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노스페이스 기업소개 및 목표
노스페이스는 199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작은 규모의 등산용품 전문점으로 시작하였다. 우연치 않게 발매한 침낭이 고객으로부터 큰 인기를 얻으면서 이후 고기능 등산장비와 배낭 소매점인 'THE NORTH FACE'로 알려지게 되었다. 노스페이스 로고에 있는 3개로 나누어진 심볼은 1960년대 당시 가장 오르기 힘들다고 여겨졌던 알프스 3대 북벽인 아이거, 그랑조라스, 마터호른을 상징한다.
노스페이스는 골드윈코리아에서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국내시장에 진출한 이후 아웃도어라는 단어가 점점 친숙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는 것을 기업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등산과 캠핑, 레포츠 등 다양한 아웃도어 활동에 적합한 기능성 제품과 트렌디한 디자인의 제품을 개발하며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 아웃도어 시장 분석
2.1. 포터의 5가지 경쟁 요인 분석
포터의 5가지 경쟁 요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매자의 교섭력은 높지 않은 편이다. 아웃도어 제품의 특성상 개인의 선호나 취향보다는 기능성과 내구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구매자들은 가격변화에 크게 민감하지 않다. 또한 아웃도어 브랜드 간의 차별성이 크지 않아 특정 브랜드에 대한 고객충성도도 높지 않은 편이다.
공급자의 교섭력 또한 크지 않은 편이다. 아웃도어 제품 생산에 필요한 소재와 부품은 다양한 공급업체를 통해 확보할 수 있고, 특정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공급업체들의 가격 인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신규 진입자의 위협은 다소 높은 편이다. 아웃도어 시장은 진입장벽이 낮아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다. 특히 해외 유명 브랜드들의 국내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여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대체재의 위협은 중간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아웃도어 제품들이 일상복으로도 활용되면서 일반 캐주얼 의류가 대체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 제품의 기능성과 내구성은 일반 캐주얼 의류와 차별화되기 때문에 완전한 대체재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고객들의 선호가 기능성보다는 스타일과 가격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 대체재의 위협이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경쟁업체 간 경쟁 강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아웃도어 시장에 진출한 업체 수가 100여 개에 달하고, 이들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가격, 디자인, 기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어 시장 내 경쟁 강도가 매우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아웃도어 시장의 구조적 특성상 구매자와 공급자의 교섭력은 높지 않지만, 신규 진입업체의 위협과 경쟁업체 간 경쟁 강도는 매우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스페이스와 같은 기존 업체들은 끊임없는 혁신과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2.2. 시장 전망
아웃도어 시장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면,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과 레저에 대한 관심 증가, 주 5일 근무제 시행으로 여가시간 확대, 등산ㆍ캠핑 등 야외활동 인구 증가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3조 7천억 원 수준이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2021년에는 회복세를 보이며 약 4조 2천억 원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2025년에는 약 5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야외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상복화된 아웃도어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소비자 트렌드 측면에서도 긍정적 요인들이 다수 관측된다. 자연친화적이고 기능성이 우수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으며, 등산이나 캠핑 등 야외활동에 적합한 멀티 퍼포먼스 의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상복으로 착용할 수 있는 스타일리시한 아웃도어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업 간 경쟁 측면에서도 아웃도어 시장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유명 브랜드 외에도 중저가 브랜드와 SPA 브랜드들의 아웃도어 라인 확대, 스포츠 브랜드의 아웃도어 시장 진입 등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술 혁신, 마케팅 강화, 유통 채널 다각화 등 다양한 경쟁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스타일과 기능성을 겸비한 제품들이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소비자 트렌드를 선도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나가야 할 것이다.
3. 소비자 분석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직장에서의 주 5일제 실시가 늘어나면서 흔히 등산복으로 불리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