI의 4가지 선호지표
MBTI의 4가지 선호지표는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이다.
첫째, 외향(E)-내향(I) 지표는 개인이 자신의 에너지를 외부 세계와 타인에게 집중하는지 아니면 내부 세계와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지를 나타낸다. 외향형(E)은 어떤 상황에서든 에너지와 관심을 외부로 향하고 활동적이며 사교적이다. 반면 내향형(I)은 에너지와 관심을 내면 세계에 두고 좀 더 내성적이며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긴다.
둘째, 감각(S)-직관(N) 지표는 개인이 정보를 수집하고 경험을 이해하는 선호 방식을 나타낸다. 감각형(S)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정보에 의존하며 현재에 초점을 맞춘다. 반면 직관형(N)은 추상적 개념과 패턴,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며 미래지향적이다.
셋째, 사고(T)-감정(F) 지표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나타낸다. 사고형(T)은 논리, 객관성, 공정성을 중요시하고 분석적으로 접근한다. 감정형(F)은 가치, 공감, 타인의 감정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넷째, 판단(J)-인식(P) 지표는 삶을 대하는 태도와 접근방식을 나타낸다. 판단형(J)은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행동하며 결론을 내리는 것을 선호한다. 인식형(P)은 융통성 있게 상황에 적응하며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인다.
이처럼 MBTI의 4가지 지표는 개인의 선호 경향을 나타내며, 이 4가지 지표의 조합으로 총 16가지의 고유한 성격유형이 도출된다.
3. MBTI 성격유형의 특성
3.1. 외향성과 내향성
MBTI 검사에서 외향성과 내향성은 개인이 자신의 에너지를 어디에 집중하는지를 나타내는 선호지표이다. 외향형(E, Extraversion)은 자신의 에너지를 외부 세계와 타인에게 더 많이 집중하는 반면, 내향형(I, Introversion)은 자신의 내적 세계와 자신에게 더 많이 집중한다.
외향형 개인은 대체로 활동적이고 사교적이며 새로운 경험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동기부여와 에너지를 얻으며,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편안함을 느낀다. 또한 외향형 개인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쉽게 표현하고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들은 세상에 대한 폭넓은 관심사를 가지며 인간관계에 적극적이다.
반면 내향형 개인은 자신의 ...
참고 자료
김세은, 「단순 유행 넘어선 ‘MBTI’...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됐어요”」, 『이데일리』, 2021.01.30.,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1766628922968&mediaCodeNo=257, 접속일 2021.12.19.
성수민, 「너와 나의 다름을 알파벳으로 이해하는 시대」, 『고대신문』, 2021.05.09., https://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32572, 접속일 2021.12.19.
유주현, 「심리 테스트, 젊은층 놀이터인가 불안한 심리 반영인가」, 『중앙일보』, 2021.03.0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05854#home, 접속일 2021.12.19.
윤경민, 「나를 설명하는 혈액형과 MBTI」, 『안동대신문』, 2021.04.08., https://news.andong.ac.kr/news/articleView.html?idxno=591, 접속일 2021.12.19.
이신형, 이진영, 「성격유형에 따른 심상작업을 적용한 대학상담 사례연구」, 『연세상담코칭연구』 제7권,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2017, 128쪽.
이유진, 「나와 내 자식이 상극? MBTI 활용한 부모·자녀 관계 알기」, 『레이디경향』, 2015.05.07., http://m.lady.khan.co.kr/view.html?med_id=lady&artid=201505071729131&code=13#c2b, 접속일 2021.12.19.
이주영, 「All About ‘MZ’ 다섯 가지 MZ 키워드」, 『매일경제』, 2020.02.19., http://m.lady.khan.co.kr/view.html?med_id=lady&artid=201505071729131&code=13#c2b, 접속일 2021.12.19.
임주영, 「‘다양성과 다름’의 시너지... MBTI로 탄탄한 조직문화」, 『한경경제』, 2020.07.16.,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71643221, 접속일 2021.12.19.
Stromberg, Joseph, Estelle Caswell. “Why the Myers-Briggs test is totally meaningless.” Vox. 2015. https://www.vox.com/2014/7/15/5881947/myers-briggs-personality-test-meaningless. Accessed 19 December 2021.
조성환, 성격, 한림미디어, 2002
로이 오스왈드/오토 크뢰거, MBTI로 보는 다양한 리더쉽, 조이선교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