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푸드코디네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푸드코디네이터와 푸드스타일리스트의 정의와 역할
1.1. 푸드코디네이터의 정의와 자질
1.2. 테이블 코디네이션의 정의와 방법
1.3. 푸드코디네이터와 테이블 코디네이터의 업무 구분
2. 푸드와 패션의 접목
2.1. 패션피플에게 푸드가 지니는 의미
2.2. 패션스타일링과 푸드스타일링의 공통점
2.3. 패스트푸드, 힐링푸드와 윤리적 소비
2.4. 음식에 따른 적절한 패션 연출
3. 푸드 트렌드와 디저트
3.1. 2018 서울 디저트 쇼 관람 감상
3.2. 디저트와 소확행의 관계
3.3. 인스타그램 감성과 디저트의 연관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푸드코디네이터와 푸드스타일리스트의 정의와 역할
1.1. 푸드코디네이터의 정의와 자질
푸드코디네이터의 정의와 자질은 다음과 같다.
푸드코디네이터는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으로 스타일리스트(stylist)라는 직업이 시작된 이후 1970년대 일본에서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 활성화되었다. 현재는 식 공간을 연출하는 모든 이들에게 붙여져서 사용되고 있다. 스타일리스트나 코디네이터라는 용어의 처음 사용은 패션 분야였지만, 현재는 의식주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스타일리스트가 완성된 원안 디자인을 더 상품가치가 있도록 수정하는 역할이라면, 코디네이터는 부분들을 조합하여 기업의 방향을 정하는 패션 조정자의 역할을 한다.
푸드코디네이터는 인간을 중심으로 인간, 사물, 일을 연결하며 관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식재료를 취급하는 단순한 일에서 벗어나 식문화의 중심에서 인간과 관련된 모든 일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 푸드코디네이터는 음식이라는 주제로 식품에 관련된 폭넓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쾌적한 식 환경을 창조하기 위해 활동하는 전문가이다. 이처럼 푸드코디네이터는 기존에 있는 것을 조합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도 한다.
푸드코디네이터의 기본 이념은 어메니티(amenity)이다. 어메니티는 쾌적성, 기분 좋음, 기분 좋은 환경 등으로 번역되며,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성인 사랑을 종축으로 하고, 인간과 환경을 포함한 생명을 횡축으로 그렸을 때 교차하는 접점에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푸드코디네이터는 사람이 쾌적한 공간 속에서 마음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푸드코디네이터의 기본 자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둘째, 고객과 공통의 화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고객에게 알기 쉽게 이야기해야 한다. 넷째, 고객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빨리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고객의 눈을 보면서 이야기해야 한다. 여섯째, 고객과의 대화 시 적절한 유머를 곁들여야 한다. 일곱째, 자기 자랑을 늘어놓지 않아야 한다. 여덟째, 남을 헐뜯거나 험담을 하지 말아야 한다. 아홉째, 고객의 질문에 분명하게 답변해야 한다.
1.2. 테이블 코디네이션의 정의와 방법
테이블 코디네이터의 정의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테이블 코디네이터는 식탁에 관계되는 모든 것의 색채, 소재, 형태 등의 조합을 생각해서 보다 즐겁고 쾌적한 분위기로 식사를 맛있게 먹기 위한 연출을 기획, 제작하는 일을 한다. 테이블 코디네이터의 범위는 요리를 도입한 세팅에서 디스플레이, 파티 프로듀스, 테이블 tops 컨설팅, 상품기획, 교육 등으로 광범위하다. 테이블 코디네이터의 기본은 안목이 아름다움만을 추구해서는 안 되고 식탁에 올려질 메뉴를 상상해 가면서,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이 보았을 때 시각적인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게 해야 한다. 또한 테이블 코디네이터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해서는 안 되며, 자신의 개성보다는 고객의 입장을 먼저 생각해야하고 음식이 먼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순히 먹는 것의 배열이라는 의미에서 벗어나 마음이 담긴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블 코디네이터의 기본 이론은 인간(人間), 시간(時間), 공간(空間) 그리고 5W1H의 원칙에 따른 계획으로 고객의 요구에 최대한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규칙(規則), 계절(季節), 기분(氣分)을 고려해야 한다. 테이블위의 그릇의 배치에는 각 나라별로 규칙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계절성에 따른 분위기와 고객의 기분에 맞는 테이블 연출이 중요하다.
테이블 코디네이션의 이미지별 연구로는 클래식, 엘레강스, 캐주얼, 로멘틱, 내추럴, 심플, 하드캐주얼, 모던 등이 있다. 각각의 이미지에 따라 색상, 소재, 기물 등을 달리 구성해야...
참고 자료
박인규(2005), 소믈리에 실무, 대왕사
강무근⋅김인환⋅이강춘(2004), 이탈리아 조리실무, 효일.
박금순(2004), 세계의 음식문화, 효일
김혜영(2004), 문화와 식생활, 효일
이유주(2005), 푸드컬러와 디자인, 경춘사
김수인(2005), 푸드코디네이트, 효일
김기영⋅추상용(2006), 연회 기획 서비스 실무론, 현학사
서민교⋅김돈유(2004), 전시마케팅, 한올출판사
김혜영(2004), 푸드코디네이션 개론, 효일
오경화(2005), 푸드 코디네이트, 교문사
황지희⋅유택용⋅나영아(2002), 푸드코디네이터학, 효일
나정기(1995), 메뉴관리론, 백산출판사
김정원(2008). 푸드 스타일링에 있어서 미각의 시각화와 색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우영(2004). 패션잡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삼성디자인넷 www.samsungdesign.net
http://www.dessertshow.co.kr/, 2018 서울 디저트 쇼 홈페이지
강은숙, 안세희, 푸드 스타일링 이론과 실제, 백산출판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