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진의 기원과 발전
1.1. 사진(술)의 기원
사진(術)의 기원은 카메라 옵스큐라와 감광성의 특징의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렌즈에 의한 피사체의 상을 만드는 것이며, 감광성은 빛의 작용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변할 수 있는 민감한 재료를 의미한다.
우선, 사진은 옵스큐라(어두운 방)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옵스큐라는 안쪽을 어둡게 만든 상자나 방 한편에 작은 구멍을 뚫어놓고 바깥에서 어두운 쪽으로 들어오는 빛을 통해 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렇듯 옵스큐라 단독으로는 아무 발전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빛을 이용하여 엄청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이 때 사용한 빛의 특징으로는 직진성, 반사성, 굴정성, 회절성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빛의 특징을 이용할 수 있도록 렌즈 및 거울 세공의 지식과 더불어 카메라 옵스큐라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카메라 옵스큐라는 미술에서의 선 원근법 및 소실점의 원리와 매우 비슷하며, 일각에서는 "인공적인 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보다 조금 더 발달된 형태는 현대적인 반사경식 카메라가 기존의 상자 맞은편에 상이 맺혀지는 것이 아니라 상자 윗부분에 유리가 씌워지고 그 바로 밑에 45도 각도로 거울을 위치시켜 상을 맺히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BC 4세기경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을 통해 한줄기 빛이 도달하면, 반대편 벽에 축소된 바깥의 실제의 상이 거꾸로 뒤집어진 채 보여진다'고 말했다. 또한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반대편 벽에 비춰 밖의 사물을 보여준다'라고 노트에 남긴 기록이 남아있다. 14세기 초 다빈치가 바늘구멍을 이용한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했다. 네모난 상자의 한쪽 면에 바늘구멍을 뚫어 놓고, 그 반대 면에는 종이를 붙여, 바늘구멍이 향하고 있는 쪽 영상이 상자 속으로 들어와 종이에 비치도록 만들어 밑그림을 그리는 도구로 사용했다.
따라서 사진이란 매체가 발명되기 전부터, 사진의 원리는 화가들에 의해 밑그림을 그리는 도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1.2. 카메라 옵스큐라와 사진술의 발전
카메라 옵스큐라와 사진술의 발전은 사진의 기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BC 4세기경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을 통해 한줄기 빛이 도달하면, 반대편 벽에 축소된 바깥의 실제의 상이 거꾸로 뒤집어진 채 보여진다'고 언급한 바와 같이, 어두운 방에 작은 구멍을 뚫어 밖의 영상을 받는 이 원리가 바로 카메라 옵스큐라의 기본 원리이다.
14세기 초 다빈치가 바늘구멍을 이용한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했는데, 이는 네모난 상자의 한쪽 면에 바늘구멍을 뚫고 반대 면에는 종이를 붙여 바늘구멍이 향하고 있는 쪽 영상이 상자 속으로 들어와 종이에 비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화가들은 오래전부터 카메라 옵스큐라를 밑그림을 그리는 도구로 사용했다.
1807년에는 과학자 윌리엄 하이트 울러스턴이 카메라 옵스큐라보다 더욱 세련된 예술적 솜씨를 보이게 될 기술적 장치인 '카메라 루시다'를 고안하여 소개했다. 이처럼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온 결과 사진술이 태동하게 된 것이다.
1.3. 사진 발명의 사회적 배경
그림으로 자기 모습을 남기는 것은 부유한 층의 특권이었으며 소수만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이었다. 하지만 중세,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중산층의 부가 증가하면서 부르주아 계급이 형성되었다. 부르주아 계급들을 포함하여 자기 자신의 모습을 남기고 싶고 간직하고 싶은 인간들의 열망에 의해서 사진이란 것이 등장했다.
산업혁명은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혁신과 이에 수반하여 일어난 사회·경제 구조의 변혁이었다.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은 유럽 제국, 미국·러시아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및 라틴아메리카로 확산되었다. 영국이 산업혁명을 앞세워 유럽 경제를 주도하던 때, 시민혁명을 통해 왕정은 타파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부의 분배가 특정 계급에 의해 좌지우지되던 시기가 있었고 이때 사진이 나타나게 되었다.
카메라 옵스큐라의 영상이 실용적인 기술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요구는, 18세기 후반 급성장한 중산계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