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추전방전위증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척추전방전위증의 정의
1.2. 척추전방전위증의 병태생리
2. 임상소견
2.1.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
2.2. 진단 과정
3. 치료
3.1. 보존적 치료
3.2. 수술적 치료
4. 간호 및 예후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5. 사례 연구
5.1. 환자 개요
5.2. 간호 사정
5.3. 간호 진단 및 계획
5.4. 간호 중재 및 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척추전방전위증의 정의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이란 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배 쪽으로 밀려나가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상, 하 척추뼈가 제대로 연속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있는 상태로 심할 경우 엉덩이나 하지 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척추의 후방에는 상관절 돌기와 하관절 돌기가 있어 각각 위의 척추 및 아래의 척추와 관절을 이루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을 상실하면 상위 척추가 전방으로 전위되는 척추전방전위증이 발생하게 된다.""
1.2. 척추전방전위증의 병태생리
척추전방전위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사람의 무게 중심은 허리의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요추는 전방으로 전이되어 전방으로 굴곡되려는 경향이 있다. 정상 척추는 후방에서 상하 척추의 관절돌기가 후관절을 형성한다. 하 관절 돌기는 상관절 돌기의 걸려 버팀 역할을 하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상실하면 상위 척추가 전방으로 전위되는 척추전방전위증이 발생하게 된다. 추간판은 우리 몸에서 혈관이 거의 없는 가장 큰 구조물로 퇴행성 변화가 가장 빨리 나타나 10대 말이나 20대에 시작되어 수핵의 수분 함유량이 떨어지고 섬유륜을 구성하는 섬유질도 나빠지게 되면서 쉽게 찢어지게 된다. 이런 탄력성이 떨어진 추간판은 외력을 받게 되면 수핵이 찢어진 섬유륜 사이를 뚫고 나오게 된다. 요·천추 부위의 수핵 탈출은 인접한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다리와 발쪽으로 방사되는 심한 작열통이나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며, Lasegue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
2. 임상소견
2.1.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
척추전방전위증의 주요 증상은 허리 통증이다. 피부에서 느껴지는 통증도 있을 수 있지만 드물다. 통증뿐 아니라 대퇴부 후면에 있는 슬굴근군(Hamstrings)의 긴장으로 비정상적인 보행이 나타난다. 때문에 환자들은 무릎 편 채로 뒤뚱뒤뚱 걷는 경향이 있다. 엉덩이가 평평한 모양으로 변하기도 하고 허리가 움푹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증상으로는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허리가 아프고,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아프며,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걷고 나면 허리나 엉치뼈 부근, 무릎 밑이 아픈 것이다. 또한 허리를 반듯하게 편 상태에서 척추뼈를 훑으며 만져봤을 때 특정 부위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계단식으로 층이 진 것이 느껴지고, 그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을 느낄 수 있다."
2.2. 진단 과정
척추전방전위증의 진단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진단은 주로 X-ray를 통해 척추 뼈가 얼마나 미끄러졌는지 진단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주로 사용되는 기법은 '메이어딩 그레이딩(Meyerding's Grade)'라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밀려나간 척추 뼈 아래에 있는 척추 뼈의 상위면을 4등분으로 그레이드를 나누고 각 그레이드별로 얼마나 밀려나갔는지 평가하는 방법이다.""
또한 CT(컴퓨터단층촬영)를 하면 뼈에 대한 평가를 자세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관절 간 협부의 뼈 결손 여부 및 척추 전방 전위증 여부를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MRI(자기공명영상)은 방사통 및 신경인성 파행이 있는 경우에 시행하는데, 척추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신경이 눌리는 부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척추전방전위증의 진단은 주로 방사선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X-ray를 통해 척추 뼈가 얼마...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하). 서울 : 현문사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 : 수문사
강남 세브란스 척추병원 http://gs.iseverance.com/spine/
안면환(2007). 요추 척추관 협착증의 자연 경과. 영남의대학술지, 24(2), p49-56
조경숙, 김희경 외(2018.01.10.). 성인간호학 상권(제7판). 경기도: 현문사
송경애 박형숙 외(2017.03.03.).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경기도: 수문사
성미혜 홍영혜 외(2015.03.02.).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경기도: 수문사
송경애 외 8명 (2017) 기본간호학 2 : 수문사
김금자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2020년 10월 9일)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2020년 10월 9일)
김익동 외 4명, 「척추전방전위증의 수술적치료」,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1991, pp.1-9
김금순 외 11명,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7, pp 1029, 1139-1142
네이버 지식백과,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척추전방전위증’.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53426&cid=58505&categoryId=58519