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도개방성 유지 체위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흡기계 환자 간호
1.1. 기도 개방성 유지
1.1.1. 체위 종류 및 변경
1.1.2. 분비물 제거
1.2. 호흡증진 간호
1.2.1. 산소요법
1.2.2. 분무요법
1.2.3. 인공호흡기
1.3. ABGA 판독
2. 심장계 환자 간호
2.1. 심장계 약물
2.2. 심전도 리듬 및 치료
2.3. 특수검사
3. 무의식 환자 간호
3.1. 신경학적 증상 감시
3.2. 개인위생 간호
3.3. 중환자의 진정, 섬망, 통증 도구
4. 뇌압 상승 환자 간호
4.1. 두개강 내압의 모니터
4.2. 두개강 내압 감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흡기계 환자 간호
1.1. 기도 개방성 유지
1.1.1. 체위 종류 및 변경
체위 종류 및 변경은 호흡기계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간호 중재이다. 체위 변경은 체위배액을 위한 것으로, 각 폐구역에 따라 적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폴러 체위(Fowler's position)는 45도 정도 상체를 들어올리는 자세로, 폐 확장을 최대로 하여 호흡곤란 시 유용하다. 필요한 경우로는 호흡곤란, 배농관의 배액, 흉곽수술 후, 심장수술 후, 심장질환, 또는 수술 후 등이다. 좌위(High-Fowler's position)는 앉은 자세와 비슷하게 머리부위를 90도 가량 높인 체위로, 가로막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호흡 보조근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반좌위(Semi-Fowler's position)는 머리부위를 30도 가량 높이는 체위로, 복부 장기들이 가로막 아래로 내려가게 하여 호흡이 쉽도록 한다.
오르소프닉 체위(Orthopneic position)는 침상이나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베개로 팔을 지지하거나 의자에 팔을 올려놓는 자세로, 위아래와 바깥쪽의 흉곽을 최대한 확장시켜 휴식 시 편안함을 제공한다.
체위 변경은 폐구역에 따라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좌우상엽 고파울러 체위, 우하엽 뒷부분 트렌델렌버그 체위에서 흉부를 상승시켜 우측으로 향한 복위, 좌상엽 앞부분 침대 가장자리에 앉은 체위이며 머리 상승시킨 앙와위 등으로 변경하여 각 폐구역의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이처럼 체위 종류와 변경은 호흡기계 환자의 기도 개방성 유지와 분비물 배출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중재라고 할 수 있다.
1.1.2. 분비물 제거
분비물 제거는 호흡기계 환자 간호에서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한 중요한 간호중재이다. 분비물이 과다하거나 점도가 높은 경우 기도가 폐쇄될 수 있어 적절한 분비물 제거가 필요하다.
분비물 제거의 목적은 점액섬모의 청소기능을 증진시켜 분비물과 세포잔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분비물을 묽게 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하루 1.5~2L 정도의 수분섭취를 권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수분 섭취 및 수액 공급, 가습요법, 흉부 물리요법 등이 있다.
수분 섭취 및 수액 공급은 점액섬모의 청소기능을 증진시켜 분비물과 기도의 세포잔해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분비물을 묽게 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루 1.5~2L 정도의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가습요법은 4L/min 이상의 산소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필수적이며, 비강 캐뉼라나 안면마스크의 가습을 통해 시행한다. 가습은 분비물을 묽게 만들어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흉부 물리요법은 가래가 동반되는 기침이나 흡인을 하기 전에 체위배액, 흉부 타진법, 진동법 등으로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루에 30ml 이상의 가래를 배출하는 환자, 흉부 X-선 검사에서 무기폐가 관찰되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이처럼 호흡기계 환자 간호에서 분비물 제거는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며, 수분 섭취, 가습요법, 흉부 물리요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1.2. 호흡증진 간호
1.2.1. 산소요법
산소요법은 호흡기계 환자를 간호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산소요법은 환자의 호흡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그 방법에 따라 저유량 장치와 고유량 장치로 나뉜다.
저유량 장치에는 비강 캐뉼라, 단순 마스크, 부분 재호흡 마스크, 비재호흡 마스크 등이 있다. 비강 캐뉼라는 24~44%의 저농도 산소를 분당 1~6L/min로 전달하는 단순하고 간편한 장비이지만 고농도의 산소 공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단순 마스크는 산소를 5~10L/min로 공급하여 40~60%의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부분 재호흡 마스크는 6~15L/min의 산소를 제공하여 70~90%의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으며, 비재호흡 마스크는 6~15L/min의 산소를 공급하여 65~95%의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고유량 장치에는 벤튜리 마스크가 있다. 벤튜리 마스크는 정확하고 고유량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COPD와 같이 비교적 정확한 산소농도를 제공해야 하는 대상자에게 선호된다. 보통 24~50%의 산소농도가 전달된다.
이처럼 산소요법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여 적절한 농도와 유량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증진시키고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2.2. 분무요법
분무요법은 약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변화시켜 환자에게 흡입시키는 치료법으로, 기관지 확장, 기관지 경련의 감소, 기관지 점막의 부종 감소, 기관지 분비물의 액화와 배출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분무요법에는 연무기(nebulizer)와 정량식 흡입기(MDI: Metered Dose Inhaler), 저용량 분무기(mini nebulizer), 분말 흡입기(DPI: Dry Powder Inhaler), 스페이서를 이용한 정량식 흡입기(MDI with spacer)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연무기는 약액을 압축공기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 미세입자로 변화시켜 환자에게 분무시켜주는 기기로, 발생되는 약물의 입자 크기가 적절하고 영아를 포함한 모든 연령에서 사용할 수 있어 가장 이상적인 흡입 방법이다"" 정량식 흡입기는 일정한 용량의 약물을 투여하여 신속한 치료 효과를 내고 기도를 습윤화하나, 5세 ...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수문사 성인간호학Ⅱ 8째판 수정판
수문사 성인간호학Ⅰ
핵심 기본간호수기 제2판(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프셉마음-호흡기 간호 입문편(김지인, 드림널스)
암또의 임상노트 vol. 1(암또, 포널스)
김경남, 김철호 외(2012),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 개발 및 검증, J Korean Acad Nurs Vol.42 No.3, 414-423
약학정보원. (2020, June 19).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www.health.kr/main.asp
항트롬빈.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labtestsonline.kr/tests/antithrombin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항응고제.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education/normal/view.asp?con_no=7215
Winter, J. and Winter, J., 2020. ECG Educator Blog. [online] Ecg-educator.blogspot.com. Available at: [Accessed 17 October 2020].
삼성서울병원. (n.d.). 약제부: 삼성서울병원.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766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관상동맥센터. (n.d.). Retrieved November 30, 2020, from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center/coronary_center/faq/view.asp?con_no=47162
Intracranial Pressure(ICP) Monitoring, 두개내압 감시 및 측정.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194061460
Ventriculostomy Surgery Delhi: Micro Endoscopic Surgery India.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www.thebrainandspine.com/ventriculos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