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디자인 원리와 역사
1.1. 조화
1.1.1. 유사
유사는 외형적으로 동일한 요소의 조합에 따른 조화로, 통일과는 구분된다. 간결하게 처리되는 현대적 실내디자인 경향의 하나이다. 유사는 경쾌하며 온화하고 여성적인 안정감이 있지만, 반면 지나치게 단조로움뿐 아니라 신성함도 잃을 수 있어 깊은 맛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유사의 특성으로 인해 경제적인 실내 공간 조성의 조화방법으로 사용자의 성격이 정해진 국한된 공간, 작은 규모의 공간 등에 이용된다.
1.1.2. 대비
대비는 서로 다른 요소가 각각의 개체이면서 공존하는 상태의 조화를 말한다. 특히 성질이나 질량이 전혀 다른 둘 이상의 것이 동시적 공간에 배열될 때 서로의 특질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현상이다. 대비의 성격은 다양한 형태, 양식 등이 이용되므로 공간 사용자에게 풍부한 감성과 다양한 경험을 주고 싫증나지 않는다. 대비는 양자 간의 반대성질에 의해 자신의 특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상대방의 서로 다른 특성을 살린다. 이러한 대비는 화려하고 남성적이며 강력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지나치게 대비시킬 경우 혼란하고 난잡하며 공간에 불통일성을 가져올 수 있다. 대비의 예로는 질감, 촉감, 색상, 거리, 선, 크기, 무게, 길이, 밝기, 소리 등이 있으며, 대비는 인테리어 디자인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조화로 쇼핑, 레저 공간 등 사용자와 이용목적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공간에 이용된다.
1.1.3. 통일
통일은 훌륭한 디자인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연관되는 요소들의 총체성이나 단일성을 말한다. 통일은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 미의 근원이 되는 원리이다. 이러한 통일성은 공간 또는 물체에 질서 있고 미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전체가 창조될 수 있도록 구 부분들을 선택, 배열할 때 비로소 나타난다. 통일의 성격은 생동감이 넘쳐나고 안정감을 느끼도록 한다. 통일은 상업이나 레저 시설 등 다목적 공간, 교통관련이나 휴양목적 공간, 기념이나 교육 공간 등 다양한 기능목적 공간계획에 사용된다. 이처럼 통일은 전체적인 조화와 질서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
1.2. 균형
1.2.1. 대칭
대칭(symmetry)은 가장 완전한 균형의 상태로, 형태, 크기, 위치 등이 축을 중심으로 양쪽에 균등하게 놓이는 경우를 가리킨다. 이러한 대칭은 정적이고 엄숙하며 완고한 성격을 가진다. 공간에 질서를 부여하기에는 쉽지만 표정이 엄숙하고 경직될 수 있다. 하지만 부드러움과 활기는 부족하나 안정감과 연속감을 주며, 독창적이고 창조적이기도 하다.
대칭은 정면에서 본 인체, 나비와 잠자리, 자동차, 비행기, 선박, 동물 및 사원의 건축양식 등 지상의 대부분의 물체에서 찾아볼 수 있는 균형의 상태이다. 이러한 대칭적 균형은 공식적인 방이나 전통적인 장식, 벽 처리나 가구 배치 등에 이용된다.
1.2.2. 비대칭
비대칭(un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