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가족의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건강성의 개념
2.1. 가족건강성의 정의
2.2. 가족건강성의 특성
3. 건강한 가족의 특징
3.1.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
3.2. 효과적인 의사소통
3.3. 가족 문제해결 능력
3.4. 공유된 가치체계
4. 우리 가족의 건강성 분석
4.1. 응집성에 따른 가족 건강성 분석
4.2. 적응성에 따른 가족 건강성 분석
4.3. 의사소통에 따른 가족 건강성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은 개인이 성장하는 동안 개인적으로 현재의 자아, 행동, 태도, 가치 등을 형성하고 사회적으로는 다른 사람과의 대인관계에 관한 신념을 형성해 성인이 되고 결혼생활까지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집단이다. 가족건강성은 가족이 가지는 건강한 성질 혹은 경향을 의미하며 건강한 가족 개념 혹은 특성을 포함한다. 건강한 가족은 가족 구성원 상호 간 규칙적이며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적절히 수행하고 가족 공동체, 정서적, 도덕적인 관계 향상을 도모해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 가족의 건강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가족건강성의 개념
2.1. 가족건강성의 정의
가족건강성의 정의란 가족 구성원 간 건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이 지니는 건강한 성질 또는 경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가족건강성은 가족이 가족구성원 상호 간 규칙적이며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적절히 수행하고 가족 공동체, 정서적, 도덕적인 관계 향상을 도모해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으로 정의된다. 가족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한 가족은 개인과 사회의 건강성 유지에 필수적이다.
2.2. 가족건강성의 특성
가족건강성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족건강성이란 가족의 건강한 정도를 의미하며 가족원 개인의 건강한 발달 도모와 가족원간의 원만한 상호작용으로 집단으로서 가치체계를 공유하며 친족과 사회체계와도 원활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생활하고 있는 체계의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가족건강성은 가족을 가족구조 또는 형태보다 관계의 기능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가족원들 간 긍정적 상호작용, 문제 해결, 가족 강점을 강조하고 있다"".
가족건강성에 대한 연구는 가족이 변화의 허용 정도, 갈등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는 가족 능력을 의미하는 적응성, 가족이 자율적이고 정서적인 결합이 이루어진 응집성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하다고 제시했다"". 이는 체계요소 간 역동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체계가 적응성과 응집성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건강하다고 보았다"".
또한 가족건강성은 가족 내적, 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을 소유 및 활용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대처하고 극복해 가족 구성원의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가족 구성원 사이 유대감, 의사소통, 가족 가치체계의 공유, 문제해결 수행 능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건강한 가족의 특징
3.1.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은 가족 건강성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이란 가족 구성원 개인의 개별성을 인정하면서...
참고 자료
노영애, 2020, 가족구조의 변화와 세대간 통합의 효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산효대학원대학교, p.6~9
오은지, 2016,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이 의미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p.13~15
박형원(2015).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원가족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강희숙, 서혜석, 이미영(2020).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어우리.
이성희(2021). 가족상담 및 치료. 창지사.
송정아 외, 2001, 『가족생활교육론』, 교문사.
유중근,「건강한 가정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데일리 이코노미,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