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더니즘과포스트모더니즘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모더니즘의 개념
2.1. 모더니즘의 등장 배경
2.2. 모더니즘의 특징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3.1.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배경
3.2.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4.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
4.1. 이성, 진보, 개인에 대한 태도 차이
4.2. 전통과 권위에 대한 태도 차이
4.3. 진리와 실재에 대한 관점 차이
5. 모더니즘의 대표적 작가와 작품
6.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 작가와 작품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세기로 들어서면서 19세기 사실주의에 대한 반발로 모더니즘이란 형태가 나타난다. 미술계에서는 이러한 모더니즘의 경향으로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가 나타났다.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자들은 현대적인 감각을 재해석한다는 면에서 팝아트와 비슷한 면을 지녔으나 이와는 다르게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들 중 피카소, 푸르스트, 포크너등의 거장은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가 아닌 신화와 전통 등의 표현을 중요시했다. 하지만 이들 작가의 표현은 난해하고 대중이 이해하기 힘든 추상적인 면이 있어 점차 대중문화에서 멀어지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을 지배하는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핵심적이고 가장 일반적 용어라 할 수 있다. 가장 좁은 의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새로이 대두되기 시작한 문학과 예술을 가리키는 문예적인 개념이다. 19세 기 중엽을 풍미하던 사조가 리얼리즘, 그리고 20세기 초엽을 풍미하던 사조가 모더니즘이라고 한다면, 20세기 후반은 다름아닌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특징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서로 시대적으로 대립되는 것 또는 두 가지 사이에 어떤 역사적 단절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포스트는 탈(脫) 또는 반(反)이라는 의미로 단순히 후기라는 연대적 의미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론에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들 살펴보고, 이들을 대표하는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열거해 양자의 비교를 더욱 명확히 하고자한다.
2. 모더니즘의 개념
2.1. 모더니즘의 등장 배경
모더니즘의 등장 배경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계몽주의 시대에는 인간의 합리성과 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상과 예술 전반에 걸쳐 근대화가 이루어졌다. 과거 종교와 왕권의 지배에서 벗어나 개인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연구하여 얻은 지식은 인간을 해방시키고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계몽주의 사상의 기저에 깔려있던 합리주의, 이성중심주의, 개인중심적 사고의 틀은 근대의 가치관으로 발돋움하면서 모더니즘 사상이 정립되기 시작했다.""
2.2.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과 실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모더니즘 예술가들과 작가들은 전통적인 형태와 관습의 경계를 넓히고, 새롭고 파격적인 표현 방식을 탐구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이들은 종종 전통적인 가치와 제도를 거부하고, 그것들을 숨막히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보았다. 모더니스트들은 권위와 전통에 회의적이었고,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만들려고 하였다.
둘째, 인간 이성의 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모더니즘은 인간의 이성이 세상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과학과 기술의 진보가 더 나은 미래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었다.
셋째,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모더니즘은...
참고 자료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07
김태우, 『현대의 서양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탁양현,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사상』, e퍼플, 2020
윤난지, 『현대미술의 풍경』, 한길아트, 2005
진중권, 『서양미술사, 모더니즘편』, 휴머니스트, 2011
진중권, 『서양미술사, 후기모더니즘 부터 포스트 모더니즘까지 편』, 휴머니스트, 2013
캐롤 스트릭랜드, 『클릭 서양미술사』, 김호경 역, 예경, 201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김욱동, 현암사, 1994년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심상욱, 전주대학교출판부, 2001년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성격, 김욱동, 학술논문_성곡언론문화재단(성곡논총), 1990년 8월
네이버블로그 : 德田의 문화일기
https://m.blog.naver.com/bhjang3
유혜령. (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한국학 (구 정신문화연구), 14(2), 183-197.
박민정. (2005).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교육과정연구, 23(4), 37-57.
임형백. (2009). 도시공간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도시행정학보, 22(3), 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