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뇌출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1.1. 정의 및 병태생리
1.2. 원인
1.3. 증상 및 징후
1.4. 진단
1.4.1. 신체검진
1.4.2. 검사
1.5. 응급처치
1.5.1. 약물치료
1.5.2. 수술요법
1.6. 간호중재
1.6.1. 두개내압 상승 관리
1.6.2. 호흡관리
1.6.3. 전해질 불균형 관리
1.6.4. 보호자 교육 및 상담
1.7.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1.1. 정의 및 병태생리
뇌내출혈은 뇌 내부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하며, 두개 내에 출혈이 있어 생기는 모든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출혈성 뇌졸중으로도 알려져 있다. 뇌내출혈은 모든 뇌졸중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며, 예후가 나쁜 편이다. 30일 사망률이 40~80%에 이르고, 발병 환자의 절반 이상이 48시간 이내에 사망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뇌내출혈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뇌의 혈관이 약하거나 비정상적이거나 비정상적인 압력을 받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이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속적인 고혈압으로 인해 혈관이 약해지고 이것이 파열되면서 출혈이 발생한다. 뇌출혈 시 혈관이 파열되어 흘러나온 혈액이 뇌실질 내에 침윤되면서 혈종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두개내압이 상승하고 뇌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이 가해져 뇌조직이 손상을 입게 된다.
혈관이 파열되어 흘러나온 혈액으로 인해 뇌조직이 압박을 받게 되면, 이로 인해 뇌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는 곧 뇌세포로의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세포 대사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뇌세포가 호기성 대사를 유지하지 못하고 혐기성 대사로 전환되면서 젖산이 축적되어 pH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병태생리로 인해 뇌신경세포의 기능이 손상되고 결국 영구적인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1.2. 원인
뇌내출혈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혈압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고혈압 환자에서 뇌혈관벽이 약화되고 동맥류나 미세동맥류가 형성되어 파열되면 뇌내출혈이 발생한다. 고혈압성 뇌출혈은 전체 뇌내출혈의 약 60-70%를 차지한다. 특히 고령 고혈압 환자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둘째, 동맥류 파열도 뇌내출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뇌의 큰 동맥에 생긴 동맥류가 파열되면 대량의 출혈이 일어나 치명적일 수 있다. 동맥류 파열은 전체 뇌내출혈의 약 20% 정도를 차지한다.
셋째, 혈관기형도 뇌내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선천적으로 뇌혈관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혈관이 약해져 쉽게 파열되어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혈관기형으로 인한 뇌내출혈은 전체의 약 10% 정도이다.
넷째, 항응고제 복용도 뇌내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와파린이나 혈소판 응집억제제 등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뇌내출혈이 잘 발생한다. 이는 항응고제로 인해 출혈성 경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외상성 뇌출혈도 있다. 교통사고나 추락 등의 심한 외상으로 인해 뇌실질 내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외상성 뇌출혈은 전체의 약 10% 정도를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혈액 응고 장애, 뇌종양, 혈관염 등의 기저질환도 뇌내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
종합하면, 뇌내출혈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 동맥류 파열, 혈관기형, 항응고제 복용, 외상 등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기저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1.3. 증상 및 징후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뇌내출혈 직후 수분에서 수 시간 내에 증상이 발현된다. 절반 이상이 피각, 내포, 백질, 시상, 대뇌반구, 교뇌에서 발생하고 초기에 오심, 구토를 동반한 심한 두통을 겪으며, 피각 및 내포출혈, 편측 허약감, 어눌해지는 말투 등의 증상이 대표적이다. 출혈이 심하게 진행되면 편마비, 동공확대 및 고정, 비정상적 자세, 혼수 등이 나타날 수 ...
참고 자료
박은영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약학정보원. 2023년 3월 23일 접속, https://www.health.kr/main.asp.
허승곤. (1981). 뇌기저핵 및 시상에 발생한 자발성 뇌내출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Doctoral dissertation, 연세대학원 대학원).
Wakai, A., Roberts, I. G., & Schierhout, G. (2005). Mannitol for acute traumatic brain injur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I』, 현문사, 2017, 95-109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II』, 수문사, 2014, 1159-1308
양수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6, 284-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