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1.1. 기존 기독교 신학의 한계와 문제
현존하는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은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 기독교 신학은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는 노력에 집중해왔으나 이는 실패할 수밖에 없는 시도였다.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하는 논리적 시도는 신을 또 하나의 "존재"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즉 신을 이 세상의 사물들과 같은 "존재" 중 하나로 취급하게 되어, 궁극적 실재로서의 신의 성격을 훼손하고 말았다. 이는 전통 신학의 핵심적 개념인 "유신론"의 한계를 보여준다.
둘째, 전통적 기독교 신학은 신을 "저 위에" 또는 "저 밖에" 있는 초월적인 존재로 설정함으로써, 신과 세속적 현실 사이의 간극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초월적 신 개념은 점점 현대인들에게 무의미하고 공허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신과 인간, 신과 세계가 분리되어 있다는 이분법적 세계관은 더 이상 현대인들에게 신앙의 동기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었다.
셋째, 전통 신학의 기반인 "초자연주의적" 세계관은 점점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과학의 발전으로 세계에 대한 합리적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신화적이고 초자연적인 요소들은 더 이상 현대인들에게 신앙의 근거가 되기 어려워졌다. 특히 성서의 "신화적" 용어와 개념들은 현대인들에게 현실 감각을 상실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 신학의 한계와 문제점들로 인해, 현대 신학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세속화 신학의 출현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1.2. 세속화 신학의 출현
세속화 신학의 출현은 20세기 후반 신학의 중요한 주제였다. 세속화 신학은 1950년대 후반에 태동하여 1960년대에 정점에 이르렀는데, 그 출현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2차 세계 대전 이후 신학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한 것은 이 세상에 대한 관심 문제였다. 이를 주도한 것은 현대 과학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과 더불어 하나님의 초월성이나 불안, 절망, 죄와 같은 종래의 주제가 전후세계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한 젊은 신학자들이었다. 그들은 전통적인 기독교는 세계 대전을 사전에 막지도 못했으며, 전후시대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지도 못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이해된 하나님은 현대인에게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세속화의 문제가 20세기 후반의 중요한 신학적 주제가 되었으며, 이러한 세속적인 관심과 사고에 기초하여 형성된 신학이 세속화 신학이다.
둘째, 본회퍼, 불트만, 틸리히의 신학 사상이 세속화 신학의 출현과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세속화 신학은 본회퍼의 성인된 세계와 성서 개념의 비종교적 해석, 불트만의 비신화화론, 틸리히의 "실존의 깊이"의 개념에 사상적 기반을 두었다. 로빈슨에 따르면, 이 세 사람의 사상은 현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사상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단서를 제공했다. 특히 본회퍼의 사상이 세속화 신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데, 세속화 신학은 본회퍼의 성서 개념의 비종교적 해석을 발전시킨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3. 신(神)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신은 '높은 곳에 있는 하나의 초월적인 인격'이라고 여겨져 왔다. 이는 고대 신화에서의 신들이 하늘에서부터 내려오거나 하늘에 맞닿아 있었던 것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과학이 발달하면서 우리에게 "저 위 높은 곳"이라는 개념이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신은 "저 밖의 신"으로, 즉 우리의 볼 수 있는 최대 시야 너머에 존재하는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 역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단순히 "저 위"에서 "저 밖"으로 신의 위치가 옮겨졌을 뿐, 여전히 신은 우리와 단절된 초월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로빈슨은 신을 "우리 존재의 기반(Ground)"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다.
로빈슨은 틸리히, 불트만, 본회퍼 등의 신학자들의 사상을 기반으로, 신을 초월적인 "타자(他者)"가 아닌 인간 존재 자체의 근원이자 기반으로 제시한다. 즉, 신은 인간 삶의 "깊이"를 제공하며, 인간 존재의 "궁극적인 목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