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kcu 생활 속 화학물질과 건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나마타병 개요
2.1. 미나마타병의 정의
2.2. 병의 증상과 원인
3. 미나마타병의 발생과 경과
3.1. 미나마타시에서의 최초 발병
3.2. 원인 규명 과정
3.3. 메틸 수은 오염의 확산
4. 미나마타병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
4.1. 초기 정부와 기업의 태도
4.2. 공해병 인정과 보상 논의
4.3. 정화 작업과 환경 복원
5. 미나마타병의 국제적 파급효과
5.1. 니이가타 미나마타병 사례
5.2. 미나마타 협약 체결
6. 미나마타병의 교훈과 사회적 영향
6.1.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의 조화
6.2. 시민 운동과 민주화 과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화학물질과 관련된 폐해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는 이번 과제의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최근 가장 큰 이슈였던 코로나19 백신 관련 부작용들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이란 혼합물과 대비되는 순수물 또는 화합물을 가리키지만, 여기에는 화학적으로 제조되는 물질들도 포함된다. 따라서 코로나19 백신과 같은 화학적 연구 결과물들 또한 화학물질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백신 관련 이슈를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코로나19(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병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급속하게 전 세계로 퍼져 전염병 유행이 되었다. 코로나19의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등이 있으며 감염 1~14일 사이에 나타난다. 코로나19의 전파는 감염자의 호흡기 비말 접촉으로 발생하며, 감염자와의 밀접 접촉 시 감염 확률이 가장 높지만 통풍,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실내에서도 먼거리에서 감염될 수 있다. 코로나19 진단은 실시간 RT-PCR, TMA, RT-LAMP 등의 방법으로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이 표준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거리두기, 격리, 실내 환기,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최근 백신 접종이 진행되고 있다.
백신 접종이 늘어남에 따라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은 일반적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주사 부위 통증 등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심각한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 백신 개발 과정이 통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긴급 승인된 탓에 안전성과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백신 접종 후 백혈병, 뇌졸중 등의 중증 이상반응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백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상의 위협 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제가 될 것이다.
2. 미나마타병 개요
2.1. 미나마타병의 정의
미나마타병이란 공장 폐수의 방출로 인해 바다에 축적된 메틸 수은에 오염된 해산물을 섭취하여 생기는 중독성/공해성 신경 계통의 질환이다. 1950년대 일본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 시라누이 해안 미나마타만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 지역 이름이 병명이 되었다. 임신 중인 여성이 오염된 해산물을 섭취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영향을 끼치는 사례는 '태아성 미나마타병'이라고 부른다.
2.2. 병의 증상과 원인
미나마타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손발의 감각 장애, 운동 능력 실조, 구심성 시야 협착, 청력 장애, 평형 기능 장애, 언어 장애, 손발 떨림, 안구 운동 장애 등이 있었다. 발생 초기에는 발광, 의식 불명, 쉽게 사망에 이르기까지 했다. 이는 공장 폐수의 방출로 인해 바다에 축적된 메틸 수은에 오염된 해산물을 섭취함으로써 생긴 중독성/공해성 신경계통의 질환이었다. 메틸 수은이란 수은을 촉매로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화합물로, 이는 뇌, 신장, 간, 머리카락, 피부 등에 축적되어 중독 증상을 유발했다.
3. 미나마타병의 발생과 경과
3.1. 미나마타시에서의 최초 발병
1950년대 후반, 일본은 중화학 공업의 발달로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공장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했다. 이 시기에 발생한 네 가지 공해병 중 하나가 미나마타병이다. 미나마타병은 공장 폐수에 포함된 메틸 수은에 오염된 해산물을 섭취하여 발병하는 중독성 신경계 질환이다. 미나마타병은 1950년대 일본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 시라누이 해안 미나마타만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이 붙었다.
1954년, 미나마타시의 길고양이들이 이상 현상을 보이며 미친듯이 경련과 발작을 일으키고 바다로 뛰어들어 죽기 시작했다. 또한 새들이 갑자기 떨어져 죽는 일도 잦았다. 이런 기이한 사건에 미나마타 시민들이 점점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1956년 4월 21일, 미나마타시의 한 유아가 말을 제대로 할 수 없고, 걸을 수도 없으며, 밥도 혼자서 먹을 수 없는 증상을 보이며 미나마타병이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유사한 환자들이 이미 여럿 발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53년 12월에 5세 어린이에게서 증상이 나타났고, 3년 뒤인 1956년 3월에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1956년 8월 구마모토 대학 연구팀이 창설되어 환자들을 대학 병원에 수용하고 조사하기 시작했다. 환자들은 작은 물건들을 잡거나 단추를 잠그는 것조차 못하게 되었고, 비틀거리지 않고는 걷거나 뛰지 못하게 되었으며, 목소리의 톤이 변화하고 보고, 듣는 것...
참고 자료
"The COVID-19 Pandemic: A Comprehensiv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20)
"Vaccines for COVID-19: Perspectives, Prospects, and Challenges Based on Candidate SARS-CoV-2 Vaccine Phase III Clinical Trials" (Vaccines, 2021)
"SARS-CoV-2 Variants: The Need for a Global Approach" (Cell, 2021)
"Epidemiology, causes, clinical manifestation and diagnosis, prevention and control o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during the early outbreak period: a scoping review" (Infectious Diseases of Poverty, 2020)
"Public health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Europe, 2020" (Epidemiology & Infection, 2021)
"Global initiatives for controlling COVID-19 and lessons for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Health Policy and Planning, 2021)
한숙영. "미나마타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오마이뉴스』, 2008/10/2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97575
미나마타병, 위키백과, 4/24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82%98%EB%A7%88%ED%83%80_%EB%B3%91
미나마타병 연구자료, 미나마타 시립 미나마타 박물관, 4/25일 참조
https://minamata195651.jp/list_ko.html,
미나마타병 관련 기사 연표 아카이브, 구마모토 대학 부속 도서관 熊本大学附属図書館長 中山 仁, 4/25 참조
https://www.lib.kumamoto-u.ac.jp/suishin/minamata/5chronicle/index.html,
미나마타병, 자연순환사회 경제 연구소 블로그, 4/26 참조
https://m.blog.naver.com/waterheat/220905796914
니가타 미나마타병이란?, 니가타 현 자료관, 4월 26일 참조
https://www.pref.niigata.lg.jp/uploaded/attachment/142642.pdf
임현술 “인류와 함께한 수은중독 이야기”, 대한 산업 보건 협회, 4/26일 참조
https://kiha21.or.kr/monthly/2015/6/SOBGBO_2015_s326_21.pdf
https://koya-culture.com/mobile/article.html?no=116139
이상훈. “세계최초 공해병 미나마타병의 시작과 경과" 『우리문화신문』 2018.12.19
reSEAT 분석 리포트 “메틸 수은의 독성과 미나마타병", 4/26 참조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KAR2011057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