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산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고령 임산부 관련 문헌고찰
1.2.1. 고위험 산모의 정의 및 특성
1.2.2. 고령 임산부의 임신 및 출산 관련 합병증
2. 고령 산모 사례 분석
2.1. 대상자 기초 정보
2.2. 간호력 사정
2.2.1. 일반적 특성
2.2.2. 월경력 및 산과력
2.2.3. 과거병력
2.2.4. 가족력
2.2.5. 현 건강상태
2.2.6. 임신 및 출산 관련 사회·심리적 정보
2.3. 분만 진행 과정
2.4. 검사 결과
2.5. 처방 약물
3. 간호과정 적용
3.1. 간호문제 목록
3.2. 간호과정
3.2.1. 간호진단
3.2.2. 간호중재
3.2.3. 간호평가
4. 퇴원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지난 몇 십년간, 전 세계적으로 선진국들에서 여성들의 출산연령이 높아지는 현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여성의 사회, 경제적 참여가 늘고,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결혼의 연령이 늦어지거나 임신을 미루게 되는 상황의 증가가 그 원인으로 보인다. 한국 또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여성의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은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35세 이상의 고령출산도 늘고 있어, 고령출산의 비율은 2002년의 8.0%에 비해 현재는 23.9%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출산은 2001년부터 15년간 지속된 우리나라의 초저출산 현상과 긴밀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임부들이 건강한 출산, 행복한 육아를 통해 출산 이후 여성의 평생의 삶이 전인적으로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간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1.2. 고령 임산부 관련 문헌고찰
1.2.1. 고위험 산모의 정의 및 특성
고위험 산모는 임신으로 인해 산모와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일반 산모에 비해 높은 산모를 말한다. 따라서 고위험 산모는 임신 전·후로 일반 산모에 비해 특수한 관리나 치료를 추가로 받게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산전관리나 분만을 3차 의료기관 또는 신생아 중환자실 등 시설 및 전문 인력을 갖춘 의료기관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고위험 임산부의 특성으로는 산모의 나이가 19세 이하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본인이나 직계가족의 유전적 질환이나 선천성 기형병력이 있는 경우, 임신 중 감염(풍진, 수두, C형 간염, 매독, HIV, CMV 등)이 발생한 경우, 흡연/알코올 중독인 경우, 다량의 자궁근종이나 자궁기형이 있는 경우,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과적인 질환(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간질, 신장질환, 갑상선 질환, 자가 면역 질환 등)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제를 장기 복용하는 경우, 과거 임신력 또는 출산력 상 문제가 있었던 경우(기형아 또는 염색체 이상 태아를 임신, 반복적 유산 또는 조산, 임신 중독증, 임신성 당뇨 등), 다태 임신인 경우,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가 동반된 경우, 양수과소증 또는 양수 과다증이 있는 경우, 자궁내 태아발육 부전 또는 거대아 임신인 경우, 조기양막파수 또는 조기진통이 있는 경우, 전치태반이 있는 경우, 산모가 Rh- 혈액형인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고위험 임산부는 임신과 관련된 다양한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어 보다 철저한 산전 관리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위험 임산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요구된다.
1.2.2. 고령 임산부의 임신 및 출산 관련 합병증
고령 임산부의 임신 및 출산 관련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고령 임산부에게는 임신 및 출산 과정에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대표적인 합병증에는 조기진통 및 조산, 자간전증, 임신성 당뇨병, 태반조기박리 등이 있다.
조기진통 및 조산은 임신 20주 이상, 37주 이전에 자궁경부 변화를 동반한 규칙적인 진통이 발생하여 그 시기에 출산하는 것을 말한다. 고령 임산부들은 유전적 요인, 육체적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조기진통과 조산의 위험이 높다. 조산아들은 영아 사망률이 높고 뇌성마비와 같은 심각한 장애를 앓을 수 있다.
자간전증은 임신 중기에 발병하는 고혈압 질환으로, 임신 전 정상 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과 단백뇨가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자간전증이 심한 경우 산모에게 심혈관계, 신장, 간,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될 수 있고 태아에게도 위험이 크다. 자간전증의 근본적인 예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궁극적인 치료는 분만이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기간 중 발병하는 당뇨병으로, 고령 임산부에게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다양한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산모에게는 임신중독증, 조산, 거대아 출산, 사산 등의 빈도가 높아지고, 태아에게는 기형의 위험이 있다.
태반조기박리는 태아를 만출하기 전 태반이 먼저 박리되는 것으로, 고령 임산부, 다분만 경험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한다. 태반조기박리가 있을 경우 주산기 사망률이 크게 증가한다.
이처럼 고령 임산부는 다양한 임신 및 출산 관련 합병증에 노출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면밀한 산전관리와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고령 산모 사례 분석
2.1. 대상자 기초 정보
대상자의 기초 정보는 다음과 같다.
입원일: 2021년 12월 27일
입원경로: 응급실
진단명: Cesarean section for dystocia, CPD (아두골반 불균형 난산으로 인한 제왕절개), Supervision of normal first pregnancy, 37 weeks or more pregnant or more ~ less than 42 weeks pregnant (정상적인 첫 임신, 37주 이상의 임신 또는 42주 미만의 임신), Contact with and exposure to unspecified communicable disease (지정되지 않은 전염성 질병과의 접촉 및 노출)
주호소: 39W 2D, Labor pain
- 성명: 이O진
- 연령: 40세
- 체중(임신 전): 57kg, 체중(임신 후): 67kg
- 경제수준: 중
- 종교: 무
- 의료보험: 유
- 학력: 대졸
- 거주지: 창원시 성산구
- 직업: 은행원
- 흡연: 무
- 음주: 무
- 키: 160cm
- 수유계획: 모유영양
- 피임방법: 무
- 초경연령: 16세
- 월경간격: 30일
- 월경기간: 6~8일
- 월경양: 보통
- 월경증상: 경미한 복통
- 결혼여부: 기혼
- 결혼기간: 3년
- Gravidity: 1
- Parity: Full term B. 0, pre term B. 0, Abortion 0, Living child 0
- 임...
참고 자료
박영주 외 공저(2020).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박영주 외 공저(2020).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이은희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이소영(2014). 임산부의 고령이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6
이소영, 임지영(2013).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31-09. Medica Portuguesa, 30(9), 615-622.
이삼식(2017). 인구 및 출산 동향과 대응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포럼 243, 29-46.
문은영, 권미애, 전혜정(2016).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이화젠더법학, 8(1), 91-121.
이미옥, 명성준(2015).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331-350.
김다연(2018).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Experiences of pregnancy and childbearing in primipara with advanced age), 4-8
Burkimsher, M. (2015). Europe-wide fertility trends since the 1990s: turning the corner from declining first birth rates. Demographic Research, 32,
Simoni, M. K., Mu, L., & Collins, S. C. (2017). Women's career priority is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s family planning and ethical acceptance of reproductive technologies. Human Reproduction, 32(10), 2069–2075.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 A., & Tough, S. (2012). Comparison of perception of pregnancy risk of nulliparous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and younger ag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7(5), 445-453.
Marques, B., Palha, F., Moreira, E., Valente, S., Abrantes, M., Saldanha, J.(2017). Being a Mother After 35 Years: Will it be Different? Acta
통계청(2017). 2016 한국의 사회지표.ㅇ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59629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http://new.druginfo.co.kr/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저(2016) , 『여성건강간호학 2』, 수문사,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고위험 산모,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